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전체 3#카테고리
- 알고리즘 · 자료구조
2024. 06. 12.
0
WEB(웹)
먼저 인터넷은 1960년에 등장하고 웹은 1990년에 나왔다.인터넷은 핵전쟁 위기 고조가 매우 심각할 때 나왔는데 그 때 문제 진단하는 과정에서 통신의 문제가 생긴다는 결론으로 도달하게 됐다. 그것이 인터넷 개발을 위한 발판이 되었다.인터넷이 개발이 된 이후에도 여전히 대중화가 되어있지 않았다. 그러나 웹이 등장하면서 인터넷이 대중화 되는 놀라운 일이 일어나게 된 것이다. 웹이 등장하고 난 이후 인터넷의 발전도 굉장히 지속화 되었다. 즉 웹이 인터넷의 잠재력을 끌어올려준 셈이다.web클라이언트와 서버와의 동작 관계웹 이해하기http://127.0.01:8887/index.htmlhttp : Hyper Text(Transfer Protocol)127.0.0.1 : internet Protocol Address8887 : Port
2024. 03. 18.
0
C로 배우는 자료구조 2편
문자열은char 타입의 배열의 각 칸마다 문자 하나씩 저장됨예를 들어char str[5]; 이 있다면...str[0] = 'G' str[1] = 'o' str[2] = 'o' str[3] = 'd' str[4] = '\0' //여기서 \0은 마지막 자리에 넣어 주어야 한다. 그래야 프로그램이 오류없이 작동된다.이런 식으로 이루어져 있던 것이다.또한 위의 문자열을 간단하게 적으로면 char str[5] = "Good";으로 하거나 char *str = "Good";으로 할 수 있다.여기서 기억해야 할 점은 포인터 문자열은 수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string.h라이브러리는 문자열을 이루는 함수를 제공한다. 대표적인 네 가지만 설명하고 마치겠다.strcpy : 문자열 복사strlen : 문자열 길이strcat : 문자열 합치기strcmp : 문자열 비교
알고리즘 · 자료구조
2024. 02. 27.
0
C로 배우는 자료구조 1편
컴퓨터 메모리 컴퓨터 메모리는 데이터를 보관하는 장소인데 8bit(바이트 단위)단위로 저장된다.모든 변수는 주소를 가진다. 메모리를 말하면 포인터를 빼 먹을 수 없는데 포인터는 '메모리 주소를 값으로 가지는 변수'를 의미한다.ex) type_name * ptr *배열 주소와의 관계 a = a[0]a[1] = *(a + 1)a[i] = *( a + i ) 동적 메모리 할당 : 변수를 선언하는 대신 프로그램의 요청으로 메모리 할당malloc함수를 호출하여 동적 메모리 할당을 하면 요구하는 크기의 메모리를 할당하고 그 시작 주소를 반환한다.
알고리즘 · 자료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