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28
답변 2
1
안녕하세요, 연산자 우선순위를 생략하면 안된다는 표현이 혹시 전부 계산한다는 말씀이실까요?
"연산자 우선순위를 생략하면 안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라는 문장의 의미를 잘 이해 못하겠습니다.
C언어의 단락 평가(short-circuit evaluation)는 실제로 뒤를 연산하지 않습니다.
컴파일 했을 때의 어셈블리 코드에서도 조건을 평가한 다음에
즉시 다음 결과값으로 점프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컴파일된 코드까지 갈 필요가 없이, 아래 코드를 실행시켜 보시면 테스트가 가능합니다.
#include <stdio.h>
// 부작용(side effect)이 있는 함수들로 테스트
int func_a() {
printf("func_a() 호출됨\n");
return 0; // false
}
int func_b() {
printf("func_b() 호출됨\n");
return 1; // true
}
int func_c() {
printf("func_c() 호출됨\n");
return 1; // true
}
int main() {
printf("=== AND (&&) 연산자 테스트 ===\n");
printf("테스트 1: func_a() && func_b()\n");
if (func_a() && func_b()) {
printf("결과: true\n");
} else {
printf("결과: false\n");
}
printf("\n테스트 2: func_b() && func_c()\n");
if (func_b() && func_c()) {
printf("결과: true\n");
} else {
printf("결과: false\n");
}
printf("\n=== OR (||) 연산자 테스트 ===\n");
printf("테스트 3: func_b() || func_c()\n");
if (func_b() || func_c()) {
printf("결과: true\n");
} else {
printf("결과: false\n");
}
printf("\n테스트 4: func_a() || func_b()\n");
if (func_a() || func_b()) {
printf("결과: true\n");
} else {
printf("결과: false\n");
}
printf("\n=== 비교: 비트 연산자 사용 ===\n");
printf("테스트 5: func_a() & func_b() (비트 AND)\n");
if (func_a() & func_b()) {
printf("결과: true\n");
} else {
printf("결과: false\n");
}
printf("\n테스트 6: func_b() | func_c() (비트 OR)\n");
if (func_b() | func_c()) {
printf("결과: true\n");
} else {
printf("결과: false\n");
}
return 0;
}
실제 출력값
=== AND (&&) 연산자 테스트 ===
테스트 1: func_a() && func_b()
func_a() 호출됨
결과: false
테스트 2: func_b() && func_c()
func_b() 호출됨
func_c() 호출됨
결과: true
=== OR (||) 연산자 테스트 ===
테스트 3: func_b() || func_c()
func_b() 호출됨
결과: true
테스트 4: func_a() || func_b()
func_a() 호출됨
func_b() 호출됨
결과: true
=== 비교: 비트 연산자 사용 ===
테스트 5: func_a() & func_b() (비트 AND)
func_a() 호출됨
func_b() 호출됨
결과: false
테스트 6: func_b() | func_c() (비트 OR)
func_b() 호출됨
func_c() 호출됨
결과: true
다른 코드를 다 볼 필요없이
1번과 3번만 보면 됩니다.
&&인 경우에는 앞이 false이면 뒤를 연산하지 않고
||인 경우에는 앞이 true면 뒤를 연산하지 않습니다.
제 코드의 예시인 a || b && c
의 경우에 &&가 연산자가 높아서 뒤를 계산하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이라면, 이 경우에도 a가 참인 경우 오른쪽은 평가하지 않습니다.
이런 연산 결과를 꼭 바로 알 필요는 없지만,
시험에서 빠르게 문제를 풀어나가기 위해서는 알고 있는 것이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말씀하신 예제는 아예 다른 이야기입니다.
비트연산자는 애초에 단락 평가 대상이 아닙니다.
앞과 뒤를 각각 참이든 거짓이든 상관없으니까요.
결국 전체 비트 계산한 것이 참인지 거짓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라서
단락 평가의 영역 자체가 아닙니다.
비트 연산자는 산술연산자의 +, - 와 같은 "연산"입니다.
참/거짓을 평가하는 논리가 아니기 때문에 이것과는 전혀 상관없습니다.
다른 형태로 비유하자면 1 + 2를 계산해야하는데, 앞이 이미 1인데 왜 2를 더하는지를 질문하시는 것과 같습니다. 피연산자의 값이 0이든 10이든 전체의 결과 값이 중요한 것이죠.
전체 연산 결과가 참인지 아닌지가 중요한데, 논리연산자에서는 앞에만 봐도 전체를 이미 결정할 수 있으니까요.
"쇼트 서킷 룰에 보장 받지 않는 것"이 아니라 저건 쇼트 서킷 룰이 아닙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고순조님.
말씀하신 대로 쇼트 서킷(short-circuit) 룰은, 연산자 우선순위의 결과에 따라 결정된 수식 구조 내에서 평가 과정을 최적화하는 기법입니다. 이는 논리 연산자, 특히 &&
와 ||
에서 흔히 나타나며, 한쪽의 평가 결과만으로도 전체 결과가 확정되면 나머지 연산을 생략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true || false
와 같은 표현에서 첫 번째 피연산자가 true
인 경우, 두 번째 피연산자를 평가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는 불필요한 계산을 줄이는 데 유용하지만, 앞서 말씀하신 대로 연산자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것은 아닙니다. 연산자 우선순위에 따라서 계산 순서가 정해지며, 쇼트 서킷은 그 순서 내에서 발생하는 최적화입니다.
관련된 개념을 더 확실히 이해할 수 있도록, 다른 질문과 답변을 참고할 수 있는 유용한 링크를 제공하겠습니다:
이러한 설명과 예시를 통해 쇼트 서킷 룰과 연산자 우선순위가 코드의 평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명확히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실제 출력값>
논리연산자만 쇼트 서킷 룰에 보장받고
비트 연산자는 비트 단위로 일일이 비교해서 결과를 만들어야 해서 쇼트 서킷 룰에 보장 받지 않는가 보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