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50
0
수업에서, 리틀 엔디안의 장점이 캐스팅에 용이하다 하셨는데, 78 56 43 21일때, 78을 빼낼 때에 용이한 것은 이해가 되는데, 뒤에 값들을 빼내는 것은 어차피 리틀엔디안이나 빅 엔디안이 똑같은 거 아닌가요? 아니면 캐스팅이 마지막 부분의 값만 빼오는 것을 의미하는 건가요?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양평화님.
리틀 엔디안과 빅 엔디안은 바이트 순서가 다르기 때문에 메모리의 데이터를 읽을 때 접근 방식이 다릅니다. 리틀 엔디안에서는 낮은 주소부터 높은 주소로 읽을 때 값이 저장됩니다. 이로 인해 캐스팅 시 특정 바이트를 쉽게 추출할 수 있습니다. 인텔 프로세서와 같은 많은 CPU 아키텍처가 리틀 엔디안을 사용하며, 이는 특정 데이터 타입의 하위 바이트(예: 16비트 값의 하위 8비트)를 간편하게 추출할 수 있게 합니다.
리틀 엔디안에서 32비트 숫자 78 56 43 21
을 예로 들면, 가장 낮은 주소에 21이 저장되고 가장 높은 주소에 78이 저장됩니다. 이 방식은 특히 여러 바이트 크기의 정수 연산을 수행하거나 자료형을 변화할 때 유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위 16비트를 읽는 작업은 가장 초기에 위치한 2바이트만을 읽으면 되므로 빠르고 효과적입니다.
다음의 유사한 질문과 답변이 도움될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