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전체 32021. 06. 28.
2
[스프링으로 뛰어넘자]
2021년 6월 27일. 스터디를 여러번 진행하다보니 스터디의 방향을 수월하게 잡을 수 있었다. 또한 팀원들의 좋은 의견이 스터디의 질을 높인다는 것을 깨달았다. 섹션 1이 이론적인 내용이 많아 지난 스터디에 부족했던 내용을 조금 더 보충해서 각자 발표했다. 서로 발표를 통해 내가 놓친 부분과 나 말고 다른 사람들이 놓칠 만한 부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스프링의 이해, 다형성의 의미와 활용법, 역할과 구현을 나누는 이유, 실무자가 강의를 통해 느낄 수 있던 점 등도 배울 수 있었다. 스터디 역할자, 보증금, 미팅 애플리케이션 선정, 메신저 활용 등의 추가적인 의견들을 모아 스터디의 확실한 틀도 잡을 수 있었다. 스터디 팀 명 스프링으로 뛰어넘자 스터디 진행 회차 및 일자 3회차(2021.06.27)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1 섹션 추가 정리 및 2 섹션 스터디 주요 내용 1. 테스트 코드의 중요성 2. 협력 관계 및 클래스 다이어그램의 중요성 3. 스프링 프레임워크 및 스프링 부트의 의미, 활용법 4. 객체지향의 꽃 '다형성'의 활용법 5. 역할 및 구현의 분리 개념 이해 6. HashMap과 ConcurrentHashMap의 차이 7. JavaDoc 사용법 스터디에서 나왔던 질문 각자의 공부양 스프링 MVC 2편 추가 진행에 대한 의견 추가적인 역할자 필요 질문에 대한 서로의 답과 아직 해결하지 못한 질문들 각자의 공부양 - 팀원들 각자가 스프링 공부에 생각 이상으로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서로 열정적인 공부를 할 수 있는 계기가 됨. 스프링 MVC 2편 추가 진행에 대한 의견 - 스터디 진행 기간 이후에 취준, 학업 등으로 인해 확답을 미리 들을 수 없어 스터디가 끝나갈 즈음에 희망자만 더 진행하기로 했다. 추가적인 역할자 필요 - 기존 역할 외에 5명 모두가 역할이 있어야 스터디에 더욱 집중하고 책임감을 가지게 될 수 있을 것 같다라는 의견이었다. 팀장, 총무, 출석 및 공부 기록 확인자, 매주 미팅(구글 미트)룸 개설자, 추가 질문 탐색자(스터디 외 다른 수강생들의 질문을 간추려 토의하기 위함) 다음번 스터디 주제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섹션 3, 4 요약 및 피드백
2021. 06. 27.
0
[스프링으로 뛰어넘자] 김영한의 스프링 완전 정복 스터디 2차 일지
2021년 6월 24일. 스터디의 실질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원래는 매주 일요일에 진행하기로 했으나 이번 주는 이벤트 기간으로 인해 예외적으로 주당 2회를 실시하기로 했다.(6월 24일(목), 6월 27일(일))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0, 1섹션을 모두 수강한 뒤 각자 코딩을 하여 간단하게 공부한 내용을 작성하였고 막혔던 부분과 새로 알게된 부분을 공유하였다. 스프링을 왜 등장하고 사용하게 되었는지 이해하고 강의에서 강조한 SOLID에 대해서도 확실히 공부하였다. 또한 강의에서 추천한 저서들을 관심이 있으면 개인적으로 읽어보기로 하였다. 추가적으로 스프링 MVC 2편 강의가 새롭게 오픈했다. 스터디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 공부할 양이 늘어난다는 것은 반가운 소식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강의 편수도 많고 가격도 나가는 편이라 이벤트(30%할인) 기간동안 각자 생각해보고 다음 스터디에 추가로 진행할지 정하기로 하였다. 스터디 팀 명 스프링으로 뛰어넘자 스터디 진행 회차 및 일자 2회차(2021.06.24)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0, 1섹션 스터디 주요 내용 1. 스프링이란 무엇인가? 2. 스프링의 탄생 배경 및 핵심 기술 3.