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가끔은 육아와 업무로 번아웃이 와서 지치긴 하지만, 😅
하루하루를 항상 감사와 즐거운 마음으로 살아가고 있는 IT 근로자 입니다. 😅
개인 블로그 : https://may9noy.tistory.com
GitHub : https://github.com/Nanninggu
삶과 가정 속에서 항상 좋은 일들만 가득하시길 기원합니다. 😀
자기소개
안녕하세요.
저는 서울소재의 4년제 대학교를 졸업하고, 현재 대기업 SI 업체에서 TA, DEVOPS, 기술지원 업무를 하고 있는 9년차 개발자 및 엔지니어 입니다.
저는 변화 없이 계속 했던 일을 하는걸 그렇게 썩 좋아하지 않았던거 같습니다.
커리어 고민도 누구나 해왔듯이 치열하게 해왔으며, 현재 포지션으로 자리 잡기 까지 9년이 걸린거같네요.
입사 및 이직 시에는 여러 회사를 합격도 해봤고, 이직도 중소기업 IT 및 중견기업 IT 그리고 현재의 회사까지 총 2번의 이직을 했네요.
해당 부분을 고민하시거나 취업을 앞둔 분이시라면 여러 방면에서 경험해본 제가 도움을 많이 드릴수 있을거 같습니다. ^^
저도 취업 및 이직시 항상 향후 커리어 문제로 정말 고민이 많았으며, 저와 같은 상황을 겪고 계신 분이라면 도움을 드릴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면접/이직에 성공률은 90%가 넘으며, 멘티님과 이야기를 나누며 고민 상담 및 맞춤 멘토링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간단한 경력소개 📝
입사 후 4년은 백엔드(Spring F/W)과 데이터 엔지니어링(ETL) 업무를 주로 하였으며, 클라우드 전문 회사로 이직 후 클라우드 기술지원 및 아키텍처 그리고 DEVOPS 업무를 5년째 하고 있습니다.
이런분이면 강력 추천합니다.👍
- 아직 취업전분들이시라면, 이력서 및 포트폴리오 피드백 또는 면접에 나올만한 질문이 궁금하신 분들 (면접관으로 참석을 하기에 피드백을 드릴수 있을거 같습니다.)
- 이미 개발 업무를 진행하신 분들이라면, 커리어 고민 및 이직 상담을 원하시는분들
(다양한 경험을 했기때문에 자세한 가이드 제공해 드릴수 있을거 같습니다.)
- 그 외 다양한 이야기 하고 싶으신분들 모두 환영합니다.
진행방식
- 아래 두가지 방식으로 진행하며, 멘토링 요청시 희망하시는 방식을 멘토링 신청시 기입해주세요.
현재 처한 상황 및 주요 고민점을 써주시면 멘토링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을거 같습니다.
1. 개인 맞춤형 상담
- 포트폴리오 및 이력서 (없을시 간략히 자기소개) 및 궁금하신 점 (포트폴리오 수정 및 이력서 수정 또는 방향성 문의) 메일 전달
- 예약된 시간에 사전에 의사소통한 내용 기반으로 상담 진행
2. 모의면접
- 포트폴리오 및 이력서 (없을시 간략히 자기소개) 및 궁금하신 점 (포트폴리오 수정 및 이력서 수정 또는 방향성 문의) 메일 전달
- 예약된 시간에 모의 면접 진행하며 끝나고 난 후 예상 질문 전달 및 피드백 전달
3. 커리어 이야기
- 클라우드 / 인프라 엔지니어, DEVOPS가 되기 위해 알아야할 것.
준비해야할것을 이야기 나누며 현재 가지고 있는 고민에 대해서 같이 고민하고 질의 응답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4. 시간
- 30분으로 진행하며, 구글 밋과 전화 통화로 이루어 집니다.
