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weekendcode 라는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비전공자, 프로그래밍에 관심 있는 학생들을 위해 최대한 쉽게 설명하고자 노력하는 강사입니다.
컴퓨터 공학으로 대학교를 졸업하고,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관련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Java 언어로 안드로이드 개발자로서 일했고, Python 강사로 활동했습니다.
몇 번의 이직과 창업을 하는 과정에서 비전공자 분들께 지식을 공유할 기회가 생긴 이후,
본격적으로 지식공유자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모르는 것은 적극적으로 질문 부탁드립니다.
최선을 다해서 답변 드리겠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Khóa học
Đánh giá khóa học
- (2025) Đỗ kỳ thi thực hành Kỹ sư xử lý thông tin trong một tuần
- (2025) Đỗ kỳ thi thực hành Kỹ sư xử lý thông tin trong một tuần
- (2025) Đỗ kỳ thi thực hành Kỹ sư xử lý thông tin trong một tuần
- (2025) Đỗ kỳ thi thực hành Kỹ sư xử lý thông tin trong một tuần
- (2025) Đỗ kỳ thi thực hành Kỹ sư xử lý thông tin trong một tuần
Bài viết
Hỏi & Đáp
23:46 부분 포인터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질문에 답변드립니다. 질문 속의 문장) 22:14초의 코드에서 %s arr[0][0]의 의미는 포인터 강의에서 배운 바로는 %s는 가리키고 있는 주소의 첫번째 값부터 널문자를 만날때까지 출력한다라고 배워서 Hello를 출력하는 것을 이해했었습니다.-> 네 맞습니다. 첫 번째 배열은 {"Hello", "World"}까지 간 것이고 그 다음에는 "Hello"까지 갔으니 %s로 모두 출력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기억하셔야 할 것이 있습니다. 본질적으로 우리가 정의한 "Hello"는 무엇인가요?'문자'들이 모여있는 배열입니다. 이 자체도 당연히 인덱스로 접근할 수 있을 것입니다.배열(Array)이니까요. 문자로 된 배열은 인덱스로도, 포인터로도 접근할 수 있습니다.애초에 배열이라는 것 자체가 우리가 앞서 배운 것처럼 메모리 주소를 죽 정렬되어 위치한 것 뿐입니다.C언어는 이 2가지 개념이 혼재된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Hello까지 갔으니 여기에서 [0]을 접근하면 'H'를 꺼내옵니다.그것을 문자 1개로 출력해야하니 %c로 받아야 합니다. Hello 그 자체는 배열이지만, 인덱스로 접근하기 때문에 값으로 인식하시면 됩니다. 그 외에 더 헷갈리게 생각하실 필요 없습니다.
- 0
- 2
- 13
Hỏi & Đáp
23년 2회차 12분 12초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지금 보니 떠야하는 것이 맞습니다.원래 시험에는 main 함수의 가장 마지막 3줄만 출력하는 문제였는데, 제가 편의를 위해서 "입력하세요:"를 적어놓고 출력문에 반영을 못했네요. 출력되어야 하는 것이 맞습니다.
- 0
- 2
- 11
Hỏi & Đáp
6. 변수 선언과출력 / 18:46 / JAVA 개행관련 문의
안녕하세요,네 Java에서도 똑같이 \n이 개행문자로 사용됩니다.println은 개행을 마지막에 알아서 넣어주고, print는 개행을 해주지 않습니다.예제에도 그 차이를 알려드리기 위해서 일부러 넣었는데 설명을 디테일하게 하지 못했나봅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 0
- 2
- 15
Hỏi & Đáp
배열포인터 질문
안녕하세요, %c는 1개의 문자만 출력하는 포맷이기 때문에 한 글자만 출력되어야 합니다. 3가지를 모두 아셔야 합니다.포인터에 배열을 가리키라고 하면 첫 요소의 주소를 가지고 있는다.앞에 *을 붙이면 그 메모리 주소의 값을 가져온다.%c는 1개의 문자만 출력하는 포맷이다.그래서 H가 출력 되어야 합니다.
- 0
- 2
- 20
Hỏi & Đáp
sizeof 함수 결과
안녕하세요, sizeof는 특정 변수에 있는 메모리 상의 크기가 얼마인지를 반환합니다.어떤 배열이 있다고 합시다. 데이터 타입은 몰라도 됩니다. 어차피 나눠지기 때문에 상쇄될 것이라서요. 어떤배열 = {요소1, 요소2, 요소3, ..., 요소100}을 정의하고 sizeof(어떤배열)하면 요소 100개의 크기(A)가 나옵니다.그리고 sizeof(어떤배열[0])하면 요소 1개의 크기(B)가 나옵니다.그 상태에서 A/B하면 무조건 100이 나오죠. 크기로부터 전체 요소의 개수를 구한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요소의 갯수를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질문해주신 코드가 전체 배열에 들어가 있는 요소의 개수가 나옵니다. 여기서는 5개입니다.
- 0
- 2
- 24
Hỏi & Đáp
이론 요약본 pdf파일 어디서 다운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래에 챕터 내려보시면이론편 부분이 있습니다. 첫 챕터에서 학습자료 다운로드 하시면 됩니다. (사진)
- 0
- 2
- 29
Hỏi & Đáp
5:20 널문자관련
안녕하세요, 질문 주신 해당 부분에는 문자열 종료 문자를 막는 것이 있어 보입니다. 혹시 말씀하신 "앞선 코드"가 5:20이 아니라 다른 부분을 말씀하시는 걸까요?널 문자를 넣지 않은 예제가 몇 분 몇 초인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 0
- 2
- 18
Hỏi & Đáp
메모리 주소 및 배열 관련
안녕하세요,배열의 인덱스로 표현하느냐 포인터를 몇 번 갔느냐의 방식 차이지 똑같습니다.ptr_a[1] 이렇게 쓰나 *(ptr_a+1) 쓰나 같은 값을 뜻 합니다. ptr_a[1]는 배열의 인덱스 표기법을 활용해 몇 번째의 값에 즉시 접근하는 방식이고, *(ptr_a+1)는 가리키는 시작점에서 포인터로 몇 번 건너가서 값을 가져오는지를 표현하는 것입니다.결국 똑같습니다.