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SOLID) 4. 스프링과 SOLID의 연관 관계 5. 노션 활용법 스터디에서 나왔던 질문 역할과 구현을 분리한다라는 의미 SOLID 중 OCP의 정확한 의미 SOLID 중 DIP에서 '의존한다' 라는 것의 의미 새로 출시된 스프링 MVC 2편 강의도 스터디 할 것인가 질문에 대한 서로의 답과 아직 해결하지 못한 질문들 역할과 구현은 인터페이스와 구현체를 나누는 것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더 나아가 구현체끼리 서로에게 영향, 의존하면 안되는 것도 내포되어 있다. (예: 연극 주연들간의 관계가 연극에 영향을 주면 안된다. 자동차 모델이 바뀌어도 운전자는 운전을 할 수 있어야 한다.) OCP(Open/closed principle)의 Open은 확장에는 Open 되어 있고 Close는 수정에는 Close 되어 있다는 의미다. 즉 Open과 Close를 두 개의 개념으로 보지 않고 하나의 개념으로 받아들이면 이해하기 쉽다. (모듈의 소스 코드 등을 수정하지 않아도(Close) 모듈의 기능을 확장하거나 변경(Open)할 수 있는 것) '의존한다'란? 1. 의존하는는 주체가 코드에 사용되었는지 의미한다. 2. 단순히 클래스에 다른 클래스 혹은 인터페이스가 적혀 있으면 그것을 의존하다라고 생각한다. 새로 출시된 스프링 MVC 2편 강의도 스터디 할 것인가? 각자의 시간과 비용을 참고하여 다음 스터디에 정하기로 하였다. 다음번 스터디 주제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섹션 2 요약 및 피드백
2021. 06. 17.
0
[스프링으로 뛰어넘자] 김영한의 스프링 완전 정복 스터디 1차 일지
2021년 6월 17일. 인프런의 스터디 모집을 통하여 김영한의 스프링 완전 정복 로드맵을 같이 완강하고, 서로 스프링에 대해 부족한 점을 피드백 하기 위한 스터디원을 구했다. 생각보다 정말 많은 사람들이 지원해 주었다. 당연 열정이 넘치는 사람들은 많았다. 처음에는 스터디를 3명으로 진행하려 했으나 너무나 많은 지원으로 , 그중에서도 큰 열정을 선사한 지원자를 두 분을 더 섭외하여 5명이서 진행하게 되었다. 새삼 본인들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공부한다는 것을 느꼈다. 우리 스터디원들도 목표를 향해 열심히 공부하여 성취하였으면 좋겠다. 우리의 스터디원은 컴퓨터 관련 학과 4명에 현직 개발자 1명으로 구성되었고 나이도 얼추 비슷했다. 서로의 부족한 부분을 메꾸기에 우리 5명이서 완벽하다고 느꼈다. 나는 로드맵 중 첫 번째인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을 완강했기에 작은 욕심으로 다른 스터디원들도 나와 같이 첫 번째 강의를 수강했길 바랐다. 운(?)이 좋았는지 나를 제외한 스터디원 4명 모두 완강을 한 상태였고 그에 맞춰 스터디 주기, 공용 노션 페이지 제작, 스터디 운영 방식 등에 대하여 상의하였다. 우리는 강의를 통해 본인들이 학습한 내용을 요약하고 막혔던 부분 혹은 막힌 부분에 대해 서로 피드백하고 공유하기로 했다. 본격적인 스터디는 다가오는 월요일인 2021년 6월 21일부터 진행하기로 하였다. 5명 모두, 고철 스프링의 탄력처럼 스프링으로 자신들을 뛰어넘을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스터디 팀 명 스프링으로 뛰어넘자 스터디 진행 회차 및 일자 1회차(2021.06.17) OT 및 규칙 정하기 스터디 주요 내용 스터디 주기 정하기, 스터디 주기 당 할당 공부량 정하기, 스터디간 피드백 방법, 스터디 소통 채널 만들기, 공용 노션 페이지 제작,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강의 질문 및 피드백 스터디에서 나왔던 질문 스터디 소통 채널 만들기, 스터디 진행 방식 질문에 대한 서로의 답과 아직 해결하지 못한 질문들 스터디 소통 채널 만들기(카카오톡을 제외한 슬랙, 스윗등 사용하기) 다음번 스터디 주제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섹션0, 1, 2 요약 및 피드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