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질문&답변
Kotlin 에서 JPA Entity 생성시 질문
저도 비슷한 상황인데요 ㅎㅎ..개인적으로 의견을 남겨드리자면방법1. 자바랑 가장 비슷하게, 필드를 모두 private 으로 생성하고 getter 는 롬복 대신 직접 선언.-> 이것은 사실상 JVM 필드처럼 선언하는 방식인데 코틀린스럽지않아서 넘어가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방법2. getter 를 좀 더 코틀린스럽게 사용하기 위해 내부 필드를 _를 붙여서 선언 -> 이방식도 1과 마찬가지로 이유에서 넘어가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방법3. protected set 사용-> 이렇게 세터에 대한 접근제어자만 두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방법4(?). 전부 public val 로 선언하고, 변경시 새로운 객체 생성-> 이방식은.. 도메인 모델을 다루는데 있어서 맞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도메인 엔티티가 마치 데이터처럼 다뤄지는 것 같아서 조금 방식에 차이가 있네요. 이방식은 엔티티보다는 VO (Embeddable) 에 좀 더 적합한 방식이 아닌가 싶네요. 이미 data class가 있기도 하고요.저는 아래 블로그를 많이 참고해서 엔티티를 만드는 편입니다. 공유드려요.https://veluxer62.github.io/explanation/kotlin-jpa-entity/(저도 토비님께서 또는 이글을 보고계시는 여러 코틀린 유저분께서 어떻게 엔티티를 작성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1
- 2
- 298
스터디
모집중
java/kotlin + Spring 백엔드 현업 개발자를 위한 자기주도 비대면 스터디
- 2
- 0
- 1.3K
스터디
모집중
java/kotlin + Spring 백엔드 현업 개발자를 위한 자기주도 비대면 스터디
- 0
- 0
- 325
스터디
모집중
java/kotlin + Spring 백엔드 현업 개발자를 위한 자기주도 비대면 스터디
- 0
- 0
- 310
스터디
모집중
java/kotlin + Spring 백엔드 현업 개발자를 위한 자기주도 비대면 스터디
- 2
- 0
- 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