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36
1
안녕하세요, (추가) Compute Engine 생성 시 주의사항
강의 부분에서 질문이 있어 남깁니다.
AZ를 모두 선택하는 경우, 제가 아는 바 로는 단순히 "Google에서 머신 유형과 가용성을 기반으로 영역을 자동으로 선택해주는 것"일 뿐, Failover, 지연시간 비용, 관리편의성 등 이런 것들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1]
혹 제가 알고있는 내용이 아닐수도 있어, 공식적인 Docs가 있다면 해당 내용의 출처를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https://cloud.google.com/compute/docs/regions-zones?hl=ko
답변 3
1
안녕하세요.
먼저 정성어린 답변 감사드립니다.
질문의 요지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은 것 같아, 다시 말씀드립니다.
현재 강의에서는 단일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화면에서, ‘모두 선택’ 옵션을 사용하면 Failover가 동작한다고 설명하고 계십니다. 하지만 이 기능은 MIGS(Managed Instance Groups) 에서만 제공되는 특성이며, 아시는 것처럼 단일 인스턴스 구성에서는 GCP가 자동으로 인스턴스를 다른 영역으로 재배치하거나 복구하는 Failover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또한, ‘모두 선택’이라는 UI 자체도 MIGS 배포 화면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해당 화면은 단일 인스턴스 구성 시에만 나타납니다.
해당 부분은 강의에서 MIGS라는 용어가 명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학습자 입장에서는 당연하게도 “단일 인스턴스 배포 시에도 Failover가 자동으로 되는구나”라는 잘못된 이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기술적으로 명확히 잘못된 내용이며, 정확한 GCE 개념을 전달을 위해 해당 부분의 정정을 요청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
안녕하세요.
좋은 내용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답변을 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단순한 자동 선택 기능이지만, 이 결정은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전체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1. Failover (장애 조치 / 고가용성)
관련 없음: 단일 VM을 자동 선택하는 것은 직접적인 장애 조치와 무관합니다.
관련 있음: 하지만 진정한 고가용성을 위해서는 관리형 인스턴스 그룹(MIG)을 사용하여 의도적으로 여러 영역에 VM을 분산 배포해야 합니다. 이 경우 MIG가 여러 영역에 걸쳐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분배하고 관리하므로, 영역 장애 발생 시 다른 영역의 VM으로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습니다.
2. 지연시간 최적화
Google의 자동 선택은 단순히 가용성만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 지연시간도 고려합니다. 사용자나 다른 리소스와의 거리를 최적화하여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3. 비용 효율성
특정 영역의 리소스 가용성에 따라 비용이 달라질 수 있으며, 자동 선택을 통해 최적의 비용-성능 조합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4. 관리 편의성
개발자가 영역별 리소스 가용성을 직접 모니터링하고 선택할 필요가 없어 운영 부담이 줄어듭니다. 또한 Google의 글로벌 인프라 지식을 활용하여 최적의 배치를 자동으로 결정받을 수 있습니다.
즉, '자동 선택'은 단순 기능을 넘어 고가용성, 성능, 비용, 관리 측면에서 종합적인 이점을 제공하는 전략적 기능입니다.
충분한 답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감사합니다. 😀
1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devops님.
질문 주신 내용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Google Cloud Platform에서 “AZ를 모두 선택”할 때에 대해 궁금하신 점이 있으신 것 같습니다. 사용자가 “Any” 옵션을 선택하면, Google Cloud는 현재의 리소스 가용성과 각 영역(zone)의 부담 능력 등을 기반으로 최적의 영역을 자동으로 선택하게 됩니다. 이는 서버의 자원 효율성을 극대화하려는 목적이 강하고, 사용자가 직접 영역을 선택하는 번거로움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Failover 기능이나 지연시간, 비용, 관리 편의성과는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자동으로 최적의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어느 정도 관리 편의성을 얻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Google Cloud 공식 문서를 참고하시어 좀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리전 및 영역.
위 이미지의 내용처럼, “Bulk Instance API”나 지역 관리형 인스턴스 그룹(MIG)을 통해 영역 선택 자동화가 이루어지며, “Any” 옵션 선택 시 Google이 머신 유형 및 가용성을 기반으로 영역을 선택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위 설명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강의를 다시보니, 단일 VM을 생성하는 과정과 MIGS를 혼동해서 설명하는 부분의
개념이 좀 겹쳐진것 같습니다.
시간 날때 해당 내용은 수정해서 다시 업로드 하겠습니다.
좋은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