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자스비님의 프로필 이미지
자스비

작성한 질문수

[유니티 레벨 업!] 모듈식으로 개발하는 퀘스트&업적 시스템

Task 구현

Target의 value에 Object 자료형 관련 질문입니다!

작성

·

101

·

수정됨

0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Target의 value에 Object 자료형을 사용하는 대신

public abstract T value { get; }

이런식으로 제네릭을 사용할 수도 있었을텐데, 혹시 따로 의도한게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박싱/언박싱 성능 관련해서는 다른 Q&A보고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2

1

Developer G님의 프로필 이미지
Developer G
지식공유자

수강해주셔서 감사합니다.

public abstract T value { get; }
이렇게 만든다는게 class를 TaskTarget<T> 형식으로 만들면 되지 않냐는 말씀이시겠죠?

TaskTarget<T> 형식으로 만들면,

[SerializeField]
private TaskTarget[] targets;

이렇게 SerializeField 변수로 받을 수가 없기에 Generic을 쓰지 않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자스비님.

제네릭과 object 자료형을 사용하는 차이에 대해 궁금하셨군요. 제네릭을 활용하면 일반적으로 타입 안정성과 성능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박싱과 언박싱의 부하를 피할 수 있기 때문이죠. 제네릭을 사용하면 컴파일 시점에 타입이 확정되어 조금 더 명확하고 타입 안정적인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강의에서 object 자료형을 선택한 이유는 아마도 범용성을 위해서일 가능성이 큽니다. object를 사용하면 다양한 타입을 하나의 구조 내에서 처리할 수 있어,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복잡한 형변환 관리 등을 단순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처리해야 하는 구조에서는 흔히 object를 사용하게 됩니다.

또한, 강의 진행 시 특정 개념이나 패턴을 설명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object를 사용했을 수도 있습니다. 만약 더욱 구체적인 이유가 필요하시다면, 강의나 유사한 질문을 통해 지식공유자님께 직접 문의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박싱/언박싱에 대한 이해는 하신 것 같아 다행입니다. 관련해서 더 궁금한 사항이나 명확히 하고 싶은 부분이 있다면 추가적으로 질문하실 수 있습니다.

관련 질문 및 답변 링크:
- TaskTarget을 할 때 Object 형식 사용 관련 성능 문제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자스비님의 프로필 이미지
자스비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