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위 알고리즘은 어떨까요?
작성
·
129
0
site = "http://naver.com"
dot_index = site.index(".")
slash_index = site.index("/")
slash_index = site.index("/", slash_index + 1) + 1
password = site[slash_index:slash_index + 3] + str(len(site[slash_index:dot_index])) + str(site[slash_index:dot_index].count("e")) + "!"
print (password)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김재준님.
주신 코드의 질문에 대해서는 해당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유사한 질문들이 있습니다. 몇 가지 참고할 수 있는 기존 답변 URL을 안내해드리겠습니다.
-
퀴즈 3 질문입니다.
- 이 답변에서는
str함수를 사용하여 정수를 문자열로 변환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는 비밀번호 생성에서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습니다.
- 이 답변에서는
-
password만드는 규칙3에서 질문이요
- 여러 가지 문자열 처리 방법과 슬라이싱에 관한 질문을 다룹니다. 특히, 주신 코드에서 사용한
site[slash_index:slash_index + 3]와 같은 슬라이싱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습니다.
- 여러 가지 문자열 처리 방법과 슬라이싱에 관한 질문을 다룹니다. 특히, 주신 코드에서 사용한
-
index 질문입니다
- 특정 문자의 인덱스를 찾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dot_index,slash_index를 찾는 방식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 특정 문자의 인덱스를 찾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주신 알고리즘에서 각 단계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 site.index("."): URL에서 첫 번째 점(.)의 위치를 찾습니다.
- site.index("/"): URL에서 첫 번째 슬래시(/)의 위치를 찾습니다.
- site.index("/", slash_index + 1) + 1: 두 번째 슬래시 이후의 위치를 찾습니다.
- site[slash_index:slash_index + 3]: 두 번째 슬래시 이후의 3문자를 추출합니다.
- str(len(site[slash_index:dot_index])): 두 번째 슬래시 이후부터 첫 번째 점까지의 문자의 길이를 구해 문자열로 변환합니다.
- str(site[slash_index:dot_index].count("e")): 해당 구간에서 e의 개수를 구해 문자열로 변환합니다.
- 마지막으로 !를 추가하여 비밀번호를 만듭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