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김수진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수진

작성한 질문수

설계독학맛비's 실전 FPGA를 이용한 HW 가속기 설계 (LED 제어부터 Fully Connected Layer 가속기 설계까지)

[FPGA 16장] FSM 을 이용한 BRAM Data Mover 모듈 설계 - 실습편

테스트 벤치 이슈

작성

·

45

1

안녕하세요 🙂

[1. 질문 챕터] : 16장

[2. 질문 내용] : 맛비님 제가 버그 픽스했다는 코드랑 원래 코드랑 딜레이쪽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보고싶어서 data mover 파일만 16장에서 주신 코드로 바꾸고 15장에서 사용했던 테스트 벤치를 돌려봤는데요 시뮬레이션이 끝나지 않아서 웨이브 폼을 좀 돌려보다가 is_read_done신호랑 is_write_done 신호가 c_state가 RUN일때 X 상태로 변하고 그것때문에 addr cnt가 초기화가 안되는것을 발견했습니다(write read 둘다). 그런데 강의에서 보면 맛비님 컴퓨터에선 테스트벤치가 잘 작동한것처럼 보이고 코드에서 is_read_done이랑 is_write_done 신호를 assign한 부분 체크해보는데 별 문제도 없어보여서 혼란스럽네요 ㅜㅠ 그냥 제 컴퓨터가 이상한 부분일까요? 아니면 예전 파일 테스트벤치용이라 고친 파일에서는 작동을 안하는걸까요? 참고로 코드에는 손대지 않았습니다!

스크린샷 2025-06-12 102419.png.webp

 

[3. 시도했던 내용,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 :

 

================ 다음 내용은 읽어보시고 지우시면 됩니다.=================

질문 내용을 작성해주실 때, 위의 3단계로 제가 이해할 수 있게 작성해주시면 정확한 답변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

현업자인지라 업무때문에 답변이 늦을 수 있습니다. (길어도 만 3일 안에는 꼭 답변드리려고 노력중입니다 ㅠㅠ)

  1. 강의에서 다룬 내용들의 질문들을 부탁드립니다!! (설치과정, 강의내용을 듣고 이해가 안되었던 부분들, 강의의 오류 등등)

  2. 이런 질문은 부담스러워요.. (답변거부해도 양해 부탁드려요)

    1. 개인 과제, 강의에서 다루지 않은 내용들의 궁금증 해소, 영상과 다른 접근방법 후 디버깅 요청, 고민 상담 등..

  3. 글쓰기 에티튜드를 지켜주세요 (저 포함, 다른 수강생 분들이 함께보는 공간입니다.)

    1.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2. 질문글을 보고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남겨주시면 답변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4.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5.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답변 2

0

설계독학맛비님의 프로필 이미지
설계독학맛비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먼저 툴 버전으로 인해서 시뮬레이션이 틀어지는 경우는.. 정말 극히 드물기 때문에,

코드를 의심해보라고 하고 싶어요.

그리고.. 굉장히 어려운? 질문인데요. (크로스..? 로 해본적은 저도 없기 때문에)

이럴때는 diff 를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5장, 16장의 TB 코드와 mover 코드의 diff 를 해보시겠어요?

거기서 답을 찾으셨으면 좋겠네요.

즐공하세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김수진님이 언급하신 테스트 벤치 이슈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문제 요약

김수진님께서 16장의 버그 픽스된 코드와 15장의 테스트 벤치를 결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셨을 때, 시뮬레이션이 완료되지 않는 문제를 발견하셨습니다. 특히, is_read_doneis_write_done 신호가 RUN 상태에서 X로 변하면서 주소 카운터 초기화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가능한 원인 및 해결책

  1. 시뮬레이션 환경 차이:

    • 원래 수업에서 사용된 환경과 현재 사용하는 환경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시뮬레이션 설정, 라이브러리 경로, 컴파일러 버전 등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 초기 조건 검토:

    • is_read_doneis_write_done 신호가 적절히 초기화되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3. 신호 라우팅 및 연결 확인:

    • RUN 상태에서 X 값을 갖게 되는 경로를 확인하여, 신호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구간이 있는지 점검하세요.
  4. 기존 강의 파일 비교:

    • 강의에서 제공된 자료와 본인이 사용하는 파일을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세요. 가끔 환경 설정이나 파일 경로에서 미세한 차이가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5. 버전 호환성 체크:

    • 시간 지남에 따라 환경 및 도구의 버전이 업데이트되며, 이로 인해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Vivado 및 기타 관련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확인하고 최신 상태인지 점검하세요.

추천 참고 링크

이러한 상황을 전반적으로 점검 후에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더 자세한 로그 메시지나 구체적인 코드 샘플과 함께 추가 문의를 남겨주시면 보다 구체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답변 드리겠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김수진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수진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