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김태언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태언

작성한 질문수

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스레드의 대기

스레드 대기 ReentrantLock 설명부분

작성

·

125

0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

[질문 내용]
강의에서 ReentrantLock의 대기큐에서 관리할때 BLOCKED가아닌 WAITING에서 락획득을 대기한다고했는데 찾아봤을때 lock.lock()실행시에는 락을 얻기위해서 BLOCKED 상태이고 condition.await()실행되어야 WAITING상태로 기다리는걸로 알고있는데 혹시 잘못된 강의설명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2

1

김영한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영한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김태언님

도움을 드리고 싶은데, 어떤 자료를 찾아보고 질문하시는 것일까요?

해당 출처에서 설명한 전체적인 문맥을 확인해야 정확한 답변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김태언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태언
질문자

아 일단 제가 헷갈렸던 부분이 락 대기집합(Synchronized)/대기큐(ReentrantLock) + 스레드 대기 공간(newCondition)이 헷갈렸던부분이였는데 잘못된 정보수집을 했던거같습니다ㅠㅠ

 

ReentranLock도 lock()을 쓰더래도 Synchronized 처럼 BLOCKED이였다가 condition.await()를 만나서 WAITING된다고 생각했던거같습니다.

락대기공간과 스레드대기공간이 별개로 보고 Synchronized와 ReentrantLock은 똑같이 BLOCKED로 같지만 await으로 인해서 ReentrantLock내부에서 WAITING으로 바꿔주는걸로 착각했네요.

ReentrantLock은 애초에 lock()으로 WAITING상태로 대기큐에있다가 락을 획득할수있을떄 획득하여 RUNNABLE로 바뀐후 예시코드처럼 while에서 empty거나 max 값이라면 await를 걸어서 대기큐가아닌 스레드 대기공간(condition)으로 가는부분에 대해서 혼동이있엇던거 같습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김태언님.

ReentrantLock에서의 스레드 상태와 관련된 질문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ReentrantLock을 사용하면서 스레드가 대기 중인 상태는 두 가지 주요 상태로 나뉘어집니다:

  1. BLOCKED: 스레드가 lock.lock()을 호출하여 락을 획득하려고 시도하지만, 이미 다른 스레드에 의해 점유된 상태일 때 나타납니다. 이 상태에서는 스레드가 락을 얻기 위해 CPU 자원에 접근하지 못하고 대기하게 되는 상태입니다.

  2. WAITING: Condition 객체의 await() 메서드를 호출하면 스레드는 WAITING 상태로 전환됩니다. 이는 특정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 대기할 준비 상태로, 락을 점유한 스레드가 명시적으로 signal이나 signalAll을 호출하지 않으면 깨어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강의에서 WAITING 상태에서 락 획득 대기를 하는 부분은 Condtionawait()를 사용할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면 일반적인 락 획득 시도에서는 BLOCKED 상태를 참고하는 것이 맞습니다.

관련된 내용을 더 자세히 이해하시려면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모든 스레드가 wait 상태: 스레드의 대기 상태 전이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2. unlock()을 호출 했을 때: ReentrantLock의 사용에 따른 스레드 상태 변경 상황을 다루고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김태언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태언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