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소개
집에서 빈둥대다 개발에 흥미를 느껴 개발 공부를 시작하였고 현재는 판교에서 플랫폼 서버 개발을 담당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제가 공부를 했던 방법과 실무에서 접하실 수 있는 여러가지 문제점들과 해결책을 여러분들에게 제공하고 싶어 지식공유자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강의는 오로지 저만의 지식을 통해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모든 강의는 함께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유니콘 스타트업에서 개발도 하고, DB도 관리하시는 능력자
지식공유자 경력
[前] 샌드박스 블록체인 개발자
[前] 넥슨 자회사 백엔드 개발자
[現] 판교에서 고여가는 서버 개발자
인터뷰 이력
강의
로드맵
전체 1수강평
- 5천억건이 넘는 금융 데이터를 처리하는 토스 개발자에게 배우는 MySQL [ By. 비전공자 & Toss 개발자 ]
- 가장 쉽고 깊게 알려주는 MongoDB 완벽 가이드 [ By. 비전공자 & Kakao 개발자 ]
- 5천억건이 넘는 금융 데이터를 처리하는 토스 개발자에게 배우는 MySQL [ By. 비전공자 & Toss 개발자 ]
- 정석에 가깝고 기본에 충실한 실전 Kotlin Coroutine 마스터 클래스
- 5천억건이 넘는 금융 데이터를 처리하는 토스 개발자에게 배우는 MySQL [ By. 비전공자 & Toss 개발자 ]
게시글
질문&답변
9강 인덱스 설계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민섭님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씀해 주신 부분처럼, 옵티마이저가 쿼리 컬럼의 순서를 자체적으로 재졍렬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지 않아도 되는 작업인데, 다시 재계획을 할 필요가 있는지 고민해 보시면 좋을꺼같아요. 예를들어서 그냥 "A"라는 길로 가면 되는데, 굳이 "B -> A" 이렇게 돌아서 갈 이유가 있을까요?? "B" 라는 길로 가다가 "어 길이 잘못되었네?? 수정해야지" 해서 "A"로 간다면, 그냥 "A"로 가는것보다 더 비효율적일겁니다. 똑같은 원리로 그냥 처음에 명확하게 길을 알려준다면, 옵티마이저는 추가적인 작업을 할 필요가 없을꺼에요. 그냥 옵티마이저도 인정하고 우리도 인정 할 수 있는 길이 될거니깐요. 이런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무언가 자동으로 처리해주는 것은 그만큼 비효율을 낳을수가 있습니다. 이 부분을 이해하시면 프로그래밍을 하는데에 있어서 도움이 되실 꺼 같아요.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
- 1
- 2
- 23
질문&답변
access_token Db 저장건
안녕하세요 최영준님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서비스는 어떤식으로 관리하냐에 따라서 달라지는 부분인거 같습니다. 말씀하신 내용처럼 Redis에 관리하셔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서 MySQL에 저장을 해야 할 수도 있어요. 예를들어서 브라우저 세션을 기준으로 token의 유효기간이 유지가 된다면 어떻게 할까요?? 그러면 재로그인 하였을 떄, 해당 token을 다시 핸들링 해야 하는 경우도 있을 수가 있습니다. 또한 이 access_token과 refresh_token을 혼용해서 사용 하는 경우 관리적인 부분도 존재 할 수도 있을것이고, 추가로 redis를 일종의 인메모리 DB로 활용하시거나 refresh_token까지 같이 활용을 하신다면, 유저당 1:1로 데이터가 생성이 될것이고 이로인해 Redis에 대한 과부하가 발생가능하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드네요. 하지만 말씀하신 부분처럼 단순 휘발성 데이터의 성질도 가지고는 있기 떄문에 최영준님이 생각하시는 방향으로 구현하셔도 큰 문제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개발에 정답은 없다고 생각하는 주의라서요.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
- 0
- 2
- 16
질문&답변
인덱스 및 DB 질문
제가 주말에 야외 일정이 있어서 내일 저녁쯤에 확인 후 답변 추가해두겠습니다. 죄송합니다 ㅠ
- 0
- 2
- 25
질문&답변
