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47
·
수정됨
0
존버매니아님 안녕하세요.
Bare-metal 펌웨어를 개발할 때는 Software Build 및 MCU 와 관련된 아래 설정들은 주로 MCU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이클립스 기반 IDE 에서 진행했습니다.
프로젝트 생성 및 Build Tool Chain 설정 (컴파일러, 링커 등)
MCU Configuration (Pin, Clock, Peripherals etc)
GUI 환경으로 설정한 MCU 설정에 대한 Code Generation
MCU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SDK (주로 페리페럴 제어 코드들)를 프로젝트에 통합
그런데 본 강의를 통해 MCAL 설정은 어떤 MCU 를 선택하든 EB Tresos Studio 라는 툴을 사용하는게 거의 업계 표준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럼 EB Tresos Studio 도 마찬가지로 이클립스 기반이고, 각 MCU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플러그인 파일을 로드해와서, 기존의 MCU 제조사의 IDE (ex: STM Cude IDE, NXP S32DS, TI CCS 등)에서 하던 MCU Configuration 및 MCAL 설정을 전부 EB 에서 진행한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이것이 맞다면, MCU 제조사 IDE 에서는 Generation 된 Code 들 (ASW, BSW, RTE)을 빌드하는 역할만 수행하는 것도 맞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1
1
안녕하세요. 이해하신 내용이 맞습니다.
저도 아쉬운 부분인데 사실
STM CubeIDE나 TI의 CCS 등의
툴을 써보면 무료인데다 인터넷에 자료도 많고 쓰기도 편한데다가
역할만 놓고보면 MCAL이랑
완전 똑같아서 그런 툴들을 활용 못하는게 아쉽습니다.
근데 어쨋든 이해하신대로
오토사기반으로 개발 할 때는 그런 툴을 통한 CODE generation 작업은 하지않습니다
대사 Eb tresos와 다른 bsw 툴로 code gen 작업을 하게되고
Ide 툴로는 빌드만하게 됩니다.
그리고 빌드조차도 ide에서 제공하는 툴이 아니라, 기능안전 인증 이슈 등의 이유로 별도의 유료 컴파일러를 사서 빌드하기도합니다.
이 경우에는 MCU 제조사가 제공하는 IDE는 아예 사용안하는거죠
대표적인 예를들면 인피니언 aurix의 경우 인피니언에서 제공하는 aurix studio라는 ide에 stm cube ide와 비슷한 기능이 모두제공되는데.
해당 ide의 코드제레이션 기능도 사용하지않고. 빌드 할 때 컴파일러도 태스킹 컴파일러라는 유료 컴파일러를 사서 사용하는게 대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