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로드맵 썸네일

주니어 개발자를 위한 Spring Boot & MSA 입문

작성자 프로필 이미지

Dowon Lee

Spring Boot
REST API
JPA

초급 대상

로드맵 참여중인 유저 프로필 사진
로드맵 참여중인 유저 프로필 사진

23명 참여중

조회수

1,209

30% 할인

전체 구매 적용
쿠폰 받기

로드맵 코스

Spring Boot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Java 프레임워크 중 하나로, 클라우드 및 MSA(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환경에서도 활발히 활용되고 있습니다​

최근에 IT 개발환경은, 수년전부터 이어져온 클라우드 환경으로의 전환에 맞춰, 마이크로서비스에 대한 업계의 관심도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2020년대 들어 많은 기업들이 모놀리식에서 MSA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한 시장 조사에 따르면 2023년 전 세계 클라우드 마이크로서비스 시장 규모는 약 15억 4천만 달러로 평가되었으며, 2032년에는 83억 3천만 달러까지 성장해 연평균 약 20.8%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이번 로드맵은 Spring Boot를 통해 RESTful 웹 서비스를 구축하고, Spring Cloud를 활용해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을 다룹니다. 주니어 개발자나 비전공자도 따라오기 쉽도록 기초부터 설명하며, 최신 트렌드에 맞는 백엔드 개발의 첫 걸음을 뗄 수 있도록 친절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 로드맵을 통해 얻은 지식은 주니어 개발자의 취업 경쟁력을 크게 높여줍니다. 국내 많은 기업들의 백엔드 채용 공고를 보면 “Spring 경험자 우대”, “Spring Boot 사용 가능” 등의 문구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그만큼 Spring Boot 능력은 표준 스킬셋으로 간주되며, 이를 익힌다면 신입 지원자 중 두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또한 마이크로서비스 경험은 최신 트렌드에 부합하는 강점으로 작용합니다. MSA로 전환하거나 운영 중인 회사에서는 마이크로서비스 개념을 아는 인재를 선호하며, 이 로드맵을 통해 해당 분야의 기본기를 갖춘 인재임을 어필할 수 있습니다.

비전공자의 경우, 프로젝트 전반을 이해하고 실제로 동작하는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Spring Boot + MSA로 구현한 결과물을 포트폴리오로 제시하면, 전공 지식이 다소 부족하더라도 실제로 웹 서비스를 구축하고 아키텍처를 설계할 수 있음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이는 면접에서 좋은 평가로 이어질 수 있고, 입사 후에도 팀 내에서 빠르게 적응하고 기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실무에서도 Spring 기반 시스템 유지보수나 신규 기능 개발 시 바로 투입되어 생산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MSA 환경의 조직에서는 신규 마이크로서비스 개발 업무를 맡아 핵심 개발자로 성장할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런 분들이 들으면 좋아요 🙋‍♂

Java 문법을 익힌 비전공자/초보자

  • Java 문법과 OOP 개념은 익혔지만, 실제 웹 서비스를 만들어 본 경험은 적은 분

  • 처음으로 REST API, Spring Boot, 백엔드 구조를 배우고 싶은 비전공자

  • “웹 백엔드 개발이 뭔지 감이 안 와요” 단계에서 첫 서비스 개발까지 경험하고 싶은 분

웹 개발 경험이 있지만 스프링은 처음인 프론트엔드 개발자

  • React/Vue 등 프론트엔드 경험이 있으나, 백엔드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다루는지 궁금한 분

  • Node.js 또는 Firebase 외에 Java 기반 서버 개발에 도전하고 싶은 분

  • RESTful API 설계 및 서버-클라이언트 구조 이해를 확장하려는 분

MSA가 뭔지 궁금한 주니어 개발자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라는 용어는 들어봤지만 정확히 어떻게 구현되는지 몰랐던 분

  • 모놀리식 구조와의 차이, Spring Cloud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고 싶은 분

  • 실무에서 점차 MSA 환경에 투입될 가능성이 있는 신입/주니어 백엔드 개발자

제 로드맵만의 특징 😁

강의를 알아보는 시간, 들어보는 시간 모두 수강생 분들의 '비용' 이니까!

