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6
답변 2
0
안녕하세요 예비군갈나이님. 질문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이해하신바가 맞습니다. 보통의 서비스들이 고가용성과 무중단 서비스 및 트래픽 분산을 위해서 클러스터 형태를 많이 사용을 하게되는데, 이런 클러스터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면 주기적으로 핑을 던져서 특정 노드에 장애가 없는지 판단을 하는 작업이 기본적으로 포함이되게 됩니다.
이러한 기능이 필요한 이유는 클라이언트가 고장이 난 노드에 불필요한 요청을 할 필요가 없기 떄문에, 이런 부분이 존재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예비군갈나이님.
질문해 주신 Kafka의 주키퍼와 Redis의 Sentinel의 역할 비교에 대해 궁금하셨군요. 두 시스템 모두 분산 환경에서 고가용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그 내부 작동 방식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Zookeeper의 역할:
- 주키퍼(Zookeeper)는 주로 분산 애플리케이션, 특히 Kafka와 같은 시스템에서 메타데이터 관리를 위해 사용됩니다.
- 주키퍼는 Kafka의 브로커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브로커가 실패했을 때 토픽의 파티션 리더 역할을 다른 브로커로 재할당하여 고가용성을 유지합니다.
- 주키퍼는 heartbeat를 통해 노드의 상태를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클러스터의 상태를 관리합니다.
Redis Sentinel의 역할:
- Sentinel은 Redis의 클러스터 상에서 마스터-슬레이브 구조의 모니터링과 장애 조치를 담당합니다.
- Sentinel은 마스터 노드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자동으로 슬레이브 노드를 새로운 마스터로 승격시키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Redis Sentinel 또한 주기적으로 노드 상태를 감시하고, 실패를 감지하여 리더 선출을 진행합니다.
비슷한 면이 있기는 하지만, Zookeeper는 일반적으로 더 광범위한 분산 시스템 관리를 위한 도구이며, 각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고유의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 Redis Sentinel은 주로 Redis의 마스터-슬레이브 구성에서의 장애 감지와 복구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Sentinel가 주키퍼와 유사하지만, 각각의 시스템의 특성에 맞게 설계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질문하신 내용을 포함하여 관련된 더 많은 자료를 확인하고 싶다면, 다음의 유사한 질문과 답변을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질문해주신 내용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도 더 자세한 답변을 제공해 주실 것입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