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6
0
@EventListener(ApplicationReadyEvent.class)
와 같은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Component public class DataInitializer implements ApplicationListener<ApplicationReadyEvent> 를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혹시 잘못된 것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김기정님께서 질문하신 @EventListener(ApplicationReadyEvent.class)
와 관련된 내용은 어플리케이션이 시작할 때 특정 로직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EventListener
와 ApplicationListener<ApplicationReadyEvent>
는 모두 스프링의 이벤트 리스너 기능을 활용하는 방법이며, 두 가지 방법 모두 정상적인 사용 방식입니다.
@EventListener(ApplicationReadyEvent.class)
: 메소드를 이벤트 리스너로 등록하는 주석 기반의 방식입니다. 해당 메서드는 애플리케이션이 준비 완료 상태가 되면 자동으로 호출됩니다.
ApplicationListener<ApplicationReadyEvent>
인터페이스: 클래스를 직접 구현하여 이벤트를 수신하는 방식입니다. 같은 기능을 클래스 단위로 구성할 때 유용합니다.
따라서, Component
를 사용하여 DataInitializer
클래스를 ApplicationListener<ApplicationReadyEvent>
을 구현하고 있는 현재의 방법은 전혀 잘못된 점이 없습니다. 다만, 더 간결한 코드 작성을 원하신다면 @EventListener
를 사용하는 방법도 고려해 보실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프로젝트가 시작될때 외부 api 에 접근해서 해당 토큰을 가져오는 로직을 구현하고 있다면 ApplicationListener와 @EventListener 두 개의 방법 중 어떤 방식이 더 좋을지 조언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