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57
0
SELECT
c.name
FROM companies c
JOIN games g
ON c.company_id = g.publisher_id
GROUP BY c.company_id, c.name
HAVING COUNT(g.game_id) >= 10;
이렇게 풀어도 되는데, 뭐가 더 좋은 풀이인지 궁금합니다~~
강의에서 설명하신 것처럼, 먼저 뭐부터 뽑을지 정하고, 거기에 필요한 걸(JOIN같은것) 추가하듯이 푸는게 좋은건가요?
답변 2
0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games 테이블이 매우 크고, 이렇게 매우 큰 테이블의 조인키에 인덱스가 걸려있지 않다면 제 풀이처럼 필터링을 먼저 해서 조인 전 데이터를 압축하는게 성능면에서 좋을 수 있습니다. 조인이 굉장히 비싼 연산이기 때문입니다.
SQL 성능 최적화는 상황에 따라 어떤 것이 좋은 풀이인지 달라지기 때문에 어떤 방식이 무조건 좋다고 말하기는 어려워서 어떤 경우에는 Jason 님 풀이가 더 좋을 수도 있습니다. 테이블의 인덱스 구조와 EXPLAIN
을 통한 실행계획을 잘 살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 내용은 데이터리안의 SQL 데이터 분석 캠프 | 마스터반 3주차 ~ 5주차에서도 다루니 참고해주세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Jason님.
SQL 쿼리의 가장 좋은 풀이 방식은 종종 주어진 문제의 목표와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SQL 최적화 및 가독성을 위해 아래와 같은 팁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가독성: 가독성을 높이면 쿼리를 수정하거나 오류를 탐지하기 쉬워집니다. 작은 조각으로 쿼리를 나눈 다음 조합하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더 읽기 쉬운 쿼리를 만들어냅니다. 이 방향에서 보면, 강의에서 소개된 방법(필요한 데이터를 먼저 선택한 후 JOIN을 추가하는)도 좋은 접근 방식입니다.
효율성: 큰 데이터 세트에서 쿼리를 실행할 때는 효율성이 중요합니다. 필터링을 먼저 적용한 후에 필요 시 JOIN을 사용하는 방법은 쿼리를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질문에 사용한 쿼리에서는 ‘출판사별로 10개 이상의 게임을 출시한 회사의 이름’을 얻기 위해 GROUP BY
와 HAVING
절을 사용한 좋은 예제입니다. 이 쿼리는 필요한 데이터를 정확하게 추출하는 적절한 방법입니다.
관련된 예제와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정보를 통해 자신의 쿼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더 깊이 이해하고 싶다면 참조하세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아~~~ 넵!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