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34
1
안녕하세요 선생님,
먼저 세심한 실습환경을 안내해주신 덕분에 강의를 재밌게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카페에 아래와 같은 글을 남기셨습니다.
https://cafe.naver.com/kubeops/503
▶ Pod만 남기고 Controller(ReplicaSet)만 삭제하는 방법
kubectl delete replicaset replica1 --cascade=orphan
* Pod를 직접만들고 Controller에 수동으로 연결했을 때만 동작해요.
그래서 직접 실습을 진행해봤습니다.
Pod : 직접생성
ReplicaSet : 직접생성 및 위 Pod와 수동연결
위 순서대로 진행하면 아래와 같은 Pod상황이 만들어집니다.
위 상황에서 delete cascade옵션 명령어를 수행했을 때 두 Pod모두 살아있는 것을 확인했는데요.
카페에 남기신 글은 pod1만 살아남는다고 설명을 하신것 같은데 제가 잘못해석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2
0
안녕하세요.
delete cascade 옵션 명령어를 수행했을 때 두 Pod모두 살아남는 게 맞고요.
제가 카페 어느부분에서 pod1만 살아남는다고 했는지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그랬다면 제가 잘못 표기를 한 거고 수정하겠습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창신동 장첸님.
ReplicaSet을 삭제할 때 --cascade=orphan
옵션을 사용하면 해당 ReplicaSet이 관리하는 Pod들이 Orphan 상태로 남게 됩니다. 즉, ReplicaSet이 삭제되더라도 Pod들이 남아있는 것입니다. 이는 의도적으로 Pod를 유지하고 싶을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질문 주신 부분에서 두 Pod 모두 남아있는 상황은 --cascade=orphan
옵션의 동작 원리와 일치합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ReplicaSet은 삭제되지만, 그에 속한 Pod들은 삭제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카페에서 언급된 내용도 Pod들이 Orphan 상태로 남는 것을 설명하여, Pod들이 계속 존재하는 것이 정상적인 동작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Kubernetes 공식 문서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Kubernetes 공식 문서에서 cascade 옵션 설명.
혹시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거나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하다면 언제든지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Pod를 직접만들고 Controller에 수동으로 연결했을 때만 동작해요." 이 설명을 보고 pod1만 살아남는다는 설명을 하신거구나 라고 받아드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