첫번째 프로시저 명령에서 Account가 생성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프로시저를 통한 목 데이터 생성은 제가 알려드리는 주제에 대해서 여러분들이 원하시는 방향으로 쿼리도 작성해보라는 의미 입니다. 실제 강의가 진행되면서 해당 ddl을 기반으로 쿼리를 작성하는 경우도 있고 따로 참조하지 않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어디까지나 여러분들을 위한 테스트 데이터이기 때문에 제가 따로 의도한바는 없으니 편하신대로 필요하시다면 추가해서 사용해보셔도 됩니다.기본 포멧을 프로시저 사용하는 쿼리 구문보시면 쉽게 이해가 되실꺼라 추가적인 ddl에 있어서도 스스로 만들어보고 활용가능하실거 같네요. 이 과정에서 혹시나 질문 있으셔도 편하게 주셔도 됩니다!! 날이 많이 덥고 비가오는데 건강 조심하세요 :)
- 0
- 1
- 34
질문&답변
모듈 간 의존성 관리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1q2w3e4r님!! 질문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강의에서도 언급을 했는지... 제가 정확하게 기억은 나지 않는데, 이런 멀티 모듈의 형태가 사실 큰 기준이 없습니다. 각자가 원하는 스타일로 구현을 하면서 거기에서 최적의 형태를 찾아가면 좋습니다.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그리고 멀티 모듈을 구현한다는거 부터가 사실상 관리 포인트가 늘어난다는 점은 피해갈수 없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다른 부분에서도 장점을 가져 갈 수 있기 떄문에 도입하는 경우도 존재하는 것이죠. 그래서 작성자분께서 원하시는 방향으로 수정하셔서 구성을 해보셔도 좋습니다. 저도 할떄마다 일부 조금씩 변경하면서 사용하고는 합니다. 그러니 너무 크게 정해진 규칙에 맞춰서 작성하지 않으셔도 될꺼같아요!! 개인적으로 Spring과 JVM 계열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주로 이런 규칙이나 뭔가 딱 틀에 맞춰서 구현하고 사용하시는 경향이 많으시더라고요.. 저는 코딩은 창의적이고 자기만의 스타일을 지켜가면서 하는것을 좋아해서.. 개인적인 의견이니 어디까지나 참고해보시면 좋은 주제인거 같습니다.
- 0
- 1
- 25
질문&답변
data class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BBBB님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 말씀해주신 부분은 굉장히 좋은 주제인거 같아요!! 어떻게 보냐에 따라서 관점이 달라지는거 같습니다. 비슷한 주제로 이전에 다른 분이 질문을 올려주셨어가지고, 이 부분을 참고해보시면 좋지 않을까 싶어요!! 남겨드린 링크 참고해보시면 좋을꺼같습니다!!https://inf.run/3q2E4
- 0
- 2
- 17
질문&답변
실례합니다만.. 혹시 강의 할인
이렇게 대폭 할인이 들어가는 행위가 초기 오픈때만 가능한 인프런의 정책이라서요... 이런 할인 이후에는 제가 할수있는 최대 폭은 30%라서.. ㅠㅠ 죄송합니다.
- 0
- 1
- 80
질문&답변
2번째 더미데이터 생성이 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wisehero님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해당 프로시저는 시간이 좀 소요될수 있습니다. 실제 강의에서도 실행하였을때 대락 2분?? 정도 소용되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하지만 혹시모르는 오타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저도 한번 더 확인해보고 변경사함이 있다면 공유드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
- 1
- 2
- 56
질문&답변
sentinel이라는게 kafka의 주키퍼와 비슷한 개념인가요?
안녕하세요 예비군갈나이님. 질문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이해하신바가 맞습니다. 보통의 서비스들이 고가용성과 무중단 서비스 및 트래픽 분산을 위해서 클러스터 형태를 많이 사용을 하게되는데, 이런 클러스터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면 주기적으로 핑을 던져서 특정 노드에 장애가 없는지 판단을 하는 작업이 기본적으로 포함이되게 됩니다. 이러한 기능이 필요한 이유는 클라이언트가 고장이 난 노드에 불필요한 요청을 할 필요가 없기 떄문에, 이런 부분이 존재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 0
- 2
- 16
질문&답변
다이어그램 저장소 파일 오류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정황상 맥과 윈도우에서 뭔가 꼬임이 있는거 같습니다... 확인하고 계속 문제가 있다면 따로 전달드리도록 할게요
- 0
- 1
- 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