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78
1
안녕하세요, 1%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추운 날씨 건강 유의하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
ETCD 설치에 대에 질문 드립니다.
제공해주신 Vagrant 파일에는 etcd 설치에 대한 내용이 따로 없는데, kubeadm 설치 시 자동으로 static pod로 설치되는 걸까요?
답변 2
1
안녕하세요. brand13님께서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네, 맞습니다. 스크립트에 kubeadm init를 했을 때 etcd나 kube-proxy, kube-apiserver 등 쿠버네티스 컴포넌트들이 자동 설치 됩니다.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섹션 9. [중급편] 아키텍쳐 > [Component - kube-apiserver, etcd, kube-schedule, kube-proxy, kube-controlelr-manager] 강의를 참고 하시면 되세요.
그래서 static pod의 yaml 파일은 마스터 노드에 들어가시면 [/etc/kubernetes/manifests] 경로에 있습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brand13님.
ETCD 설치와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셨군요. 보통 kubeadm
을 사용하여 클러스터를 설정할 때, ETCD는 기본적으로 static pod로 설치되므로 별도로 설치 과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kubeadm
은 마스터 노드에 필요한 대부분의 구성 요소를 자동으로 설치합니다. 따라서 Vagrant 파일에 별도의 ETCD 설치 지시가 없더라도, kubeadm
init 명령을 통해 설치과정이 진행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다음의 링크에서 kubeadm
설정과 관련된 보다 자세한 설명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구축: kubeadm 가이드
쿠버네티스 설치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거나 궁금하신 부분이 있다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도 보다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공해 주실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