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김효정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효정

작성한 질문수

카프카 완벽 가이드 - 커넥트(Connect) 편

Debezium CDC Source Connector 소개

Debezium CDC Source Connector 이벤트 메시지

작성

·

7

0

안녕하세요, Debezium CDC Source Connector가 이벤트를 만들때 before, after 값 설명하시는 부분에서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before값이 필요한 이유가 나중에 rollback할때 다시 after를 before로 가지고 갈 수 있어서라고 설명을 주셨는데, 이것은 RedoLog에 한정된 얘기인가요 아니면 CDC Source Connector에서도 실제로 이 값을 이벤트로 들어온다는 뜻인가요?

커밋이 확정된 변경 내용만 CDC 캡쳐를 하는 것으로 알고있어서 Redolog에 한정된 설명이라고 이해했는데 그렇다면 before값이 필요하다고 설명주신 이유가 정확히 어떤 뜻인지 궁금합니다.

혹시 아니면 CDC Event Source Connector에도 롤백처리된 트랜잭션의 변경이전데이터가 after값에 저장되어 온다는 의미인가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김효정님.

Debezium CDC Source Connector에 대한 질문을 주셨군요. Debezium CDC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의 변경 사항을 추적하여 Kafka로 이벤트를 발행합니다. 여기서 beforeafter 값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1. Before 값: 변경되기 전의 레코드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는 주로 업데이트나 삭제 연산에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기록의 변경 전 상태를 알고 있어야 해당 변경이 적합한지 판단할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2. After 값: 변경된 후의 레코드 상태를 나타내며, 이는 항상 필요합니다. 왜냐하면 이 값이 현재의 최종 상태를 나타내기 때문이죠.

질문에서 언급하신 롤백과 관련된 부분은, 일반적으로 CDC는 커밋된 변경 사항만을 캡처합니다. 즉, 미리 커밋되지 않은 변경 사항에 대한 롤백을 CDC 이벤트에서 직접적으로 다루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before 값은 변경 전에 데이터가 어떤 상태였는지 알게 해주므로, 만약 어플리케이션 수준에서 롤백과 같은 작업이 필요할 때 유용할 수 있습니다.

Debezium과 같은 CDC 도구들은 데이터베이스의 RedoLog나 BinLog와 상호 작용하여 이러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Kafka로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롤백이 발생한 트랜잭션은 일반적으로 CDC에서 무시되는 편이지만, 이벤트 발생 시스템에서 이를 어떻게 처리할지는 설정과 사용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정보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김효정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효정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