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01
·
수정됨
0
안녕하세요! 저는 프로덕트 디자이너를 희망하는 취준생입니다. 데이터 리터러시 강의를 처음 수강해봐서 제가 할 수 있는 선에서 진행을 해봤습니다. 부족한 부분이 많지만 제가 궁금한 점은 지금 제가 낸 답변에 대한 방향성이 맞는 지에 대한 여부입니다. 분명 해결책 측면에선 구체화되지 않고 부족하지만 전체적인 흐름이 맞는지 피드백을 듣고 싶어 질문을 남깁니다.
문제 1.
1-1. 각 메뉴들의 ctr을 우선적으로 확인 (어떤 메뉴의 컴포넌트 영역이 가장 많이 클릭이 되었는 지 확인 필요)
1-2. 탐색->매장->메뉴->주문->결제->완료로 음식점을 찾는 고객의 여정을 봤을 때
퍼널의 끝인 결제 완료 화면에 지표가 많다면 결제하는 고객들이 많아지게 만든 것이므로 지표가 잘 동작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문제 2.
2-1. 검색 결과 화면
검색 결과 후 화면을 클릭했는 지 확인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검색이 잘 되면 계속 주문을 위한 다음 단계를 진행할 것이고 아니라면 이탈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문제 3.
3-1.
검색 기능의 ctr : 사용자가 검색 기능에 얼마나
유입됐는지, 얼마나 자주 사용했는지
필터 기능의 ctr : 사용자가 검색 후 필터까지 유입됐는지, 얼마나 자주 사용했는지
3-2
사용자가 필터 기능들을 적용 후
사용자가 필터 기능들을 적용 후 주문율 cvr이 증가했는지
문제 4.
4-1. 주문 완료율 CVR이 가장 중요
4-2. 배달 서비스의 최종적인 목적은 주문을 통해 수익을 내는 것이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지표라고 판단
4-3.
늘리는 방법:
답 1: 쿠폰, 이벤트 프로모션
이유: 혜택 쿠폰 및 이벤트 프로모션을 사용자에게 발행하면 사용자의 주문 전환율이 높아질 것이다
답 2: 사용자가 자주 찾는 음식점 할인 쿠폰
이유: 자주 사용하는 음식점의 할인 쿠폰을 사용자가 서비스에 접속했을 때 바로 확인할 수 있으면 주문 전환율이 높아질 것이다
사용자
줄이는 방법:
답 1: 주문 완료까지의 뎁스를 길게 만들기
이유: 주문 완료까지의 과정이 길어지면 중간에 이탈하는 사용자가 발생하면 주문 전환율이 감소할 것이다
답 2:탐색 과정에서 원하는 음식점을 찾는 과정의 뎁스를 길게 만들기
이유: 탐색 과정이 길어지면 중간에 이탈하는 사용자가 발생해 주문 전환율이 감소할 것이다
답 3: 탐색 과정에서 원하는 음식점을 찾는 과정이 바로 나오지 않게 만들기
이유: 탐색 과정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에 맞는 음식점이 바로 나오지 않으면 사용자는 실망하고 이탈하게 될 것이다
문제 5.
추천 상품의 클릭률 ctr: 추천 상품을 사용자에게 관심을 끌었는지
추천 상품을 보고 결제로 전환되는 cvr: 추천 상품이 결제로 이어졌는지
문제 6
6-1.
카카오톡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는 접속 빈도에 대한 DAU 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카카오톡 서비스의 목적은 다른 사용자와의 소통이기 때문에 소통을 위해 얼마나 자주 방문하는 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6-2.
카카오톡 체류시간에 대한 DAU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서비스를 머무르는 시간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하는 액션의 경우의 수가 다양해지기 때문입니다.
문제 7
7-1.
답변 1: 온보딩 프로세스 완료율
온보딩 프로세스 완료율이 높으면 사용자가 온보딩 과정이 필요하다고 인지하는 것이기 때문이고
온보딩 프로세스 완료율이 낮으면 사용자가 온보딩 과정에서 부담을 느끼는 것이기 때문에 개선이 필요합니다.
