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33
0
안녕하세요 이 강의 80% 이상 수강하고 다시 반복해서 듣고 있고 있는데요.
초보지만 퀄리티 높고 유익한 강의로 오늘도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PlayerPrefs 에 대해서 궁금해서 문의 좀 드리려고 합니다.
PlayerPrefs 에 대해서 궁금해서 구글링을 했을 때에는
PlayerPrefs 의 경우 '편하게 사용할 수는 있지만 속도가 늦고 타입에 한계가 있고 특히 보안에 취약'하다고 파악을 했습니다. 사실 만들고자 하는 게임이 속도나 타입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는 않지만 나중에는 굿즈나 인벤토리 데이터까지 데이터를 관리하게 되니 보안이 문제가 될 것 같아서 문의 드립니다.
궁금한 점은
PlayerPrefs 그럼에도 실제 프로젝트에서도 사용이 되는지?
만약 사용된다면 PlayerPrefs 보안관련 작업을 따로 수행하나요?
구글링을 하면서 Easy Save 라는 에셋 사용까지 이르게 되었는데, Easy Save 툴로 암호화된 파일로 유저 데이터를 로컬과 게임 규모에 따라서 서버에 저장해서 사용하는 것이 안정성이 있다고 파악을 했는데 이것도 괜찮은 방향인지 문의드립니다.
답변 2
1
안녕하세요! BurningCarrot입니다. 문의해 주신 내용에 답변 드립니다.
PlayerPrefs 그럼에도 실제 프로젝트에서도 사용이 되는지?
네 실제 프로젝트에서도 사용합니다. 서버가 있는 게임이라면 당연히 서버에 유저 데이터를 저장하겠지만 로컬에 저장하는 방식이라면 PlayerPrefs를 사용합니다.
만약 사용된다면 PlayerPrefs 보안관련 작업을 따로 수행하나요?
사용한다면 당연히 보안 작업을 진행합니다. 회사 자체 보안 솔루션을 적용할 수도 있고, 상용 보안 솔루션을 적용할 수도 있고, 직접 구현할 수도 있습니다. PlayerPrefs의 유저 데이터 암호화는 섹션 8. 보충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구글링을 하면서 Easy Save 라는 에셋 사용까지 이르게 되었는데, Easy Save 툴로 암호화된 파일로 유저 데이터를 로컬과 게임 규모에 따라서 서버에 저장해서 사용하는 것이 안정성이 있다고 파악을 했는데 이것도 괜찮은 방향인지 문의드립니다.
제가 올려드린 강의를 참고하셔도 되고 유니티 어셋 스토어에 있는 암호화 어셋을 사용하셔서 유저 데이터를 로컬에 저장하셔도 됩니다. 게임 규모에 따라서는 서버에 저장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실제로 [유니티 시스템 프로그래밍 Pt.2]에서는 Firebase DB를 사용하여 직접 서버 구현 없이도 Firebase가 제공하는 DB에 유저 데이터를 저장 및 로드하는 것을 다룹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Razer님.
PlayerPrefs는 Unity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간단한 데이터 저장 방식으로, 주로 간단한 설정이나 작은-scale의 데이터에 적합합니다. 하지만 말씀하신 것처럼 속도나 보안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습니다.
PlayerPrefs의 사용: 간단한 스코어, 설정 등 간단한 데이터 저장에서는 많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실제 상업 프로젝트에서는 데이터의 양과 보안을 고려하여 PlayerPrefs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보안 관련 작업: 보안이 중요한 데이터에 대해 PlayerPrefs를 사용하려면 수동으로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저장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기존의 string 데이터를 암호화한 후 저장하고 값을 복호화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취합니다.
Easy Save 에셋 사용: Easy Save는 데이터의 저장과 암호화를 지원하여 PlayerPrefs의 단점을 보완해 줄 수 있습니다. 특히, 게임 내에서 중요한 데이터의 경우, Easy Save와 같은 툴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로컬에서 안전하게 관리하거나, 서버와 연계하여 관리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추천됩니다.
관련하여 유사한 질문 및 답변이 되어 있는 자료를 소개드립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라며, 추가적으로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해 주세요.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초보자의 당연한 질문에도 친절하게 답변주셔서 감사합니다. 빨리 Part2까지 완강해야 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