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40
0
yarn start:dev 를 할 경우
Many to Many 로 자동으로 생성되는 table이
자꾸 문제를 일으키네요.
서버 재 실행시 기존에 만들어진 중간테이블 강의에서는 상품_상품태그 테이블이 되겠네요.
해당 테이블을 삭제후 실행하지 않으면 에러발생시키네요.
원인을 찾아보면 아래 코드의 주석된 custom join table 이 문제였는데요.
기본 @JoinTable 사용시 문제는 사라집니다.
// @JoinTable({
// name: 'PRODUCT_TO_PRODUCT_TAG', // 원하는 중간 테이블명
// joinColumn: {
// name: 'PRODUCT_ID', // Product 엔티티 ID를 참조하는 컬럼명
// referencedColumnName: 'productId', // Product 엔티티의 실제 ID 컬럼명 (기본값은 PrimaryColumn 이름)
// },
// inverseJoinColumn: {
// name: 'PRODUCT_TAG_ID', // ProductTag 엔티티 ID를 참조하는 컬럼명
// referencedColumnName: 'productTagId', // ProductTag 엔티티의 실제 ID 컬럼명
// },
// })
@JoinTable()
@ManyToMany(() => ProductTag, (productTags) => productTags.products)
@Field(() => [ProductTag], { nullable: true })
productTags: ProductTag[];
질문 1.
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질문 2.
DB 컬럼에는 UPPER_CASE (SCREAMING_SNAKE_CASE) 로 작성하지 않나요?
그렇기 때문에 custom / 각 컬럼마다
@Column({
name: 'BOARD_TITLE',
type: 'varchar',
length: 50,
nullable: false,
})
@Field(() => String)
boardTitle: string;
위와 같이 컬럼명을 하나하나 지정해줬습니다.
typeorm 또는 요즘 실무 컨벤션에서는 강의에서처럼 카멜표기법으로 사용하나요?
Node 강의지만 Java기준 스프링 기본설정에서 카멜케이스조차도 스네이크로 자동 변환하는데 말이죠!
msa 구조에서는 테이블은 공통된걸 사용할수도 있으니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
답변 3
0
안녕하세요! gkdlsb1234님!
소중한 해결 방법 공유 감사드립니다!^^
추가적으로, 질문 2에서 답변을 드리면, node에서 역시 snake_case 로 테이블명 등이 자동 변환 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데이터베이스의 성격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snake_case의 경우 크게 무리 없이 여러 다른 데이터베이스로의 마이그레이션도 camelCase보다 부드러울 수 있답니다!^^
0
질문1 해결방법으로
yarn add typeorm-naming-strategies
추가 하여 해결
TypeOrmModule.forRoot({
type: process.env.DATABASE_TYPE as 'mariadb',
host: process.env.DATABASE_HOST,
port: Number(process.env.DATABASE_PORT),
username: process.env.DATABASE_USERNAME,
password: process.env.DATABASE_PASSWORD,
database: process.env.DATABASE_DATABASE,
entities: [__dirname + '/**/*.entity{.js,.ts}'],
synchronize: true, // entities 와 DB간 동기화
logging: true,
namingStrategy: new SnakeNamingStrategy(),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gkdlsb1234님.
제출하신 질문에서는 Many to Many 관계 설정과 데이터베이스 컬럼 네이밍 컨벤션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주제는 엔티티와 테이블 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개발 과정에서의 표준화를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Many to Many 관계에서 @JoinTable 설정이 서버 재실행 시 자동 생성 테이블에 문제를 일으킨다고 하셨는데요, 기본 @JoinTable()로 변경 시 문제 해결을 확인하셨습니다.
해결 방법:
- 커스텀 joinTable 설정을 사용할 때 명시된 name과 컬럼들이 기존 테이블의 스키마와 불일치하는 경우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해결책은 기존 테이블 구조를 정확히 반영하거나, 변경 시 마이그레이션 파일을 생성하여 DB 구조를 업데이트하는 것입니다.
이 부분은 엔티티와 실제 DB 구조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며, TypeScript에서 각 컬럼과 테이블 네이밍이 정확한지 검토하세요.
데이터베이스에서 컬럼 네이밍 컨벤션에 대해 문의하셨습니다.
네이밍 컨벤션:
- TypeORM에서는 컬럼명에 대한 명시가 없을 경우, 기본적으로 카멜케이스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code-level에서 편리합니다.
- 실무에서는 DB 관리의 편의성과 표준화를 위해 컬럼명을 UPPER_CASE / SNAKE_CASE로 작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특정 프로젝트의 컨벤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주로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접근하는 경우 속도와 협업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스프링을 사용한 Java 환경에서는 보통 SNAKE_CASE가 기본이므로 서로 다른 환경에 대해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집니다.
다양한 환경에 대한 고려:
- MSA 구조에서는 서비스 간의 의존성을 줄이는 것이 핵심입니다. 따라서 테이블 간의 네이밍 또한 독립적이고 명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가로 이 링크에서는 TypeORM에서의 Many to Many 관계 설정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합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