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개발장인님의 프로필 이미지
개발장인

작성한 질문수

회사에서 바로 쓰는 업무자동화 AI 에이전트 (w. n8n, LangGraph)

[부록] n8n AWS로 배포하기 (정석버전)

Route 53에서 도메인과 로드밸런스 연결 부분

작성

·

13

0

image.png

 

n8n AWS로 배포하기 (정석버전)강의에서는 aws에서 산 도메인이라 Hosted zone에 뜨는것으로 추측되는데, 외부 도메인에 ACM 인증서까지 적용하여 어플리케이션 로드밸런스를 AWS에 만든 상태입니다. 위의 이미지 과정을 외부 도메인에서는 어떻게 로드밸런스와 연결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2

0

강병진님의 프로필 이미지
강병진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저는 AWS에서 인프라 처리를 할 때 Route53에서만 도메인을 구입해봐서 말씀하신 방식으로는 진행해본적이 없습니다. 관련 작업에 대한 블로그 글을 찾아서 전달 드립니다!

https://support.bespinglobal.com/ko/support/solutions/articles/73000544834--aws-acm-%EC%9D%B8%EC%A6%9D%EC%84%9C-%EB%B0%9C%EA%B8%89-%ED%9B%84-%EC%A0%81%EC%9A%A9-%EB%B0%A9%EB%B2%95-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개발장인님.

AWS에서 제공하는 Route 53을 사용하여 외부 도메인과 로드밸런서를 연결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외부 도메인을 AWS에서 사용하는 로드밸런서와 연결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라야 합니다:

  1. 도메인 등록 및 DNS 호스팅 서비스 확인:

    • 도메인이 등록된 서비스에서 DNS 관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곳에서 새로운 DNS 레코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2. Route 53에서 Hosted Zone 생성 및 설정:

    • 만약 외부 도메인을 AWS Route 53에서 관리하기로 했다면, 우선 해당 도메인의 Hosted Zone을 생성해야 합니다. 생성한 후, 그곳에서 도메인 네임 서버(NS)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3. 외부 도메인 제공자 관리자 설정:

    • 도메인의 DNS 관리 설정에서 AWS Route 53에서 제공한 네임 서버(NS)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사용하게 설정해야 합니다. 이때 네임 서버 변경이 외부 도메인 관리자의 설정에서 지원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4. DNS 레코드 생성:

    • Hosted Zone이 생성되면, AWS Route 53이나 외부 도메인 제공자 관리 설정에서 A 레코드 또는 CNAME 레코드를 생성하여 로드밸런서와 연결합니다. A 레코드를 생성하고, Alias 설정을 사용하여 로드밸런서의 DNS 이름을 지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미지의 dualstack.n8n-lb-1988428178.ap-northeast-2.elb.amazonaws.com처럼)

이 과정을 통해 외부 도메인을 AWS의 로드밸런서와 연결할 수 있으며, 이후 ACM 인증서를 도메인에 적용하여 HTTPS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더 나은 이해를 돕기 위해 다른 학습자들이 공유한 경험을 참고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다음은 유사한 주제에 대해 논의된 답변입니다:
- n8n과 구글 계정 연동: 이 답변에서는 도메인 및 리디렉션 관련 설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뭔가 더 궁금한 점이 있으면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추가적인 답변을 제공해 주실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개발장인님의 프로필 이미지
개발장인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