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질문&답변
"!" 은 어떤 문법인가요?
안녕하세요!인프런 AI 인턴이 답변을 잘해줬네요.인프런 AI 인턴 답변 보시면 제가 추가적으로 보완해드리지 않아도 될 것 같아요!그래도 잘 이해가 안되시면 말씀해주세요!감사합니다.
- 0
- 2
- 16
질문&답변
다음 강의 언제 나올까요?
안녕하세요!우선 제 강의에 관심 가져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현재 Next.js 강의는 재촬영 중입니다.한 번 촬영을 마쳤지만, 퀄리티가 마음에 들지 않아 다시 촬영하고 있습니다. 🙂빠르면 10월 말, 늦어도 11월 중에는 공개될 예정이며, 마침 Next.js 16이 10월 중 출시될 예정이라 해당 버전을 반영하여 강의를 준비하고 있습니다.좋은 강의를 만들기 위해 정말 열심히 준비 중이니, 조금만 더 기다려주세요!리액트 쿼리(React Query) 또는 TanStack Query는 초급 단계에서는 다소 어려운 부분이 있어, 추후 별도의 유료 강의로 제작될 예정입니다.단, 리액트 강의 구매자분들께는 무료로 제공될 예정이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Next.js 강의 출시 이후 업로드될 계획이며, 분량이 길지 않아 11월 말 ~ 12월 중 공개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리액트 강의를 구매하셨다면 마음 편히 기다려주세요!현재는 별도의 단체 채팅방은 운영하지 않지만,카카오톡 플러스 친구 ‘수코딩’을 검색하시면 언제든지 1:1 대화로 질문하실 수 있는 창구를 운영 중입니다.공부하시다 궁금한 점이나 힘든 부분이 생기면, 편하게 ‘수코딩’ 채널로 문의 주세요. 🙂리액트 강의는 정말 혼신을 다해 만든 강의입니다.촬영을 마친 후에는 “정말 이만큼 쏟아부을 수 있을까?” 싶을 정도로 많은 노력을 들였습니다.좋게 봐주셔서 그동안의 고생이 헛되지 않은 것 같아 정말 감사한 마음뿐입니다.앞으로도 후속 강의들에 많은 관심 부탁드리며,더 좋은 콘텐츠로 찾아뵙겠습니다.감사합니다!
- 0
- 1
- 18
질문&답변
선생님 상태변경할때 질문
안녕하세요! 맞습니다.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로직이 아니라서 말씀하신 것처럼 setCount((count+1))라고해도 문제가 없습니다.제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count => count + 1로 한 건 습관을 들이기 위해서입니다.AI 인턴이 답변한 것처럼 상태 업데이트 함수는 비동기로 동작하며 가끔식 상태 업데이트 요청이 여러번 겹치면서 의도치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상태와 관련 있는 업데이트는 그게 비록 아무런 문제가 없는 로직이라고 하더라도습관을 들여놓기 위해서 count => count + 1 처럼 한 것입니다 🙂
- 0
- 2
- 21
질문&답변
vite 버전질문
안녕하세요.Node.js 20.19.0 이상Node.js 22.12.0 이상위 조건만 갖춘다면 Vite 7도 6과 차이 없이 학습을 하실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 0
- 2
- 20
질문&답변
React.lazy()
안녕하세요. AI 인턴이 답변한 내용이 제 의견과 비슷합니다.React.lazy()를 더보기와 같은 기능에 적용할 수 도 있습니다. 실제로 더보기를 눌렀을 때 무거운 컴포넌트를 렌더링 해야 한다면 React.lazy() 가 효율적입니다.하지만 아마 대부분은 무거운 컴포넌트(연산 작업이 많이 들어가는 컴포넌트)를 더보기를 눌렀을 때 렌더링 하는 경우는 거의 없어서 상태를 활용해서 처리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라 생각합니다.React.lazy()는 코드 스플리팅(code splitting) 을 위해 사용됩니다. 즉, 컴포넌트를 처음부터 모두 번들에 포함시키지 않고, 필요할 때 비동기적으로 로드하는 기능이에요. 주로 라우트 단위 페이지 컴포넌트나 큰 덩어리의 UI를 나눠서 초기 로딩 속도를 개선할 때 활용됩니다. 🙂
- 0
- 2
- 22
질문&답변
Context API 리랜더링 방지를 위한 Memoization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메모이제이션의 핵심은 “전달되는 데이터를 캐싱한다”는 점입니다.예를 들어, 어떤 함수를 다른 컴포넌트로 넘겨주면서 매번 새로 생성되지 않도록 하고 싶다면, useCallback을 사용해 함수를 메모이제이션해야 합니다.반면 Context API는 결국 value={{...}} 형태로 객체를 다른 컴포넌트에 전달합니다. 이때 전달하는 객체를 메모이제이션하고 싶다면 useMemo를 사용해야 합니다. 객체는 참조값이므로 함수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상관없이 객체 자체를 메모이제이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즉, 전달하려는 값이 무엇이든 “그 값 자체를 메모이제이션한다”는 것이 핵심 원리입니다. 🙂
- 0
- 2
- 26
질문&답변
styled-components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인프런 AI 인턴의 답변처럼 'vscode-styled-components' 익스텐션을 설치하시면 됩니다.감사합니다!
- 0
- 2
- 28
질문&답변
퀴즈 활성화 안됨
안녕하세요.인프런 AI 답변처럼 위 퀴즈는 제가 만든 게 아니라인프런측에서 자동으로 생성하는 퀴즈입니다.그래서 인프런 고객센터에 문의하셔야 보다 자세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 0
- 2
- 35
질문&답변
퀴즈 활성화 안됨
안녕하세요!구체적으로 어떤 퀴즈를 말하는건지 자세히 말씀해주시면 확인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0
- 1
- 36
질문&답변
Router 궁금증
안녕하세요.우선 1번에 대한 질문은 인프런 AI 인턴의 답변과 생각이 같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규모가 크지 않은 프로젝트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써도 상관없다고 생각합니다. 자세한 것은 AI 인턴의 답변을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번에 대한 답변도 인프런 AI의 답변과 생각이 같으나, 만약 A 페이지에서는 A_header, A_footer, B페이지에서는 B_header, B_footer 식으로 페이지별로 보여져야 하는 헤더와 푸터가 명확하다면, AI 인턴의 답변처럼 레이아웃 컴포넌트 분리 방식으로 처리하겠습니다. AI 인턴의 레이아웃 컴포넌트 분리 답변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감사합니다!
- 0
- 2
-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