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질문&답변
데이터 조인
elf1233 님 안녕하세요 UPWISE 입니다.네 질문 주신 내용대로, 대상 필드 (바탕이 되는 레이어의 필드) 값들 중에 없는 결합 필드 (값을 가져다 붙이는 레이어의 필드) 값이 있다면, 해당 값은 결합 되지 않고 대상 레이어에서 표시되지 않습니다.다만 반대의 경우로, 대상 필드에는 있으나 결합 필드에는 없는 경우, 결합 결과에서 해당 값의 결합 결과는 비워지게 되며 null 로 표기됩니다. 질문에 충분한 답변이 되었길 바라며, 추후 다른 궁금증이나 문제가 있는 경우 편히 질문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UPWISE 답변-
- 1
- 2
- 25
질문&답변
DEM
elf1233 님 안녕하세요 UPWISE 입니다.DEM 자료 각 픽셀에 입력되어 있는 값이 Z 값. 즉 해당 영역의 고도를 의미합니다.그리고, 이전 질문에서 답변 드릴 때에도 언급했던 X/Y 는 한 픽셀이 평면적으로 갖는 영역입니다. 저희가 실습에서 사용하는 DEM 은 픽셀 크기가 90m 이므로, X/Y 크기는 각각 90m 이면서, Z축의 높이는 해당 픽셀이 갖고 있는 값이 됩니다.따라서 X/Y 는 DEM 자료 픽셀 값과 무관하게, 해당 래스터 자료의 해상도로부터 결정되는 것이고, Z값은 래스터 픽셀값에서 오는 정보라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질문에 충분한 답변이 되었길 바라며, 추후 다른 궁금증이나 문제가 있는 경우 편히 질문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UPWISE 답변-
- 1
- 1
- 18
질문&답변
래스터 픽셀
elf1233 님 안녕하세요 UPWISE 입니다.저장 시 픽셀 크기를 줄여서 더 작은 픽셀로 저장은 가능하나, 큰 픽셀을 단순히 쪼개는 것처럼 같은 값을 갖는 픽셀을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 해상도가 더 좋아진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다만, 특정 분석 모델 등을 구동할 때, input 으로 사용되는 모든 래스터 자료의 해상도를 맞춰줘야 하는 경우가 있어서 그럴 때에는 원본보다 픽셀 크기를 더 작게 저장하기도 합니다.말씀해주신 "결과물이 깨진다" 의 경우가 정확히 어떤 결과를 말씀하시는지는 모르겠지만, 추가적인 답변이 필요하시다면 질문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UPWISE 답변-
- 1
- 2
- 29
질문&답변
Section3_DEM을 통한 경사 산출 질문
elf1233 님 안녕하세요 UPWISE 입니다.네 해당 경우에는 Z척도를 1로 하면 됩니다.더욱 정확히는, DEM 자료의 셀에 입력된 높이의 단위와, 레이어 좌표계에 따른 X,Y 축의 단위가 같다면 1로 하면 됩니다.(길이 단위라 하더라도 미터가 아니라, 마일/인치/센티미터 등 다양한 단위가 있기 때문입니다.) 질문에 충분한 답변이 되었길 바라며, 추후 다른 궁금증이나 문제가 있는 경우 편히 질문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UPWISE 답변-
- 1
- 3
- 25
질문&답변
시각화 작업 시, 좌표계 설정
elf1233 님 안녕하세요 UPWISE 입니다.활발한 질문 감사드립니다!!우선, 지리좌표계와 투영좌표계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단위'의 차이입니다.EPSG:4326 은 도(˚) 단위를 쓰며 방향에 따라 각각 위도/경도 라고 이름지어져 있습니다.도 단위를 사용할 경우, 특정 지점 사이의 거리나 면적을 계산할 수 없으며, 이러한 분석이 필요하다면 길이 (대표적으로 미터) 단위를 갖는 투영좌표계를 사용해야 합니다 (대표적으로 버퍼, 네트워크 분석의 서비스 거리/영역 계산 등) 그리고, 열지도에서의 범위는 시각화에 사용되는 각 점이 영향을 미치는 범위 라고 할 수 있습니다.만약 버스정류소 데이터로 반경 100m 를 파라미터로 한 열지도를 만든다면, 개별 포인트에서 가상의 100m 반경 영역을 설정하고, 영역의 끝에 가까워질수록 각 점이 갖는 영향력이 0에 가까워집니다.이렇게 모든 점에 대해서 반경 만큼의 영향력 범위가 만들어지고, 이들을 각 그리드 단위로 더해 최종 열지도 결과물이 생성됩니다.따라서, 반경값이 크면 더 부드럽게 연결되고 넓은 범위에 대한 추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면, 반경을 작게 하면 세부적인 영역에 대한 결과 확인이 가능합니다. 질문에 충분한 답변이 되었길 바라며, 추후 다른 궁금증이나 문제가 있는 경우 편히 질문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UPWISE 답변-
- 1
- 3
- 20
질문&답변
좌표로 포인트 생성