5. 공통
- 멘토링이 끝나고 난뒤에도 궁금한점이나, 고민할 점 이메일로 언제든지 문의 주시면 답변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강의
수강평
- 아키텍처 설계 및 구현 (기초편)
- 아키텍처 설계 및 구현 (기초편)
- 아키텍처와 함께하는 부하(성능) 테스트 with Locust
- 아키텍처 설계 및 구현 (기초편)
게시글
질문&답변
NAT Gateway 역할
안녕하세요.일단 질문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 첫번째 질문부터 답변을 드리자면,NAT 인스턴스 즉 NAT 게이트웨이의 역할은 프라이빗 서브넷에 존재하는 리소스가 외부로 나갈때 필요합니다. 즉 프라이빗 서브넷에 존재하는 리소스의 아웃바운드 처리를 위해 NAT 인스턴스나 NAT 게이트웨이가 사용 됩니다. 😀 두번째 질문의 답변은 아래와 같습니다.IGW가 NAT역할을 해준다는것은 조금 오해가 있으신거 같습니다. IGW는 퍼블릭 서브넷과 연결된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말하며, 이는 즉 퍼블릭 서브넷은 IGW를 통해서 인터넷과 다이렉트로 통신을 하기 때문에 NAT 게이트웨이 및 NAT 인스턴스가 필요 없는 부분 입니다. 😀 두 개의 질문 모두 서브넷과 관련되어 보시면 해결이 될 문제라고 생각되며 퍼블릭 서브넷과 프라이빗 서브넷을 좀 더 이해하시면 완벽히 이해되시리라 생각 됩니다. 😀 추가로 이해가 안되시거나, 좀 더 설명이 필요한 부분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세요. 감사합니다. 😀
- 1
- 2
- 57
질문&답변
my-app 보안그룹 설정할때 alb db port여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일단 보안그룹을 설정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ALB는 퍼블릭 서브넷에 위치하고 있어서 외부에서 들어오는 트래픽을 받고 있습니다. 이 트래픽을 프라이빗 서브넷에 존재하는 EC2 인스턴스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my-app 보안그룹에 ALB의 보안그룹을 추가해 놓아야 합니다. 그래야 외부에서 접근하는 트래픽이 ALB를 거쳐 EC2 인스턴스에 존재하는 App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RDS를 my-app 보안그룹에 추가한 이유도 간단합니다. my-app 보안그룹에 RDS 보안그룹을 추가함으로써, EC2 인스턴스에서 RDS로의 데이터 베이스 연결이 허용 됩니다. 이를 통해서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위와 같이 설정 해야 외부 사용자가 요청한 내용을 처리후 정상적으로 값을 사용자에게 전달 할 수 있습니다.😀 충분한 답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감사합니다.
- 1
- 1
- 49
질문&답변
db 가용화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좋은 질문을 주셨네요. 😀 저희 강의에서는 AWS Free-Tier 환경이기 때문에 AWS RDS 옵션인 "가용성 및 내구성" 옵션을 해제 후 RDS를 생성 하였습니다. (해당 옵션을 사용 시 과금이 발생합니다.)그래서 만약에 운영환경에서 RDS를 생성 하실때에는 아래의 옵션을 활성화 하셔서 DB를 구성하시면 됩니다.(사진)충분한 답변이 되셨을까요?감사합니다. 😀
- 1
- 1
- 33
질문&답변
VSCODE EXTENSION
안녕하세요.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일단 Terraform과 관련된 extension은 아래와 같습니다.(사진)그외 extension중에 특별한 것은 없고요, 테마 그리고 Github 등 일반적인 것들이 존재합니다.혹시 어떤거 때문에 궁금하신지 자세히 알려주시면, 좀 더 디테일한 답변 가능할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 1
- 1
- 38
질문&답변
성능 병목 지점 확인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문의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두가지에 대해서 문의를 주셨는데요,질문1). 일반적으로 개발 후 테스트 할 때는 순수하게 결과만으로 병목지점을 찾아야 하는데 (일부로 병목지점을 넣은게 아니라면), 결과 값만 가지고 병목지점을 찾는 내용은 따로 없을까요 ? (혹시 병목지점을 찾는 강의 내용은 성능 병목 지점 만들고 결과 분석 강의의 수업노트에 있는 내용이 다인걸까요?)→ 답변: 네 이부분은 저도 고민을 했었는데요, 결과적으로 병목을 만들기가 쉽지 않아서, 따로 내용을 넣지는 못했습니다. 그나마 RPS의 차이를 유발할 수 있는 time.sleep(5) 내용을 추가했던것으로 기억 되네요.