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86
·
수정됨
0
안녕하세요
https 예전에 적용해본적이 있었는데 CA기관과 통신하여 개인키 발급받고 하면서 좀 복잡하게한거랑
AWS에서 인증서 발급하고 도메인주소 cname하면서 https 적용 이렇게 해본적이 있는데
1. Nginx는 실무에서 이렇게 간단하게 https 를 적용하나요?
2. 제가 했던것과 방식과 certbot의 차이 혹시 알수 있나요?
단순히 그냥 방법만 다르고 실상은 똑같은 건지 궁금합니다.
3. 스프링부트만으로 aws에서 배포한 적이 있는데 certbot 적용이 가능한가요?
답변 2
0
안녕하세요 동아님! 질문 잘 해주셨습니다:D
실무에서도 강의에서처럼 간단하게 HTTPS를 적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증서를 발급하는 곳이 다르다는 차이점을 제외한다면,
동아님이 수동으로 복잡하게 https를 적용시킨 방법을 certbot이 자동으로 해줬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실제 내부 적용 방식은 동일하게 작동합니다!
네! 가능합니다~!!
이 외로 또 의문점 생기시면 댓글 달아주세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신동아님.
Nginx에서 HTTPS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질문 주셨군요. HTTPS 설정은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중요하며, 보통 SSL/TLS 인증서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여러 방법이 존재하며, 각 방법마다 차이점이 있습니다.
CA 기관을 통한 발급: 전통적인 방식으로, 인증 기관(Certificate Authority)을 통해 인증서를 구매하고 이를 서버에 적용하는 방식입니다. 이 과정에서는 개인 키를 생성하고, CSR(Certificate Signing Request)을 작성하여 제출한 후 인증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보통 유료 서비스로 제공됩니다.
AWS 인증서 매니저(ACM)를 통한 발급:
Certbot을 통한 무료 인증서 발급:
이 방법들은 본질적으로 HTTPS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는 유사합니다. 차이점은 발급 주체와 자동화 수준, 비용의 차이에 있으며, 실무에서는 사용 환경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면 됩니다. Nginx에서 Certbot을 이용하면 자동화가 가능해 운영의 편리성을 증가시킵니다.
관련 주제에 대해 추가로 검색하시려면 다음 링크를 참조해 보세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