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47
0
선생님 안녕하세요.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대기 메서드가 호출되면 락이 해제되고,
=> 대기 메서드가 호출 되면 락이 해제되는 것까지는 이해했습니다.
신호 메서드(notify)가 호출되어 대기 메서드에서 반환하기 전에 스레드는 락을 다시 획득한다.
=> 이부분이 잘 이해되지 않는데요. 대기 메서드가 호출되면서 락이 해제, 와 동시에 신호 메서드가 호출되어 대기가 다 끝나기전에 (wait) 락을 다시 획득한다는 말인가요?
즉,
public wait () {
1. 락 해제
2. 신호 메서드 호출 (notify all)
3. Thread.currentThread -> 락 획득??
}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김규영님, wait()
와 notify()
메소드가 자바의 스레드 동기화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해 질문해 주셨네요. 이 두 메소드는 synchronized
블록 내부에서 호출되어야 하며, wait()
메소드가 호출되면 현재 스레드는 해당 객체의 모니터 락을 해제하고 대기 상태에 들어갑니다. notify()
또는 notifyAll()
메소드는 대기 중인 스레드를 깨워서 다시 실행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보냅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wait()
상태에서 깨어난 스레드가 다시 실행되려면 해당 객체의 모니터 락을 다시 획득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notify()
로 깨워진 스레드는 바로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락을 재획득할 때까지 대기하게 됩니다. 아래 과정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wait()
메소드가 호출되어 락을 해제하고 대기.notify()
또는 notifyAll()
메소드가 호출되면 대기 중인 스레드들에게 신호를 보냄.wait()
메소드를 벗어나 실행을 계속함.이와 관련된 더 많은 설명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