elf1233 님 안녕하세요 UPWISE 입니다.질문 주신 사항에 대해 답변 드립니다.[질문]원본데이터의 좌표계를 따르기 위함인가요?네 맞습니다. 지방행정인허가 데이터는 자료의 X, Y 좌표가 처음부터 EPSG:5174 로 제작되어, 해당 좌표계를 따라서 포인트로 변환합니다.5174도 지리좌표계인가요?EPSG:5174 는 투영좌표계 입니다. 3차원의 지구를 2차원으로 투영하여 길이 단위를 갖도록 한 것이 투영좌표계이며, EPSG:5174는 미터 단위를 갖고 있습니다. 5174가 지리좌표계라면 4326으로 좌표계를 설정하는 것은 잘못된 방법인가요?네 좌표를 포인트로 바꿀 때에는, 원본 자료에 맞는 좌표계를 사용해야 합니다.따라서, EPSG:4326 으로 포인트를 만드는 것은 틀린 방법이며, 만약 포인트를 EPSG:4326 좌표계를 갖도록 하고 싶으시다면, 우선 EPSG:5174 로 포인트를 만든 후, 재투영하여 사용해야 합니다.5174가 지리좌표계가 아니라면, 사용할 데이터의 원본 좌표계가 존재할 경우, 기존의 지리좌표계인 4326이 아닌 원본 좌표계를 따라야하나요?EPSG:5174 는 투영좌표계이며, 투영좌표계는 종류마다 원점이 달라서 반드시 정확한 좌표계를 사용해야 합니다.내가 사용하고 있는 자료의 좌표계를 알고 있다면, 그 좌표계로 사용해야만 오류가 없습니다.질문에 충분한 답변이 되었길 바라며, 추후 다른 궁금증이나 문제가 있는 경우 편히 질문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UPWISE 답변-
- 1
- 3
- 20
질문&답변
버퍼질문
elf1233 님 안녕하세요 UPWISE 입니다.첨부해주신 이미지처럼 버퍼 결과물이 타원형으로 보일 때에는, 프로젝트 좌표계 (QGIS 프로그램 우하단에 지정된 좌표계) 를 국내 투영좌표계 (EPSG:5186; 5174 등) 로 변경하시면 제대로 된 원형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사진) 질문에 충분한 답변이 되었길 바라며, 추후 다른 궁금증이나 문제가 있는 경우 편히 질문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UPWISE 답변-
- 1
- 1
- 20
질문&답변
qpt 파일 연결프로그램 문의
mu151 님 안녕하세요 UPWISE 입니다. 답변이 늦어져 죄송합니다.qpt 파일은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여는 것은 아니고, QGIS 내에서 조판 (layout) 템플릿으로써 사용됩니다.QGIS 의 조판 관리자를 열고, "템플릿을 이용하여 새로 만들기" 밑의 선택 메뉴를 "상세"로 변경한 뒤, 파일 경로를 선택하거나, 하단의 "템플릿 디렉터리 열기" 옆의 "사용자"를 눌러서 qpt 형식의 파일을 선택하면 사전에 정의된 조판 스타일을 사용할 수 있스니다.(사진) 본 강의에서 함께 제공하는 qpt 파일은 실전예제의 조판 결과물과 동일한 양식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레이아웃 실습에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질문에 충분한 답변이 되었길 바라며, 추후 다른 궁금증이나 문제가 있는 경우 편히 질문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UPWISE 답변-
- 1
- 2
- 20
질문&답변
[음영기복도] 심볼과 툴박스 차이 여부
mu151 님 안녕하세요 UPWISE 입니다. 강의 수강과 질문에 감사 말씀드립니다.두 방법의 차이는 단순히 시각화만 적용하느냐 혹은 "hillshade" 라는 기능을 통해 음영값을 갖는 새로운 래스터 결과물을 생성하느냐의 차이입니다.심볼에서 음영기복도를 설정하는 방법은, 현재 프로젝트에 포함된 DEM 레이어에 시각화를 곧바로 적용하는 것이고,툴박스에서 hillshade 를 사용하는 것은, DEM을 통해 새로운 결과래스터를 만들어냅니다.또한 기존엔 고도값이 들어가 있던 각 픽셀의 값이, 음영기복도 계산에 따른 음영값으로 변경됩니다.질문에 충분한 답변이 되었길 바라며, 추후 다른 궁금증이나 문제가 있는 경우 편히 질문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UPWISE 답변-
- 1
- 2
- 44
질문&답변
9강 벡터레이어 속성테이블에서 EDM_NM 항목 글자깨어지는 현상 문의
정인철 님 안녕하세요 UPWISE 입니다. 강의 수강과 질문에 감사드립니다.shp 파일을 불러오고 속성 내용 혹은 필드명이 깨져있다면, 해당 레이어의 인코딩을 변경해주면 됩니다.레이어를 더블 클릭하여 레이어 속성으로 들어간 뒤, 왼쪽 소스 탭의 "데이터소스 인코딩" 부분을 "windows-949" 혹은 "UTF-8" 로 바꾸며 확인해보시면 한글이 정상 표시 될 겁니다.보통 shp 파일 인코딩이 windows-949 (CP949) 에 맞춰져 있는 경우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여서, 아래 이미지처럼 windows-949 로 변경 후 시도해보시길 바랍니다.(사진)다시 한 번, 강의 수강에 감사 말씀 드립니다.-UPWISE 답변-
- 1
- 2
-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