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22
0
margin_init = AvailableFunds/len(df_pairs_wt_paras) * margin_ratio 로 작성하셨는데,
제 추측으로는 만약 df_sel에 13개의 목록이 있다면 나의 BuyingPower를 13개로 나누어서 각각 페어에 대해서 트레이딩을 하기 위해서 margin_init을 len(df_pairs_wt_pars)로 나누었다고 판단됩니다.
다만, 해당 코드에서 *margin_ratio가 아니라 /margin_ratio가 되어야 하는 것 아닌가 해서 질문드립니다.
(margin_ratio는 0보다 작은 값이기 때문에 나눗셈을 해주어야 더 큰 구매력이 도출되기 때문입니다)
혹시 제가 생각한게 맞을까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길상훈님께서 제기하신 질문은 파이썬 코드의 margin_init
변수 계산에서의 논리적 오류 가능성에 대한 것입니다. margin_init
변수는 거래에 사용될 초기 마진 금액을 계산하는 부분으로, AvailableFunds
, df_pairs_wt_paras
, 그리고 margin_ratio
를 이용하여 연산됩니다.
margin_init = AvailableFunds/len(df_pairs_wt_paras) * margin_ratio
코드에서 * (곱셈)
대신 /(나눗셈)
연산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신 이유는 margin_ratio
가 0보다 작은 값이기 때문에, 이를 활용함으로써 더 큰 구매력을 도출할 수 있다는 점을 들고 계십니다.margin_ratio
가 실제로 특정 조건에서 1보다 작고, 이로 인해 더 큰 구매력을 의도하신 대로 배분하는 것이 목표라면, / margin_ratio
로 수정하는 것이 맞을 수 있습니다.margin_ratio
는 구매력과 관련하여 초과/부족 금액을 처리하는 데에 활용됩니다. 따라서, 정확한 설정을 위해서는 margin_ratio
의 정의와 로직에서의 전후 맥락 확인이 필수적입니다.이제 실제 강의 내용 및 지식공유자님의 설명을 바탕으로 정확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래에 유사한 질문과 답변이 있거나 추가 설명이 필요한 경우 참고해 보세요:
이 링크를 통해 해당 코스 혹은 강의자의 설명 방식을 이해하고, 필요시 직접 변수를 조정해 가면서 실제 결과를 테스트해 보시는 것을 권합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기 위해 유사 질문과 답변을 참조하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다소 부족할 수 있다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인 질문이 필요하다면, 계속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상세히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