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와 마이크로서비스(MSA) 학습에 더해, 실제 서비스를 자동으로 빌드하고 배포하는 CI/CD 파이프라인 구축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는 코드 구현뿐 아니라 배포 자동화까지 아우르는 DevOps 문화가 중요합니다. 많은 기업들이 이미 Jenkins와 같은 도구로 CI/CD 파이프라인을 구축하여, 하루에도 여러 번 코드를 배포하는 애자일한 개발 프로세스를 갖추고 있습니다. 실제로 개발팀에서 프로덕션 배포 경로를 자동화하면 오류를 줄이고 배포 빈도를 높이며, 운영 문제를 더 신속하게 해결하고 팀 문화를 개선할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 로드맵은 Spring Boot로 서비스를 만들고 Spring Cloud로 MSA를 구현하는 단계에 이어, Jenkins를 활용해 코드를 통합하고 배포하는 과정을 배우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초급 개발자가 한 단계 도약하여, 개발부터 배포까지 이어지는 자동화된 워크플로우를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소프트웨어를 개발한 후 실제 사용자에게 전달하려면, 수동으로 서버에 올리고 설정하는 작업을 거쳐야 합니다. 하지만 이 과정이 자동화되지 않으면 배포 속도가 느려지고 사람에 의한 실수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CI/CD(지속적 통합/지속적 배포)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지속적으로 코드를 통합하고 테스트하며 자동으로 배포함으로써 개발 사이클을 최적화합니다. 간단히 비유하면, 일일이 수작업으로 제품을 조립하던 방식을 컨베이어벨트가 있는 자동 공장 시스템으로 바꾸는 셈입니다.
이 로드맵에서는 앞선 Spring Boot와 MSA 지식을 토대로 DevOps의 핵심 실천 사항인 CI/CD를 익힙니다. 이를 통해 “코드를 작성하는 것”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코드를 고객에게 전달하는 것”까지 책임지는 개발자가 될 수 있죠. Jenkins는 전 세계에서 널리 쓰이는 오픈소스 CI 서버로, 비교적 배워두기 쉬우면서도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 Jenkins를 배우면 Git과 연동해 커밋 시 자동 빌드, 테스트 스크립트 실행, 배포 스크립트 수행 등 일련의 과정을 버튼 클릭 한 번이나 코드 푸시만으로 실행되게 만들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개발자는 반복적인 배포 업무 부담을 덜고, 품질 개선과 빠른 피드백에 집중할 수 있게 됩니다.
정리하자면, Spring Boot로 만든 애플리케이션을 MSA로 확장하고, 다시 CI/CD로 자동화하는 과정은 현대적인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의 핵심 흐름입니다. 비전공자라도 이러한 파이프라인의 원리를 이해하면 개발 조직에서 훨씬 높은 생산성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도전해 볼 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이런 분들이 들으면 좋아요 🙋♂
개인 프로젝트를 배포해보고 싶은 개발자
포트폴리오용 백엔드 프로젝트는 만들었지만 직접 배포까지 해본 경험이 없는 분
GitHub에만 올려두고 끝냈던 프로젝트를 실제 서버에 자동으로 배포해보고 싶은 분
"코드 → 빌드 → 배포" 흐름을 자동화해 실무에 가까운 엔드투엔드 개발 경험을 쌓고 싶은 분
DevOps에 관심 있는 주니어 개발자
개발뿐 아니라 배포 자동화, 테스트 자동화, 운영 효율화에 관심 있는 개발자
Jenkins, GitHub Actions 등의 CI/CD 툴을 직접 구축해보고 싶은 분
DevOps 직무로 진로 전환을 고민 중인 백엔드/풀스택 개발자
스타트업이나 소규모 팀의 1인 개발자
개발부터 배포까지 혼자 다 해야 하는 상황에서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싶은 분
제품을 빠르게 반복 출시해야 하는 환경에서 자동화된 빌드 & 테스트 시스템을 도입하고자 하는 분
“반복적인 수동 배포 작업을 줄이고 싶다”는 니즈를 가진 개발자
로드맵만의 특징 😁
이 로드맵은 총 세 개의 인프런 강좌로 구성되어 있으며, 순차적인 단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각 단계는 앞 단계에서 만든 결과물을 발전시키거나 연계하여, 마지막에는 자동화된 마이크로서비스 배포 파이프라인을 완성하게 됩니다:
Spring Boot를 이용한 RESTful Web Services 개발 – Spring Boot로 간단한 웹 서비스를 만드는 법을 익힙니다. 프로젝트 초기 설정, REST API 설계, 엔드포인트 구현 등 백엔드 개발 기본기를 다지며, 추후 CI/CD 파이프라인에 올릴 애플리케이션의 뼈대를 구축합니다. 이 단계에서 완성한 RESTful API는 이후 마이크로서비스와 CI/CD 실습의 기반이 됩니다.
