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62
·
수정됨
2
인프라 자원 생성 부분에서 보안 그룹에 인바운드 규칙 추가하고 퍼블릭 액세스를 활성화 해줘도 안되는 경우가 있네요. 찾아보니 RDS 서브넷이 private로 설정된 경우(그 사이에 default가 프라이빗이 됬나봅니다) 에는 aws vpc에서 라우팅 편집을 해야 접속이 되네요. aws는 설정이 조금씩 바뀌는 경우가 많아서 참 헷갈려요ㅜ
답변 3
2
1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HJ Jeong님.
RDS의 인바운드 규칙을 설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접속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해 질문하셨군요. AWS 환경에서는 네트워크 설정이 아주 중요하며, 간혹 기본값이 변경되거나 설정의 세부 사항을 놓칠 경우 예상치 못한 접속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RDS 서브넷 구성 확인: RDS가 설정된 서브넷이 퍼블릭인지 프라이빗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서브넷이 프라이빗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외부에서 직접 접근이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퍼블릭 접근이 필요할 경우 VPC의 라우팅 테이블을 통해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설정해야 합니다.
보안 그룹 및 네트워크 ACL 설정: RDS가 위치한 VPC의 보안 그룹이나 네트워크 ACL에서 인바운드 및 아웃바운드 규칙이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는지 다시 한번 검토해 보시기 바랍니다.
퍼블릭 액세스 설정: RDS 인스턴스의 퍼블릭 액세스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일부 프라이빗 설정의 경우, VPC의 NAT 게이트웨이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라우팅 테이블 수정: VPC 내 라우팅 테이블에서 0.0.0.0/0 도메인으로의 트래픽이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통해 전달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는 퍼블릭 서브넷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입니다.
아래 관련 게시글도 참고해 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 AWS RDS 설정 및 네트워크 구성 관련 문제 해결: AWS RDS 설정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네트워크 문제와 그에 대한 해결책을 확인해 보세요.
AWS는 특히 네트워크 및 보안 구성에서 설정 요소가 많아 한 번에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설정 내용을 꼼꼼히 점검하며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0
Thanks for sharing your experience! Dealing with AWS security groups and private subnets can be tricky. I often use external tools like Wordle Unlimited to clear my head after wrestling with AWS configurations. Did you check if the subnet's route table has a route to a NAT gateway or internet gateway? It's a common oversight! Keeping up with AWS changes is definitely a challe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