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전체 4#태그
- 파스토
2021. 07. 09.
0
[스프링원리 박살 스터디] 7.09 4회차 진행
스터디 진행 회차 및 일자 4회차(2021.07.09) 스터디 주요 내용 Daniel Yoon : MVC의 모든 것! da-nyee : DispatcherServlet에 대해 손민성 : 테스트 전략(단위 테스트, 인수 테스트, 통합 테스트) fjzjqhdl(성시형) : Tomcat의 Thread Pool kangsy763 : Spring MVC Config 기초 스터디에서 나왔던 질문 질문은 항상 많지만 그 중 그냥 무작위 3개! 1. 민성님은 어떤 테스트 전략을 주로 사용하시나요 ? - 단위 테스트를 주로 사용합니다. 2. DispatcherServlet이라고 말만 많이 들어봤는데 이해가 잘됐습니다 - 감사합니다 3. 어노테이션의 종류가 너무 많은데 이걸 어떻게 학습해야 할까요? - 무작정 외우려들지말고 사용하시면서 익히시는게 제일 좋을 것 같습니다. 다음번 스터디 주제 오늘로 끝이 났습니다~~!! 발표 자료 링크 https://www.notion.so/7-8-80830d33e55040b6ae4a7947876892d4
2021. 07. 02.
0
[스프링원리 박살 스터디] 7.01 3회차 진행
스터디 진행 회차 및 일자 3회차(2021.07.01) 스터디 주요 내용 kangsy763 : 빈 생명주기에 대해 Daniel Yoon : ModelAttribute는 폼 데이터 혹은 파라미터 값을 자바 오브젝트로 가져올 때 da-nyee : bean validation fjzjqhdl(성시형) : 스프링의 프록시 스터디에서 나왔던 질문 1. 스프링의 프록시가 어떤 곳에서 사용되나요 ?? - 모든 곳에서 프록시가 사용됩니다. 특히 jpa의 경우에요 2. @NotNull, @NotEmpty, @NotBlank 예시 코드보여주세요 - 대충 보여줌 3. ModelAttribute와 RequestBody의 차이점 - param형식인지 body형식인지가 일단 차이가 난다. 그리고 RequestBody는 컨버터를 사용한다는 특이점이 있습니다. 다음번 스터디 주제 자유주제 발표 자료 링크 https://www.notion.so/7-1-38fa005aff0246358456ed34a1317ff3
2021. 06. 24.
0
[스프링원리 박살 스터디] 6.24 2회차 진행
스터디 진행 회차 및 일자 2회차(2021.06.24) 스터디 주요 내용 kangsy763 : @Profile과 @ActiveProfiles 에 대해 Daniel Yoon : RestAssured vs MockMvc da-nyee : HandlerMethodArgumentResolver 손민성 : 스프링 mvc 구조 fjzjqhdl(성시형) : 싱글톤 레지스트리, 빈 팩토리, 빈 스코프, Ioc 용어정리 스터디에서 나왔던 질문 1. 프로젝트 진행하면서 @Profile 을 써본 경험이 있으면 말해주세요. - 배포 시의 운영 프로파일과 개발 프로파일 그리고 테스트용 프로파일을 따로 두어서 사용했었다. 2. ArgumentResolver가 스프링에서 어떤 때에 사용이 되고 있는건가요 ? - @RequestBody, @ModelAttribute 와 같은 파라미터 또한 스프링에서 핸들러 어댑터가 핸들 메서드를 호출해서 컨트롤러의 메서드를 호출하는 과정에서 스프링 자체적으로 어노테이션이 있는지 체크해서 ArgumentResolver 작업을 해주고 있는 것이다. 3. 빈 스코프에 대해서 말인데, 싱글톤 말고 프로토타입이나 웹 스코프 사용하신 적이 있으신지 - 없으나 근처 지인이 웹 스코프를 사용하는걸 본 적은 있다. 4. 핸들러 매핑이 컨트롤러면 핸들러 어댑터는 어디에 있는 코드인거죠 ? - 스프링에서 기본적으로 여러개의 핸들러 어댑터를 구현해 놓은 상태입니다. 다음번 스터디 주제 자유주제 발표 자료 링크 https://www.notion.so/6-24-a1420e6745ee4c52982ea12f0091410a
2021. 06. 17.
1
[스프링원리 박살 스터디 1일치]
스터디 명 스프링원리 박살 스터디 이번 스터디가 끝난 뒤 얻고 싶은 것 스프링에 대한 깊은 이해 스터디 참여자 및 참여목적 kangsy763 : 스프링을 단순 사용하는 것이 아닌 이해하면서 사용하기 위함 Daniel Yoon : 스프링에 대해 스스로 떳떳할 수 있을 정도로 모두 알고 싶어서 신청했어요! da-nyee : 스프링에 대해서 깊은 이해를 하고 싶어서 신청했습니다~ 손민성 : 이 방 스터디 참여자보다 더 잘하기 위해서 왔다 웨지 : 스프링 오픈 컨트리뷰터가 되고 싶어서 참여했습니다. 커뮤니케이션 하는 방식(카톡, 슬랙콜, 노션 등) 오픈 카카오톡 방 스터디 참여자 역할 kangsy763 : 인프런 블로그에 스터디 일지 작성 팀 전원 : 스프링 자유주제 선택하여서 소개 위 내용들은 https://www.notion.so/5a6ff0365fa748a892a8933354f2f932 해당 노션 링크를 복붙한 것입니다. 스터디 일정또한 해당 링크 내에 있습니다. 스터디 진행 회차 및 일자 1회차(2021.06.17)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을 이용해 진행 스터디 주요 내용 스터디 운영방침 확립 스터디에서 나왔던 질문 다들 어떻게 개발을 시작하게 되었나 스프링 기초 지식이 얼마나 되는지 개인적인 질문들 ㅎㅎ 다음번 스터디 주제 서로 스프링 관련 자유주제로 하나 선택해서 소개하기! 그 대신 질문에 대답할 수 있을 정도로 완벽하게 준비해와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