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게시글
질문&답변
MockBean Deprecated
안녕하세요, 저도 해당 이슈에 대해서 궁금해서 찾아봤었는데요강의 내용 중에서 바로 대체 가능한가 @MockitoBean이 스프링 프레임워크 정식 버전에 사용되기로 결정되었으므로 @MockBean대신 사용하면 될 것 이라고 생각돼요사용 방법에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만큼 바로 대체 해도 된다고 생각해요다른 점은 @MockitoBean이 @Configuration클래스 에서는 사용 불가 하다고 되어있는데, 강의에서는 사용한 적이 없으니 대체해도 무방하다고 생각됩니다출처 :https://inf.run/PbYXD뭐가 바뀐 걸까스프링 부트 기능에서 스프링 기능으로 바뀌었다보시면 패키지가 바뀐 것을 알 수 있습니다@MockBean(사진)@MockitoBean (사진)객체 생성 방식이 바뀌었다@MockBean스프링 내부 프록시 방식 의존@MockitoBeanMockito와의 직접적인 통합개인적으로 프록시 방식으로 생성한다는 것은 이해가 되긴 하는데 직접적으로 통합 했다는 말이 어떤 뜻인지는 모르겠네요.. 찾아봐도 잘 나오지 않았습니다결과적으로 성능적으로 더 우수한 방식이어서 @MockitoBean 사용 권장출처 : https://inf.run/JyXbZ현업에서는 어떻게 대체 될까저는 공부 단계일 뿐이라 잘 모르겠네요. 어떻게 될지 궁금하네요@MockBean으로 계속 사용하다가 버전 업데이트가 필요해지면 변경하지 않을까 생각해요
- 0
- 3
- 247
질문&답변
의도한 예외와 의도하지않은 예외가 정확하게 무슨뜻인가요 ?
잘 이해하신 것 같아요 거기에 덧붙여서 제 조촐한 생각을 말씀드리면강의에 나왔다시피 의도한 예외의 경우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경우 신뢰할 수 없는 데이터 값이라는 것이 자명해서 개발자가 검증 로직을 통해서 처리를 해줄 수 있을 것 같아요. 예외를 발생 시킨 후 그에 적절한 처리를 해주는 것이죠의도하지 않은 예외의 경우 개발자가 어찌 할 수 없는 예외라고 생각해 봤어요. 예를 들면 데이터비에스와의 커넥션이 끊겨 버려서 사용자에게 정보 제공을 할 수 없을 때 가 있을 것 같아요.이런 경우를 의도하지 않은 예외로 간주한다고 생각합니다. 위의 경우 뿐만 아니라 이러한 심각한 상황들을 일괄적으로 사용자에게 정보 제공 대신 임시방편으로 에러 페이지를 띄워 주는 처리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0
- 3
- 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