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작성자 없음

작성자 정보가 삭제된 글입니다.

React 비기너: 튼튼한 기본 만들기

3. 이벤트 핸들러: 콘텐트 속성

React 비기너: 튼튼한 기본 만들기 / 섹션22. 이벤트 핸들러 / 3. 이벤트 핸들러: 콘텐트 속성 7:00

작성

·

49

·

수정됨

0

p id =one onclick=show()
1. five 오브젝트를 클릭할때 one onclick 이벤트삭제
2. five 오브젝트를 클릭할때 one onclick null 로 재할당

2번을 쓰게 되는 경우가 어떤경우가 일까요?
1번방법이 일반적으로 쓰게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homehome님께서 질문하신 이벤트 핸들러 제거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1. 이벤트 핸들러 삭제: 이벤트 리스너를 삭제할 때 일반적인 방법은 removeEventListener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addEventListener로 이벤트를 등록했을 때, 같은 인자를 사용하여 removeEventListener를 통해 이벤트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함수의 참조를 이용해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명확하고 안정적인 방법입니다.

  2. 이벤트 핸들러를 null로 재할당: 이벤트 핸들러를 null로 재할당하는 방식은 DOM 속성을 직접 수정하는 것입니다. 이는 주로 inline 이벤트 핸들러를 사용할 때 유용하며, 특정한 상황에서 속성 자체를 제거해야 할 때 사용됩니다. 이 방법은 HTML의 속성으로 이벤트를 설정했을 때 빠르게 핸들러를 비활성화할 수 있지만, 모든 경우에 잘 맞는 방법은 아닐 수 있습니다. 특히 외부 스크립트를 사용하는 상황에서는 코드의 유지보수가 어렵거나 코드의 협력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React의 이벤트 처리와 설정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act에서는 주로 상태 관리를 통해 이벤트를 제어하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DOM 속성에 접근하여 수정하는 것을 지양합니다. React에서는 상태나 props를 통해 이벤트 핸들러를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작성자 없음

작성자 정보가 삭제된 글입니다.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