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pending과 listen의 backlog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건가요?
작성
·
140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동혁님.
강의에서 언급된 pending과 backlog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측면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Pending 상태
- Pending은 주로 연결 요청을 보류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네트워크 요청이 들어왔을 때 바로 처리할 수 없는 경우, 운영체제는 해당 요청을 보류(pending) 상태로 유지합니다.
- 일반적으로, 요청이 들어왔지만 서버가 즉시 처리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pending 상태가 됩니다.
Backlog
- Backlog는 서버가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최대 연결 대기 수를 의미합니다. 즉, 서버는 이 숫자만큼의 연결을 대기열에 쌓아둘 수 있습니다.
- 만약 backlog의 크기를 초과하는 연결 요청이 들어오면, 새로 들어오는 요청은 거부될 수 있습니다.
관계와 설명
동시성 해결: Backlog가 설정됨에 따라 서버는 여러 연결 요청을 동시에 대기 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서버가 연결을 즉시 처리하지 않더라도 일정한 수준까지는 요청을 보류(pending) 상태로 두는 것이 가능합니다.
Pending 상태 감소: Backlog의 설정으로 인해, 서버는 연결 요청을 대기열에 쌓아두고 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pending=false’ 상태, 즉 즉시 처리 가능 상태가 되는 경우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일시적으로 연결 요청이 몰리는 경우에 대기열을 관리하는 데 유리합니다.
실제로 실무에서 서버가 적절한 규모의 backlog를 설정하면, 많은 연결 요청이 동시에 몰리더라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됩니다.
이 같은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의 유사한 질문들을 참고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pending에 관하여 질문있습니다” -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에서 pending의 역할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 부분입니다.
- “AcceptAsync()함수의 pending 상태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 AcceptAsync가 요청을 어떻게 처리하는지에 대한 설명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