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27
0
https://www.acmicpc.net/source/97439152
문제에서 인구이동이 일어날때 연합이 1개라는 말이 없어서 인구이동이 일어날 시점에 여러개의 연합이 동시에 인구이동을 할 수도 있다 생각하여
vector<vector<pair<int,int>>> v;
전체 연합 <연합 < 연합의 좌표> > v;
이렇게 선언하고 문제를 풀긴했는데 이렇게 풀어도 괜찮은걸까요??
답변 2
0
안녕하세요 우현님 ㅎㅎ
문제에서 인구이동이 일어날때 연합이 1개라는 말이 없어서 인구이동이 일어날 시점에 여러개의 연합이 동시에 인구이동을 할 수도 있다 생각하여
-> 네 맞습니다. 여러개의 연합이 생길 수 있습니다.
v.push_back(friends);
해당 연합이 생긴 경우 -> 벡터에 집어넣는 식으로 로직 짜셧는데요 ㅎㅎ 잘 하셨습니다.
또 질문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 부탁드립니다.
좋은 수강평과 별점 5점은 제게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강사 큰돌 올림.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문상준님께서 질문하신 내용과 유사한 문제를 다루는 답변을 찾아보니 몇 가지 참고할 만한 예시가 있습니다. 인구 이동 문제는 DFS와 BFS를 활용하여 연합을 찾아내고 각 연합마다 인구 이동을 한 후에 모든 연합이 처리가 끝났을 때의 상태를 고려하는 형태입니다.
문제의 주제는 여러 개의 연합이 동시에 인구 이동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해결하는 것입니다. 이는 실제 문제에서 올바른 접근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연합을 관리할 수 있는 자료구조를 이용하는 것은 매우 유효한 전략입니다.
또 다른 사례: 2-P 연구소 solve()>fill() 함수에서 전역변수 vector<> v가 초기화 될 수 있나요?
백준 문제에서 여러 연합이 동시에 인구 이동을 수행하는 설정을 고민하고 계신 상황에 맞출 수 있는 방식으로 보입니다. vector<vector<pair<int,int>>>
를 사용하여 각 연합의 좌표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접근법은 일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나중에 최적화나 코드의 간소화가 필요할 수는 있겠으나 현재의 방향성은 올바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