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71
0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다크모드에서 컬러를 정의할 때 아래와 같은 부분이 궁금합니다:
다크모드에서도 반드시 primitive에 정의된 색상만 사용해야 할까요?
예: light에선 blue-800
, dark에선 blue-200
을 썼는데,
다크 배경과 만나니 채도/명도가 너무 튀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 이런 경우 primitive에 없는 색(hex code 등)을 써도 괜찮은지 궁금합니다.
다크모드 전용 색상을 쓸 경우, 그걸 primitive에도 별도 등록해두는 게 일반적인가요?
아니면 그냥 semantic 토큰의 mode:dark
에만 넣어도 문제없을까요?
답변 2
1
darkmoon90님 안녕하세요, 정말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디자인에서 반드시라는 것은 없는 것 같습니다.
규칙은 있지만 만약 말씀하신대로 완성도가 떨어진다면, 당연히 바꿔야 겠죠.
개발자분들과 상의하에 임의에 컬러를 바로 가져오셔도 괜찮습니다. 대신 도큐먼트와 왜 그렇게 했는지 기술을 해놓으면 됩니다. 그래야지 다른 작업자가 와서도 왜 그렇게 했는지 의도를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다크모드 전용 색상이 따로 있고, 동일한 컬러색상 군에 완전히 다른 색이라고 한다면 개인적으로 따로 primitive에도 담아두면 관리하기 좋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pink_light, pink_dark 이렇게 해서 50~900 두시고
primary_text 라이트모드에서는 pink_light 쪽을 다크모드에서는 pink_dark를 선택하는 방법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반드시 primitive의 컬러 스케일도 숫자형태로 하실 필요는 없으시고 darker, lighter 이런식으로 그레이딩을 하셔도 됩니다.
더 궁금하신 부분 있으면 말씀해주세요. 감사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darkmoon90님.
다크모드에서 컬러를 정의할 때의 궁금증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피그마에서 디자인 토큰을 정의할 때, Primitive는 기본적인 색상을 담고 있으며, 이러한 색상은 보통 다양한 모드(라이트/다크)에서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디자인의 목적에 따라 특정 모드에서 다른 색상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다크모드에서 별도의 색상이 필요할 경우, 어떻게 등록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이 되실 수 있습니다.
Primitive에 등록: 다크모드에서 자주 사용하는 색상이라면, Primitive에 추가적인 다크모드 전용 색상 팔레트를 구성하여 관리하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다크모드 관련 작업이 더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Semantic 토큰에만 등록: 다크모드에서만 사용되는 특수한 경우라면, Semantic 토큰에서만 관리하더라도 큰 문제가 없습니다. 이 경우 “mode:dark”로 명확히 구분하여 나중에 유지보수 시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합니다.
관련하여 알고 계시면 도움이 될 자료를 몇 가지 추천드립니다:
디자인시스템 시멘틱 컬러 관련: 시맨틱 컬러 활용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darkmode에 기존 gray50~900을 사용하지 않으려면: 다크모드에서 다른 색상 팔레트를 사용할 때의 방법이 논의됩니다.
각각의 경우가 디자인의 맥락과 요구 사항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선택은 팀 내 합의와 유지보수를 고려하여 결정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