답변 2: 온보딩 프로세스 완료 후 가입율
프로세스 완료 후 가입율이 높으면 사용자가 온보딩 과정에서 불만을 느끼지 않는 것이고
가입율이 낮으면 온보딩 과정에서 사용자가 가입을 할 만큼 서비스에대한 이점을 어필하지 못한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답변 2
1
0
희선님 안녕하세요. 문제 푸느라 고생하셨어요!
하나씩 피드백을 드려볼게요
문제 1.
1-1. 각 메뉴들의 ctr을 우선적으로 확인 (어떤 메뉴의 컴포넌트 영역이 가장 많이 클릭이 되었는 지 확인 필요)
1-2. 탐색->매장->메뉴->주문->결제->완료로 음식점을 찾는 고객의 여정을 봤을 때
퍼널의 끝인 결제 완료 화면에 지표가 많다면 결제하는 고객들이 많아지게 만든 것이므로 지표가 잘 동작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표 관련해서 이야기를 할 때는, 지표의 정의와 구성 요소를 정확하게 써주시는 것이 좋아요(사람들마다 다르게 이해하는 경우가 있거든요)
CTR이라고만 하지 않고, 어떤 것에 대한 CTR인지 명시하면 좋아요
예를 들어 각 메뉴 버튼의 CTR = 메뉴 버튼 클릭 수/HOME 화면에 진입한 수
이렇게 분자 분모까지 같이 이야기해주시면 더 잘 정리된 형태가 됩니다
왜 CTR을 선택했는가? 근거까지 같이 생각해보면 앞으로 지표 정의할 때도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2번 관련해서 퍼널의 끝인 결제 완료 화면에서 지표가 많다면이라고 해주셨는데 "어떤 지표"인지가 나와있지 않네요. 데이터 관련해서 이야기를 할 때는 구체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좋아요. 어떤 지표라는 것이 위에서 말한 CTR일까요? 위에서 말한 CTR은 홈 화면의 CTR인 것 같아서 결제 완료쪽의 지표는 아닌 것 같네요
결제 완료에서 "어떤 이벤트 또는 어떤 지표"가 좋다면 같이 구체적으로 써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만약 CTR을 의미한다면 위에서 정의한 지표 또는 CTR이라고 명시하면 되는거구요
의사 결정을 할 때, 위에서 정의한 지표와 결이 맞아야 합니다. 지금은 홈 화면의 지표 정의하고 뒷단까지 고려한 것인데, 아마 CVR(결제 전환율)을 생각하신건가? 싶네요. 1-2에 써주신 내용은 결제 전환율의 느낌과 유사해서 제 의견을 보시고 다시 어떻게 수정할지도 고민해보시면 어떨까 싶어요
문제 2.
2-1. 검색 결과 화면
검색 결과 후 화면을 클릭했는 지 확인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검색이 잘 되면 계속 주문을 위한 다음 단계를 진행할 것이고 아니라면 이탈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여기서도 지표의 이름을 구체적으로 지어주면 좋아요. 또한 화면 클릭수라는 것이 정확하게 무엇인지 정의를 해주셔야 해요
"화면"이란 것은 클릭이 아니라 VIEW를 하거든요. 화면 클릭수가 아니라 그 화면에 있는 검색 결과 중 하나를 클릭하는 것을 나타내고 싶었을 것 같네요
문제 3.
3-1.
검색 기능의 ctr : 사용자가 검색 기능에 얼마나
유입됐는지, 얼마나 자주 사용했는지
필터 기능의 ctr : 사용자가 검색 후 필터까지 유입됐는지, 얼마나 자주 사용했는지
3-2
사용자가 필터 기능들을 적용 후
사용자가 필터 기능들을 적용 후 주문율 cvr이 증가했는지
여기서 지표를 잘 정의해주셨고, 위에 말씀드린 것처럼 분자와 분모를 같이 명시하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필터 기능은 여러가지 옵션이 있는데(3가지) 이 정보를 알게 되었으면 지표를 어떻게 정의하시겠어요?