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 만들어둔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을 확장 및 분해하여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로 전환합니다. Eureka(서비스 디스커버리), Config Server(중앙 설정), API Gateway 등 Spring Cloud 기술을 적용해 다수의 서비스로 구성된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이로써 여러 개의 마이크로서비스가 상호 작용하는 분산 환경을 갖추게 되고, 다음 Jenkins 단계에서 자동화할 멀티 서비스 프로젝트가 준비됩니다.
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 이 단계에서 드디어 CI/CD 파이프라인의 개념과 구현을 배우게 됩니다. Jenkins 설치 및 기본 설정부터 시작해, Pipeline 작업을 구성하고, Git 커밋 연동 -> 빌드 -> 테스트 -> 배포의 전 과정을 자동화합니다. 강의에서는 WAR 파일로 패키징된 간단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예시로, Jenkins를 통해 로컬 Tomcat 서버에 배포하거나, Docker/Kubernetes 환경에 배포하는 실습까지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수동으로 서버에 배포하던 작업을 자동화하고, 코드 수정이 생길 때마다 지속적으로 통합/배포하는 방법을 익힙니다. 이 강의의 역할은 앞서 개발한 MSA 애플리케이션을 안전하고 빠르게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배포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Jenkins 사용법뿐만 아니라 CI/CD의 모범 사례(테스트 자동화, 빌드 실패 시 알림 등)도 함께 배우며, 실무에 가까운 환경을 경험하게 됩니다.
3개 시리즈 강의로 MSA 끝!
완성도 높은 로드맵을 따라가 보세요! 실무에서 꼭 필요한 내용만 정리했어요.
실무 현장에 바로 적용 가능!
응용 가능한 예제를 활용한 실습으로 실무에 바로 적용해 볼 수 있어요
나도 마이크로서비스 개발자!
입문 강의부터 심화 강의까지! 알차게 모두 담았어요.
이 로드맵에서 배우는 내용 😊
DevOps 및 CI/CD 이해: CI(Continuous Integration)와 CD(Continuous Delivery/Deployment)의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고, 왜 현대 개발에 필수적인지 설명할 수 있게 됩니다. 개발된 코드를 지속적으로 통합하고 배포하는 프로세스 설계 능력이 생기며, 소프트웨어 개발 라이프사이클 전체를 볼 수 있는 안목이 생깁니다.
Jenkins 실무 사용 능력: Jenkins 설치부터 파이프라인(Job) 구성, 플러그인 활용까지 다루므로, 실제 업무에서 Jenkins로 CI/CD 환경을 설정하고 운영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Git 웹훅 트리거 설정, Gradle/Maven 빌드 연결, 테스트 자동화 스크립트 작성, Slack/이메일 알림 연동 등의 스킬을 얻어, 팀의 빌드 자동화 담당자로 활약할 수 있습니다.
자동화된 테스트/빌드 경험: 수동으로 IDE에서 실행하던 빌드와 테스트를 Jenkins가 자동 수행하도록 만들어봄으로써, 테스트 주도 개발(TDD)이나 지속적 품질 관리에 대한 감을 익힙니다. 코드 변경 시 자동으로 테스트가 돌고 품질이 검증되는 파이프라인을 경험하면, 향후 대규모 프로젝트에서도 안전망을 갖추고 개발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습니다.
배포 파이프라인 구축 능력: 애플리케이션을 여러 환경에 배포해보는 실습을 통해 로컬/스테이징/프로덕션 등 다중 환경 배포 전략을 이해합니다. Jenkins로 빌드 산출물(WAR/Jar)을 서버에 복사하거나 Docker 이미지로 만들어 배포하면서, 환경별 설정 관리, 버전 관리, 롤백 전략 같은 배포 시 고려사항도 배우게 됩니다.
Spring Boot & MSA 숙련도 향상: 이전 단계들에서 개발한 Spring Boot MSA 프로젝트를 반복적으로 빌드/배포하면서 해당 기술들에 더욱 익숙해집니다. 실수를 자동화 과정에서 바로잡고 최적화하는 과정을 거쳐, Spring Boot와 Spring Cloud에 대한 심화된 이해도 함께 얻습니다.
문제 해결 및 협업 능력: CI/CD 파이프라인을 만들다 보면 빌드 에러, 테스트 실패, 환경 설정 오류 등 다양한 문제를 접하게 됩니다. 이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디버깅 능력이 향상되고, DevOps 엔지니어 관점에서 문제를 보는 시야가 생깁니다. 또한 CI/CD는 개발팀과 운영팀의 협업 영역이므로, 이를 이해하면 팀원들과 협업 소통을 할 때 공통 언어를 가지게 되어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해집니다.
