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eoyeong님의 프로필 이미지
eoyeong

작성한 질문수

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키워드 정리

헥사고날 아키텍처 질문 있습니다.

작성

·

125

·

수정됨

0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jpa와 너무 강하게 결합되어 있어
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만든다고 하셨는데

그러면
1. repository 인터페이스
2. 1의 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repositoryimpl
3. 2의 repositoryimpl에서 사용할 jparepository

이렇게 세 개나 만들어서 사용하는건가요?

답변 2

1

박우빈님의 프로필 이미지
박우빈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대영 님!

네 만약 엄밀하게 분리한다면 그렇게 될 것 같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

eoyeong님의 프로필 이미지
eoyeong
질문자

답변 감사합니다 😄

1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대영님, 질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헥사고날 아키텍처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의 비즈니스 로직을 외부의 프레임워크나 라이브러리와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코드의 유연성과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 말씀드리면, JPA와의 결합력을 낮추기 위해 인터페이스와 구현체를 나누는 방식은 일반적인 패턴입니다. 헥사고날 아키텍처를 적용할 때, 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습니다:

  1. Repository Interface: 비즈니스 로직에서 JPA나 다른 구현체에 의존하지 않도록 Repository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인터페이스를 통해 비즈니스 로직과 데이터 접근 로직을 분리할 수 있습니다.

  2. Repository Implementation (RepositoryImpl): 이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클래스를 만들고, 이 클래스에서 JPA 리포지토리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접근을 수행합니다. 이는 DAO(Data Access Object) 패턴에 가깝습니다.

  3. JPA Repository: JPA의 스프링 데이터 리포지토리를 실제로 사용하는 구현체입니다. 이 레이어는 실제 데이터베이스와의 상호작용을 담당합니다.

이러한 구조는 코드의 테스트 용이성을 높이고, 다른 데이터 접근 방법으로 쉽게 전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Mocking이나 다른 테스트 방법을 통해 비즈니스 로직을 검증할 때 JPA에 대한 의존을 줄일 수 있습니다.

기존의 유사한 질문으로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패키지 구조: 강의 프로젝트의 패키지 구조가 헥사고날 아키텍처와 연관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 내용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eoyeong님의 프로필 이미지
eoyeong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