  • Spring Boot를 이용한 RESTful Web Services 개발 – Spring Boot를 사용하여 간단한 REST API 서버를 만드는 방법을 배웁니다. 프로젝트 생성부터 REST API 설계와 구현까지 다루면서, GET/POST 등의 HTTP 요청 처리, JSON 데이터 응답, 기본적인 CRUD 기능 구현 등을 익힙니다. 이 강의를 통해 Spring 프레임워크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실습 중심으로 웹 서비스 개발의 기초를 탄탄히 다질 수 있습니다. 또한 이후 마이크로서비스로 확장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게 됩니다.


  • 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 앞서 만든 RESTful 서비스를 바탕으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구현하는 방법을 학습합니다. Spring Cloud의 다양한 도구들을 활용하여 서비스 발견(Discovery), 구성 관리(Config), API 게이트웨이 등의 MSA 필수 요소를 구축합니다. 이 강좌에서는 여러 개의 소규모 서비스로 나누어 분산 시스템을 설계하고, 각 서비스 간 통신을 REST API로 처리하는 과정을 실습합니다. 이를 통해 MSA 개념을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법을 익히고, 마이크로서비스 환경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2개 시리즈 강의로 완전 끝!

완성도 높은 로드맵을 따라가 보세요! 실무에서 꼭 필요한 내용만 정리했어요.

실무 현장에 바로 적용 가능!

실제 데이터를 활용한 실습으로 실무에 바로 데이터 분석을 적용할 수 있어요

나도 마이크로서비스 전문가!

입문 강의부터 심화 강의까지!
알차게 모두 담았어요.

이 로드맵에서 배우는 내용 😊

  1. Spring Boot 활용 능력: 스프링 부트를 이용한 프로젝트 셋업부터 RESTful API 구현까지 전 과정을 경험하게 되어, 작은 웹 애플리케이션을 혼자 힘으로 구축할 수 있습니다. Spring 기반 백엔드의 동작 원리와 구조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등 계층)도 이해하게 됩니다.

  2. REST API 개발 역량: RESTful 웹 서비스의 설계 원칙과 구현 방법을 익혀, JSON 데이터 처리, HTTP 상태 코드, 요청/응답 구조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집니다. 이를 바탕으로 다른 언어/프레임워크에서도 API를 설계할 수 있는 응용력을 갖추게 됩니다.

  3.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이해: MSA의 개념과 장점을 체득하고, 언제 모놀리식 대신 마이크로서비스를 적용해야 적절한지 판단할 수 있게 됩니다. 여러 서비스로 애플리케이션을 분리하는 도메인 분할 개념, 서비스 간 독립성과 통신 방법 등을 알게 됩니다.

  4. Spring Cloud 및 분산 시스템 경험: Spring Cloud의 핵심 모듈(Eureka, Spring Cloud Config, etc.)을 사용해봄으로써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구성 요소를 다뤄봅니다. 이를 통해 분산된 서비스들의 환경 설정 관리, 로드 밸런싱, 장애 대응(서킷 브레이커) 등에 대한 실무 감각을 익히게 됩니다.

  5. 전체 시스템 시야: 하나의 서비스뿐만 아니라, 그 서비스가 여러 개로 구성된 시스템 전체를 바라보는 시야를 갖추게 됩니다. 이는 추후 더 큰 프로젝트나 복잡한 서비스 구조를 접하더라도 전체 흐름을 이해하고 접근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 로드맵에서 배우는 내용 😊

로드맵 1의 내용을 완주했다면, 백엔드 개발의 기본기와 MSA 기초를 갖춘 것입니다. 다음 단계로는 이러한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배포하고 운영하는 기술을 익혀보세요.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향을 권장합니다:

  • CI/CD 및 DevOps 학습: 코드의 빌드와 배포를 자동화하는 CI/CD(지속적 통합/배포) 파이프라인에 도전해보세요. Jenkins 등의 도구를 활용하여 테스트 자동화, 빌드 자동화, 배포 자동화를 구현하면 개발 싸이클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로드맵 2에서 다루는 Jenkins 강의를 통해 배울 수 있습니다.