본 강의에서 다루는 내용들을 통해, 실무에 다음과 같이 적용 될 수 있습니다.
Spring Boot와 MSA, 그리고 CI/CD 자동화까지 경험한 개발자는 현업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인재로 평가받습니다. 많은 기업들이 DevOps 문화를 도입하면서 “CI/CD 구축 경험”을 인재 채용의 주요 포인트로 보고 있습니다. 이 로드맵을 완료하면 신입 개발자라도 Jenkins 파이프라인 구축을 주도하거나, 기존 파이프라인을 개선하는 업무를 맡을 수 있을 정도의 역량을 갖추게 됩니다. 이는 곧 팀 내에서 "배포를 아는 개발자", "자동화 전문가"로 인정받으며,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얻는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스타트업이나 소규모 조직에서는 한 사람이 개발부터 서버 운영까지 맡는 경우가 흔합니다. 이때 CI/CD를 통한 자동 배포 지식을 보유하고 있으면, 서비스 출시 주기를 단축시키고 품질을 높이는 키 플레이어가 될 수 있습니다. 비전공자 출신이라도 이러한 실질적 능력을 보여주면 학력이나 전공의 공백을 충분히 메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면접에서 “Git에 코드를 푸시하면 Jenkins가 자동으로 빌드/배포하도록 구성해봤습니다”라고 어필한다면 면접관에게 깊은 인상을 주고, 실무 감각이 있는 지원자로 신뢰를 얻을 것입니다.
실무에서는 새로운 기능을 배포할 때마다 겪는 긴장감이나 반복 작업의 피로도가 있습니다. 하지만 CI/CD 파이프라인을 잘 구축해두면 배포 과정이 표준화되고 안정화되어 개발팀 전체의 생산성과 심리적 안정이 향상됩니다. 여러분은 이 로드맵 학습을 통해 이런 문화를 주도하거나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되고, 이는 곧 기업에 가치 있는 인재로 자리매김하는 밑거름이 됩니다.
수강생 분들의 후기를 확인하세요!
⭐⭐⭐⭐⭐
실습을 너무 재미있게 했습니다. 때로는 잘 안 풀려서 짜증도 내고 그랬지만, 각 강좌 커뮤니티에 있는 글과 댓글을 보면서 따라했더니 거의 다 해결이 되었습니다. 전체적으로 매우 만족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전체적으로 단점이라고 생각하는 부분은 없습니다. 개인적인 희망사항으로는 RabbitMQ, Grafana에 대하여 조금 더 알려줬으면 좋겠다? 정도 입니다. (물론 강의 전체적으로 많은 내용을 담고 있기에 이 정도의 내용도 충분합니다.) 좋은 강의를 찍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 강의가 더 나온다면 선 결제 후 생각 하겠습니다!!!
buck**
⭐⭐⭐⭐⭐
안녕하세요. 오늘 오프라인에서 MSA 현장 강의 들었던 모 기업에 재직 중인 직장인입니다. 처음에는 알아보지 못했는데 목소리와 이름을 들으니 제가 들었던 강의와 강사님과 너무 똑같아서 신기했습니다. 부끄러워서 현장에서는 말씀을 못 드렸지만.. 한창 취업준비를 하던 시절에 CI/CD 강의를 수강한 것이 너무나 큰 도움이 되어서 감사하다는 말씀 전하고 싶습니다. 양질의 강의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좋은 강의 부탁드립니다.
하**
⭐⭐⭐⭐⭐
진짜 CI/CD 강의뿐만아니라 개인적으론 Docker + Kubernetes의 가장 기초적인 지식도 같이 섞여있어서 굉장히 유익했습니다. 그리고 현업에서 종사하시는분의 마인드가 보이는 강의라서 기초이면서도 굉장히 이해도 잘가고 도움도 많이 됬습니다. 강의 고민하시는분들 무조건무조건무조건무조건무조건무조건무조건무조건추천합니다.
이**
⭐⭐⭐⭐⭐
msa 프로젝트에 대한 흐름을 익힐 수 있었고 혼자서도 msa 프로젝트를 구축해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강의를 수강하지 않았더라면 독학으로는 절대 못했을것 같아요 ㅠㅠ 강의 촬영해주셔서 감사합니다!!
Spring framework의 Spring Cloud 제품군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 보는 과정입니다. Cloud Native Application으로써의 Spring Cloud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구성을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강의입니다.
본 강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4가지 핵심 요소(MSA, CI/CD, DevOps, Container) 중 하나인 CI(Continuous Integration, 지속적인 통합)과 CD(Continuous Deployment, 지속적인 배포) 파이프라인에 대한 다루는 강의입니다. 본 강의를 통해 CI/CD 도구인 Jenkins를 이용하여 로컬 환경과 클라우드 환경에 자신만의 자동화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배포하는 데에 필요한 과정을 이해하고 실습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