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84
0
안녕하세요
k6 부하테스트 강의를 들었는데 그때 수평 확장하는 방법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인스턴스를 늘리는 거에 있어서 수평확장과 az별로 스프링부트 추가하는 거는 똑같지만 용도는 다르다는 것은 알겠어요
인스턴스 늘릴때 수평확장은 단순히 복제 버튼 클릭하여 쉽게 스프링부트를 늘리는데
az는 늘릴 때마다 매번 일일이 수동으로 다 설치해야하는건가요?
답변 2
0
안녕하세요 동아님! 질문 잘 해주셨습니다:)
AWS의 시작 템플릿, 오토 스케일링 그룹(ASG), AMI 개념을 활용하시면
일일이 수동으로 다 설치할 필요 없이 훨씬 간편하게 늘릴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가 도움되실 것 같아 첨부하겠습니다:)
혹시 이 답변이 원하시는 답변이 아니라면 추가적으로 댓글 남겨주세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신동아님.
수평 확장(Horizontal Scaling)과 가용 영역(AZ, Availability Zone)을 사용한 확장에 대해 혼란이 있을 수 있는데, 두 방법은 각각의 목적과 구현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수평 확장(Horizontal Scaling): 이는 인스턴스를 복제하여 부하를 분산시키는 방법입니다. 보통의 경우, AWS에서는 Auto Scaling Group을 사용하여 필요 시 자동으로 인스턴스를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서버 설정이나 애플리케이션 설치를 초기 하나의 인스턴스에 설정한 후, 해당 이미지를 복제하여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설정을 수동으로 반복할 필요 없이, 동일한 이미지로 빠르게 복제할 수 있습니다.
가용 영역(AZ) 사용: AZ는 AWS의 물리적 데이터 센터 내의 독립된 위치를 의미합니다. 리소스를 여러 AZ에 배치하여 가용성을 높이는 것이 목표입니다. 각 AZ에 인스턴스를 수동으로 배포해야 하지만, 인스턴스 템플릿(AMI)을 사용하는 등으로 초기 설정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큰 시스템에서 장애에 대비하는 중요한 방법입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AZ에 배포한다고 해서 매번 수동 설치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인프라 자동화 도구들(Terraform, Ansible 등)을 사용하여 이러한 설정을 더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정보와 관련된 사례는 아래 링크를 참고해 보세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