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작성자 없음

작성자 정보가 삭제된 글입니다.

유니티 시스템 프로그래밍 Pt.1 - 상용 게임 구현을 위한 핵심 시스템 올인원 패키지

개발 환경 세팅

다운 받은 자료 용량 관련 문의입니다.

해결된 질문

작성

·

52

·

수정됨

0

맨처음 받은 자료 깃 스테이지에 올리려면 '큰 파일 감지됨' 으로 나오는데, 세팅 방법에 대한 문의.

답변 2

0

안녕하세요! BurningCarrot입니다.

정확히 어떤 파일 때문인지 알 수 있을까요? 보통 Git에서 파일 용량이 50MB 이상이면 '큰 파일 감지됨'으로 표시됩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폰트 파일인데
Git Large File Storage (LFS) 사용:

이걸로 해결했습니다. 다른 분들은 깃허브를 기존에 사용하셔서 세팅은 된 것 같은데, 저는 깃허브는 처음이라 세팅이 안된 상태에서 첫 강의 부터 문제가 발생해서 문의 드린겁니다. 감사합니다.

해결하셨다니 다행입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Razer님.

강의를 듣는 중에 큰 파일 때문에 Git에서 문제가 발생하신 것 같네요. 다운로드 받은 리소스가 Git에서 큰 파일 경고로 인해 처리가 어려운 상황인 듯합니다. 이런 경우, 몇 가지 해결 방법이 있습니다:

  1. Git Large File Storage (LFS) 사용:

    • Git LFS는 대용량 파일을 관리하도록 설계된 확장 기능입니다. 주로 게임 개발에서 사용하는 대용량 리소스, 예를 들어 폰트 파일, 이미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큰 파일 감지됨” 문제가 발생할 때 Git LFS를 사용하면 도움이 됩니다.
    • Git LFS를 설치한 후, git lfs install 명령어로 초기 설정을 하고, 그 다음 git lfs track "*.파일확장자" 명령어를 통해 큰 파일을 추적합니다. 예를 들어 폰트 파일이 .ttf 형식이라면 git lfs track "*.ttf"를 추가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2. 소스트리 (SourceTree) 활용:

    • 소스트리는 비주얼 클라이언트로 Git을 다루기 쉽게 해주지만, 모든 Git 기능을 충분히 활용하려면 명령어 사용에도 익숙해져야 합니다. 특히, 큰 파일 관련 경고 메시지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Git의 내부 동작을 이해하고 명령어로 조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3. 대용량 리소스 관리 전략:

    • 게임 개발에서는 대용량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런 경우 리포지토리 구조를 최적화하거나, 위에서 언급한 LFS를 통해 대용량 파일을 별도로 관리하는 방식이 필요합니다.

이 문제와 관련된 유용한 답변이 이미 게시판에 공유된 바 있습니다. Git LFS와 대용량 파일 관리에 관한 자세한 설명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image.png

링크 보니 에러 나는데 ..

작성자 없음

작성자 정보가 삭제된 글입니다.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