  • 컨테이너 기술 학습: 마이크로서비스를 실제 운영 환경에 배포하려면 Docker와 같은 컨테이너 기술을 알아야 합니다. Docker를 배우면 애플리케이션을 어떤 환경에서도 실행 가능한 표준 패키지(이미지)로 만들 수 있어, 배포와 확장이 쉬워집니다. 더 나아가 Kubernetes와 같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도구도 향후에 학습하면 좋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로드맵 3에서 이어서 다루게 됩니다.

  • 클라우드 플랫폼: AWS, Azure, GCP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Spring Boot 마이크로서비스를 배포하는 방법을 익혀보세요. 예를 들어 AWS의 Elastic Beanstalk, ECS/EKS, RDS 등을 사용하면 실무에 가까운 환경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지식은 DevOps 및 MSA와 결합되어 현대 개발자의 중요한 자산이 됩니다.

  • 심화 백엔드 지식: 앞으로 Spring Security로 보안 인증/인가를 추가하거나, JPA/쿼리 최적화로 데이터 접근 성능을 높이는 등 백엔드 심화 주제를 공부할 수 있습니다. 또한 Kafka와 같은 메시지 큐로 서비스 간 비동기 통신을 구현하는 등의 고급 MSA 패턴도 도전해보세요. 이러한 심화 학습은 여러분을 전체적인 백엔드 아키텍처를 설계할 수 있는 개발자로 성장시킬 것입니다.

수강생 분들의 후기를 확인하세요!

본 강의를 수강하면서 정말 정성가득 준비하고 강의를 진행해주신게 느껴졌습니다. 다른 유명한 강의는 오히려 맞지않았는데 강사님 강의를 들으면서 불편한점없이 강의 끝까지 수강할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다양한 강의 진행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ym**

강의 예전에 사놓고.. 바쁘다는 핑계로 미루다 인제 몰아서 다시 보는 중입니다. 일단 스프링부트 2버전에서 3버전으로 무료로 업데이트 해주심에 무한 감사를 드립니다. 이번에 회사에 긴급한 프로젝트가 생겨 REST API 서버 1대를 만들었는데 제가 만든 것과 비교해보며 내가 만든 서버에는 이런게 부족했구나...

JH**

기존 jpa 관련 인강 듣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restful apl를 사용하는 부분에서 많이 막혀서 인강을 듣게 되었습니다. restful api 내용을 짧지만 매우 핵심내용만 쏙쏙 있어서 복습하기에 딱 좋은 수업이었습니다. 또 개정판이라 소리도 잘 들리고 프로젝트와 부딪히는 부분이 없어 수업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ja**

급하게 msa 실습 경험이 필요해서 듣게되었는데, 정말 주옥같은 강의에요. msa 컨셉은 알고 있었지만 그 내부에서 api gateway가 마이크로 서비스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마이크로서비스간 통신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늘 궁금했어요. 이 강의를 통해서 간지러웠던 부분을 시원하게 긁을 수 있었고, 쿠버네티스에 배포까지 정말 알차게 배웠어요...

sy**

로드맵 상세보기

2개 코스

로드맵에 포함된 강의 썸네일
이 강의는 Spring Boot를 이용해서 RESTful Web Services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에 대해 학습하는 강의으로써,  REST API 설계에 필요한 기본 지식에 대해 학습할 수 있습니다.

29,700

로드맵에 포함된 강의 썸네일
Spring framework의 Spring Cloud 제품군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 보는 과정입니다.  Cloud Native Application으로써의 Spring Cloud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구성을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강의입니다.

88,000

30% 할인

전체 구매 적용
쿠폰 받기

로드맵 코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