- 0
- 2
- 23
Hỏi & Đáp
메모리 주소 및 배열 관련
안녕하세요, 배열을 가리키고 있는 포인터 변수를 ptr_a라고 하면, %c 형태로 ptr_a를 출력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포인터 주소를 문자 1개 형태로 출력하려고 하기 때문입니다.printf("%c\n", ptr_a)❌ (틀림 - 포인터 주소를 출력)printf("%c\n", *ptr_a)✅ (맞음 - 포인터가 가리키는 문자 출력)
- 0
- 2
- 18
Hỏi & Đáp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좋은 말씀해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이런 피드백들을 보며 저도 좀 더 부지런하게 움직이게 되고 '대충 설명하고 넘어가자'라는 생각을 떨치게 됩니다. 답변을 드리자면 풀스택이나 백엔드 강좌 계획은 있습니다만,Spring 프레임워크 기반의 강좌는 생각하지 않고 있습니다. 여러 이유가 있는데, 첫 번째는 경쟁이 너무 심한 기술이라고 생각합니다.제가 Java 개발자로 일했기 때문에 Kotlin까지도 웹 개발에 적용해서 정말 잘 가르쳐드릴 자신이 있는데, 인프런에서는 고가의 강좌는 판매되기가 어려울 뿐더러 너무 경쟁이 심합니다. 제대로 Spring을 다루려면 한 두 개의 개념만 설명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서 굉장히 공수가 많이 드는데, 경쟁까지 심하면 제작할 동기가 떨어집니다. 두 번째는 개인으로는 임팩트를 일으키기가 어렵다고 생각합니다.Java + Spring은 취업 시장을 위해서는 도움이 되긴 하는데,개인 단위로 할 수 있는 빠른 부트스트래핑이나 창업 초기 단계에서는 크게 메리트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우선 정상적인 운영을 하기 위해서는 단일 프레임워크보다 외부 프로그램이나 라이브러리에 의존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제대로 가르쳐드리려면 캐시에 데이터베이스에 스케줄러(배치 프로그램) 등.. 영상을 찍어야 할 것들이 너무 많은데 이런 것들이 학습하시는 분들께 지루하지 않으면서도 가치 있는 영상이 될지 큰 의문입니다. 세 번째는 세상이 너무 빠르게 바뀌고 있어서 다른 것을 강좌로 만드는 것이 제 자신에게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LLM 기반의 코드 작성이 대세가 되면서 시대가 많이 바뀌고 있습니다.제 학교 동기나 주변 지인들이 큰 규모의 회사(네이버, 토스, 당근마켓, 크래프톤 등)에서 일하고 있는데 그 중 몇몇은 이미 Cursor나 GPT로 코드를 생산한다고 합니다. 크래프톤에서는 전사적으로 아예 Cursor를 도입했고요. 동시에 떠오르는게 소규모 창업 팀입니다. 소규모 게임 팀이 수 십 억 매출을 일으키는 사례가 Steam에 나오고 있고, 제 주변에도 월 4~500만원 이상 혼자서 SaaS로 돈을 버는 분이 이미 여럿 계시다보니 느끼는 것들이 많습니다. 제가 강의를 만드는 이유는 코드를 모르는 분들을 위해서 쉽게 설명해드리면서 느끼는 자아실현도 있지만 제 개인적인 성장에 목표가 있기도 합니다. 그래서 Spring보다는 소규모 팀들을 위한 창업이나 프로젝트 개발 방법을 만드는 것이 좀 더사회에도, 제 자신에게도 도움이 되는 활동이 아닐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인프런에 업로드할 계획이 있는 강좌는 아래와 같습니다. (아이디어만 작성해두었어요.)Nginx로 리버스 프록시 구성하는 방법HTTP Method 쉽게 배우기 (아마 Node 기반이나 Python 기반으로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Postman or Curl 기반 API 테스트 방법론(풀스택) FastAPI를 통한 AI 서비스 만들어보기 (텍스트 기반 혹은 Veo API 같은 영상 기반)이정도 입니다. 대부분 짧게 영상을 찍어서 올릴 수 있는 것들입니다. 그 외에는 아예 자체적으로 하나의 웹 사이트를 만들어서누구나 창업을 할 수 있을 정도의 기술 강의를 업로드 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저도 개인적으로 SaaS를 만들고 있어서 Nginx와 백엔드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Ruby on Rails로 개발을 하고 있는데요. 그래서 런칭을 한다면 Rails 기반의 창업 과정을 강좌로 올려보지 않을까 싶습니다. 실제 운영을 하려면 알아야 할 것이 많아서 리눅스부터 다뤄야 할 지 고민 중입니다.리눅스, 웹 애플리케이션 작성, 기본적인 보안 설정,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연결, 직원들을 위한 관리자페이지, 결제 관리, 로깅을 통한 고객 문의 해결 등 여러가지 것들이요. 생각은 많은데 어떤 것부터 시작을 해야 할 지는 고민이 많습니다.다 할 수도 있고, 하나도 못 할 수도 있겠죠.인생은 짧고 시간은 없는 터라 빨리 집중해서 하나씩 끝내보려고 합니다. 제가 제작할 강좌 중에 요한님께 큰 도움이 될만한 것들이 꼭 있으면 좋겠네요. 질문 감사드립니다.
- 1
- 2
-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