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33
0
안녕하세요, 입사한지 약 두달된 신입 PM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데이터 로그 설계에 대해 배우면서
어떤걸 만져야 하나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회사가 amplitude나 GA를 주로 쓰지 않아서 카일님의 방법대로 로그를 설계하기 보다는 mixpanel 기반으로 AB하는게 대부분이더라구요.
그리 크지 않아서 그럴 수도 있겠지만요, 오늘 팀장님과 면담을 했을 때는 아직 로그기반으로 트래킹을 세밀하게 하고 있는 건 없는 듯 한데, 일단 기본적인 것부터 하고 나중에 생각해보라고 하시긴 하시네요 ㅋㅋ
그냥 mixpanel 기반으로 계속 해보고 나중에 하는게 좋겠죠 ?
답변 1
0
데이원님 안녕하세요!
믹스패널 기반으로 AB하는게 대부분이라고 하신 것은 AB Test를 의미하는걸까요? AB Test를 하기 위해서도 데이터 로그 설계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GA나 Amplitude나 Mixpanel이나 로그 설계의 흐름은 동일합니다. 각 도구에서 로깅하는 API 가 다를 뿐입니다. 도구가 다른 것은 크게 중요하지 않고 로그 설계를 어떻게 해야 원하는 지표를 얻을 수 있을까를 보시는 것이 핵심입니다. 면접에서 믹스패널로 로그 설계를 했다, 앰플리튜드로 로그 설계를 했다에 대해 생각을 다르게 한 적은 없는 것 같네요.
팀장님이 기본적인 것부터 하고 나중에 생각해보라고 하셨다면 지금 팀장님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무엇인지 물어보고 그것부터 채우면서(데이터쪽이 아니더라도) 점진적으로 확대하면 좋을 것 같네요. 강의 첫 파트에서 나온 것처럼 동료의 신뢰를 얻고 영향력을 점진적으로 올리는 것이 필요합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 일단 팀장님 신뢰를 쌓고 나서 진행 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