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안녕하세요 선생님 다다음주 코테를 앞두고 있습니다.
작성
·
97
답변 2
0
큰돌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ㅎㅎ
강의 중 큰돌님께서 비트마스크가 가능한 수는 n=16 이하(?)정도로 설명하셨는데 다시 강의를 볼 시간이 부족하여 질문드립니다.
또한 완전탐색이 가능한 시간복잡도는 1억 이하,1000만 이하(?)가 맞는지 궁금합니다.
-> 음... 둘 다 아닙니다.
다음의 강의 교안을 볼까요?
비트마스킹은 다음과 같이 31이하입니다.

시간복잡도는 다음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코테 화이팅입니다.
또 질문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 부탁드립니다.
좋은 수강평과 별점 5점은 제게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강사 큰돌 올림.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큐펀치님,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비트마스킹과 완전탐색의 시간복잡도에 대한 이해는 코딩 테스트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아래 설명을 참고해 주세요.
비트마스킹
- 비트마스킹은 n개의 비트를 활용하여 모든 부분집합을 탐색할 때 사용되므로, 일반적으로 n이 20 이하일 때 비트마스크를 통해 완전 탐색이 실질적으로 가능합니다.
- 2^n 연산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n=16이면 2^16 = 65,536여서 충분히 연산할 수 있지만, n=30이면 2^30 = 약 10억에 달하므로 무리가 있습니다.
완전 탐색의 시간복잡도
- 일반적으로 완전탐색 문제에서 시간복잡도가 1초 내에 해결될 수 있는 연산 횟수는 약 1억 개입니다.
- 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0^8회 연산을 수행할 수 있고, 매우 복잡한 계산이 필요하지 않다면 최대 약 1억 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O(n^2) 문제에서 n이 10,000인 경우 연산 횟수는 약 10^8이므로 가능하지만, n이 100,000이면 10^10으로 연산이 불가능합니다.
관련하여 유사한 논의가 실린 게시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러한 질문과 답변은 학습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비트마스크 및 완전탐색 기본 개념 설명 - 완전탐색의 시간복잡도와 비트마스킹을 활용한 부분 탐색에 대한 기본 개념을 설명합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큰돌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