저 같은 경우는 실제로 서비스 오픈전에 해당 Locust를 가지고 부하 및 성능 테스트를 진행 했었는데요, 병목 현상은 주로 DB 쿼리에서 많이 발생 했었던 기억이 납니다. 😀 질문2). 성능 병목 지점 만들고 결과 분석 강의의 수업노트를 보면 TPS 분석이 있습니다. Locust도 TPS를 측정한게 있나요 ? RPS만 보여서요.→ 답변: Locust는 기본적으로 RPS를 기준으로 부하 및 성능을 측정합니다. ㅎㅎ 이게 다른 부하테스트 도구와는 좀 다른점인데요, 일단 RPS와 TPS의 차이점을 간략하게 말씀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RPS (초당 요청 수): 서버가 초당 처리할 수 있는 HTTP 요청의 수를 나타냅니다. 주로 웹 서버의 성능을 측정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 로딩, API 호출 등의 요청을 포함합니다. TPS (초당 트랜잭션 수): 데이터베이스나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초당 처리할 수 있는 트랜잭션의 수를 나타냅니다. 트랜잭션은 하나 이상의 작업 단위를 포함하며,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은행 계좌 이체, 주문 처리 등의 작업을 포함합니다.위의 설명드린 부분과 같이 제가 수행했던 프로젝트는 은행이나 주문처리 처럼 트랜잭션이 많이 발생하는 서비스가 아닌 웹페이지 및 API 호출등이 주된 서비스라 저같은 경우는 Locust를 활용해 RPS로 부하 및 성능 측정을 진행 했습니다. ㅎㅎ 😀 참고 부탁드립니다.그리고 추가로 RPS값을 기준으로 TPS값을 측정 할 수도 있습니다.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일반적인 예시를 들어 설명을 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사용자 50명이 1시간 동안 부하를 발생했을 때 평균 RPS가 5.5라고 가정하면, TPS를 계산하기 위해 트랜잭션당 요청 수를 알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트랜잭션이 3개의 요청으로 구성된다고 가정하면, TPS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RPS (Requests Per Second): 5.5트랜잭션당 요청 수: 3[ TPS = 5.5 ÷ 3 = 1.83 따라서, 평균 RPS가 5.5이고 하나의 트랜잭션이 3개의 요청으로 구성된다면, TPS는 약 1.83이 됩니다. 😀 충분한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혹시 다른 문의 사항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세요.감사합니다. 😀
- 1
- 1
- 45
질문&답변
부하 테스트 Tool로써 Locust를 선택하신 이유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밑에 인프런 AI 인턴님께서도 친절하게 답을 해주신거 같아요. ㅎㅎ특별한 이유는 없습니다. ㅎㅎ 저는 사실 개발자이기 보다는 아키텍트에 가까워서 여러가지 항목 중 사용성과 그리고 유연성, 실시간성 등을 고려해서 Locust를 선택 했던거 같습니다. 😀추가하자면, nGrinder와 Jmeter 모두 검토 하였으나, 가장 사용하기 편한 도구로 Locust가 가장 적합했던 것으로 기억 합니다. (nGrinder는 Agent를 별도로 설치 해야 하고, Jmeter는 테스트 시나리오를 구성하기가 개인적으로 좀 까다로웠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 )그 외 특별한 이유는 없으며, 질문자 님께서 편하신 툴을 사용하셔서 부하테스트나 성능 테스트를 진행 하시면 될거 같습니다.기회가 된다면 nGrinder를 활용한 성능 및 부하 테스트 강의도 제작 하려고 생각은 하고 있습니다.충분한 답변이 되셨길 바라며,좋은하루 되세요.감사합니다.
- 2
- 2
- 54
질문&답변
vscode
안녕하세요.김수민님 ㅎㅎ 반갑습니다.질문 내용으로 보아 java 예제 애플리케이션 빌드를 하시려는거같습니다.강의에서는 아마 InteliJ 커뮤니티 버전에서 빌드 후 jar파일로 만들고 해당 파일을AWS 환경에서 실행 하는 구조인데요.가능하시다면 InteliJ 커뮤니터 버전을 설치 후 강의 내용대로 진행을 해주시면 될거 같습니다. 인텔리J 커뮤니티 버전 다운로드 URL : https://www.jetbrains.com/ko-kr/idea/download/?section=windows해결이 어려우시거나 다른 문의 사항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세요. 😄 충분한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0
- 1
-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