문제 4.
4-1. 주문 완료율 CVR이 가장 중요
4-2. 배달 서비스의 최종적인 목적은 주문을 통해 수익을 내는 것이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지표라고 판단
4-3.
늘리는 방법:
답 1: 쿠폰, 이벤트 프로모션
이유: 혜택 쿠폰 및 이벤트 프로모션을 사용자에게 발행하면 사용자의 주문 전환율이 높아질 것이다
답 2: 사용자가 자주 찾는 음식점 할인 쿠폰
이유: 자주 사용하는 음식점의 할인 쿠폰을 사용자가 서비스에 접속했을 때 바로 확인할 수 있으면 주문 전환율이 높아질 것이다
사용자
줄이는 방법:
답 1: 주문 완료까지의 뎁스를 길게 만들기
이유: 주문 완료까지의 과정이 길어지면 중간에 이탈하는 사용자가 발생하면 주문 전환율이 감소할 것이다
답 2:탐색 과정에서 원하는 음식점을 찾는 과정의 뎁스를 길게 만들기
이유: 탐색 과정이 길어지면 중간에 이탈하는 사용자가 발생해 주문 전환율이 감소할 것이다
답 3: 탐색 과정에서 원하는 음식점을 찾는 과정이 바로 나오지 않게 만들기
이유: 탐색 과정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에 맞는 음식점이 바로 나오지 않으면 사용자는 실망하고 이탈하게 될 것이다
이 부분에서 자신의 생각을 전개하신 것 좋아요. 지금은 데이터를 본 것이 아니니 이렇게 어떤 상황이라고 가정하고 뭘 해볼 수 있겠다 연습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 문제의 의도는 비즈니스 모델을 고려한 지표를 떠올릴 수 있는가?가 핵심입니다
그래서 지표를 비즈니스 모델과 관련된 지표를 뽑는 것이 필요한데, 주문 관련한 주문 전환율을 해두셨으니 잘하셨어요
위 영상에 제품 성장 단계에 따른 지표 정의에 대해 발표했는데 이 영상 보시면 더 잘 이해가 되실 것 같아요
Action Item을 주신 것 관련해서
쿠폰이나 프로모션은 할 수 있지만, 회사에서 이익 관점으로는 좋지 않을 수 있어요. 왜냐하면 쿠폰, 프로모션 만큼 비용을 부담하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저는 마케팅이나 쿠폰 등으로 지표를 올리는 것은 지양하고, 제품 자체에서 어떤 기능이 있어야 고객들이 더 쓸까?를 고민합니다. 디자이너를 고민하고 계시면 제품팀에 소속될 확률이 클텐데 제품 관점으로 생각해보셔요.
내가 일상에서 제품을 꾸준하게 쓰기 위해 앱이 도와주는 경우가 있는지 살펴보시고, 습관 형성을 어떻게 할 수 있을까? 고민하시면 더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쿠폰을 주면 단기적으론 지표가 올라도, 이익이 감소하기 때문에 다른 이슈가 있을 수 있다는 관점이고 쿠폰을 계속 주면 사용자가 그것을 학습해서 쿠폰이 없으면 주문을 하지 않을 수 있어요
주문 완료까지의 뎁스를 길게 만들기라고 해주셨는데, 보통 뎁스가 길어지면 사람들이 이탈을 더 많이 하게 됩니다. 뎁스가 길어지면 주문 전환율이 감소할 것이다라고 해주셨는데 뎁스를 길게 만들기라고 써주셨네요.
답 1~3에 쓰신 것과 이유가 반대인 것 같아요. 모두 다 답과 이유가 상반되는 것 같네요..!?
문제 5.
