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질문&답변
조금만 더 고민하면 풀수 있을거 같을때
좋은 질문이십니다.제가 느낀 바는 이렇습니다. 코딩 테스트는 결국 취업을 위한 관문이라고 생각하고 통과만 하면 되는겁니다. 실제로 기업에서 코딩 테스트는 평가시에도 대부분 합격/불합격으로 나뉠뿐 얼마나 잘했는지는 사실 크게 변별력이 없습니다.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 라는 속담이 떠오릅니다.질문자님의 방식대로 공부하셔도 됩니다. 다만, 저는 촉박한 시간 제약 때문에 압축적으로 신속하게 공부를 하려고 가급적 암기 방식을 택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해보니 결국 암기로 습득했든 1시간 걸려서 직접 풀었든 결과는 같다고 느꼈습니다. 그래서 차라리 같은 시간에 더 많은 문제(패턴)을 접해보고 외우는게 효율적이라고 생각합니다.결론적으로 만약에 질문자님이 시간이 걸리더라도 직접 풀어보는게 희열이 있고, 그렇게 공부하는게 더 재밌다고 느낀다면 그렇게 하셔도 되고, 저처럼 리트코드 푸는게 고통스럽고 직접 푸는거에 보람을 느끼는 스타일이 아니라면 암기 방식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 1
- 2
- 116
질문&답변
Mock Interview
안녕하세요. mock interview는 ChatGPT를 사용한 실시간 인터뷰가 아니고 제가 실제 시나리오처럼 스크립트를 만들고 단순히 Text-to-Speech 변환만 한 것입니다ㅎㅎ
- 0
- 2
- 110
질문&답변
이해하기 어려운 문제 시간 투자
일단 기본적으론 저의 공부법의 컨셉은 이해하려고 하지말고 외우자였습니다ㅋㅋ 그래서 한 문제당 30분을 넘긴적이 없습니다.같은 문제를 2~3번 보면서 외우고 비슷한 유형/패턴의 문제 서너개 더 외우고나면, 결국 그 같은 유형의 새로운 문제도 풀 수 있게 되는게 저의 경험이었거든요. 유형이라는게 무한하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거 같습니다.
- 0
- 1
- 175
질문&답변
선수지식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먼저 제 사전 지식 수준을 설명드리고, 그 후에 공부법에 대한 의견을 드려보겠습니다.저는 비전공자로 시작해서 2년 동안 부트캠프를 다니면서 대학으로 치면 50학점 정도 분량의 수업을 들었습니다. 이때 필수적인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많이 배웠고요. 제 생각엔 학부 4년을 졸업한 분과는 깊이가 다르긴하겠지만 최소한 코딩 인터뷰에 필요한 만큼의 지식은 이미 있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코딩 인터뷰에 필요한 지식이 얼만큼이냐? 한 문장으로 표현하면"내 코딩 솔루션의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를 정확히 설명할 수 있다." 입니다. 이 기준을 좀 더 자세하게 풀어드리겠습니다.(1) 자료구조들의 삽입/삭제/탐색의 시간 복잡도 (평균과 최악 경우 나눠서)(2) 이진 탐색 알고리즘과 이진 탐색의 시간 복잡도(3) 그래프 순회(DFS, BFS) 방식과 시간 복잡도(4) 위 지식들을 토대로 내 코드의 시간/공간 복잡도 도출: 예를 들어 O(n)짜리 for loop 안에서 iteration마다 O(n) 작업을 하고 있다면 O(n^2) 등질문자님의 현재 지식 수준을 알면 더 정확한 피드백을 드릴 수 있겠으나 현재 파악한 것만으로 답변을 드려보자면요, 일단 가장 기본인 배열, 큐, 스택에 대한 삽입/삭제/탐색의 시간 복잡도를 정확히 이해하시고 해당 지식으로 접근할 수 있는 문제들을 풀어보세요. 그런 다음 해시테이블 -> 힙 -> 링크드리스트 -> 트리 -> 그래프 순으로 삽입/삭제/탐색의 시간 복잡도를 공부하시면서 새로운 문제들을 풀어보세요. 답변이 되셨길 바라고 또 궁금한게 있으면 언제든지 질문 남겨주세요!
- 1
- 2
- 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