추천 상품의 클릭률 ctr: 추천 상품을 사용자에게 관심을 끌었는지
추천 상품을 보고 결제로 전환되는 cvr: 추천 상품이 결제로 이어졌는지
말씀해주신 지표를 많이 사용하고, 알고리즘(검색, 추천 등)은 이미 알고리즘 개발하는 단계에서 지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런 알고리즘은 별도의 지표가 있을 수도 있겠다! 정도로 생각하시고 아래 글도 살펴보셔요
지표 관련해서 알고리즘 문제라면 -> 제품 관점의 지표(CTR/CVR)와 알고리즘 관점의 지표으로 나눌 수 있다! 만 이해하셔도 충분합니다
문제 6
6-1.
카카오톡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는 접속 빈도에 대한 DAU 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카카오톡 서비스의 목적은 다른 사용자와의 소통이기 때문에 소통을 위해 얼마나 자주 방문하는 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6-2.
카카오톡 체류시간에 대한 DAU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서비스를 머무르는 시간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하는 액션의 경우의 수가 다양해지기 때문입니다.
카카오톡의 DAU가 중요하다고 해주셨는데, DAU도 중요한 지표긴 하나 Output Metric(결과 지표)입니다. 조금 더 Input Metric을 생각해보시면 어떤 것을 활용해야 할까요? 아까 위에서 유튜브 영상 공유드렸는데 그걸 보시면 생각을 더 하실 수 있을 것 같아요. Core Event라는 단어가 나오는데 이걸 확인해보시면 될 것 같아요. 힌트를 살짝 드리자면 이미 글에 사용자들의 소통이 써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얼마나 메시지를 보내는가? 메시지를 보내는 사람의 수 등이 조금 더 Input metric으로 볼 수 있을 거예요.
6-2에 카카오톡 체류 시간에 대한 DAU라는 지표가 어색하네요. 카카오톡의 체류 시간이면 체류 시간이고, DAU면 DAU에요. 두개가 혼합되서 쓰시게 된 이유가 있을까요?
그리고 카카오톡에서 DAU가 중요하다고 하실거라면, 저는 액션의 수가 다양한 것보단 카카오톡의 채팅 탭 상단에 광고가 있기 때문에 광고 노출을 늘릴 수 있어서 DAU가 중요하다고 할 것 같네요. 회사에서는 돈을 버는지도 중요하기 때문이죠. 단순 액션의 수가 많아진다고 돈을 버는 것은 아니니 명시적으로 돈 버는 쪽으로 이야기를 할 것 같아요
문제 7
7-1.
답변 1: 온보딩 프로세스 완료율
온보딩 프로세스 완료율이 높으면 사용자가 온보딩 과정이 필요하다고 인지하는 것이기 때문이고
온보딩 프로세스 완료율이 낮으면 사용자가 온보딩 과정에서 부담을 느끼는 것이기 때문에 개선이 필요합니다.
답변 2: 온보딩 프로세스 완료 후 가입율
프로세스 완료 후 가입율이 높으면 사용자가 온보딩 과정에서 불만을 느끼지 않는 것이고
가입율이 낮으면 온보딩 과정에서 사용자가 가입을 할 만큼 서비스에대한 이점을 어필하지 못한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AB Test 쪽 보시고 다시 문제를 보시면 제 의도가 보일 것 같아요. 실험 파트 보시고 문제 다시 살펴봐주셔요!
프로덕트 디자이너를 희망하시는데 이렇게 생각하신 것 자체가 굉장히 훌륭하다 생각해요. 제가 말씀드린 피드백을 통해서 조금 더 고민해보시고 끝까지 수강해보셔요. 데이터 기반으로 생각할 수 있는 디자이너는 귀하더라구요.
강의 마지막에 있는 PM의 퍼널 개선기 내용도 살펴보시면 문제 해결을 어떻게 하시는지 알 수 있을 것 같아요. 아래 글을 먼저 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https://tech.socarcorp.kr/product/2022/06/02/reservation-funnel-improvement-with-abtest.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