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KUAHN님의 프로필 이미지
KUAHN

작성한 질문수

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StatefulSet-실습 .. 내용중에 궁금한게 있습니다.

작성

·

183

1

안녕하세요.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고있습니다. 고맙습니다.

한가지 궁금한게 있어서 문의글 남깁니다. StatefulSet-실습 부분중에.. 2-2) ReplicaSet 을 만드실때 NodeSelector 를 지우시고 replicas 도 5로 수정하시고 생성하셨는데... 

설명하실때 5:29초 부분의 5개 파드중 위의 2개는 성공, 아래3개는 실패인 화면에서...

위의 파드 둘이 노드1에 생셩되면서 볼륨도 노드1에 생성됐을거고 해서 나머지 파드들은 노드2에 있으니 노드1의 볼륨에 접근하지 못한거다라고 하셨는데요.

궁금한게

1. 해당 볼륨연결은 pod 에서 pvc 를 통한 StorageClass fast 를 통한 연결이었다. 즉 앞서 설치하신 StorageOS 의 fast storageClassName 을 쓰신걸로 보임

2. 그말은 볼륨은 이미 pvc 생성때 pv 가 만들어지고 볼륨이 StorageOS 쪽으로 생성된것으로 보임. (즉 노드1에 볼륨이 생성된게아니라.. )

3. 즉 볼륨이 노드에 만들어지는건 아니고(hostpath가 아니어서.. pv 를 직접만들어 local 넣은것도 아니며) 

4. 그럼 왜 노드2의 파드들이 볼륨에 못붙냐...면 보니 pvc 가 ReadWriteOnce 로 만들어져 노드1에서 붙었으므로 노드2에서 못붙어서 난 결과가 아닌가...? (RWO 은 한노드에서만 붙을 수 있으므로)

로 저는 생각했는데요... 혹시 제가 이해를 잘못한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정말 고맙겠습니다.

답변 3

1

KUAHN님의 프로필 이미지
KUAHN
질문자

빠른 답변 고맙습니다. 저도 보니 내용을 설명하시려다 뭔가 꼬이신것 같았는데 수정해주신다니 고맙습니다!

1

일프로님의 프로필 이미지
일프로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잘 이해하고 계십니다! ^^

저도 강의를 다시 들어보니 제가 HostPath와 혼동해서 설명을 하고 있더라고요;;

대체로 잘 이해하셨고 다시 부연 설명 드리겠습니다.

2. PV가 만들어 졌을 경우 StorageOS에서는 Node1나 Node2중 알아서 Volume을 바로 생성해 놓습니다.

3. 하지만 Node1에 만들어졌다고해서 HostPath처럼 node1 위에 있는 Pod들만 연결할수 있는 상태는 아닙니다.

4. StorageOS는 PV에 어떤 옵션을 넣던간에, RWO만 지원을 하고 있기 때문에, 최초 Node1의 Pod에서 해당 Volume에 마운트됐다면 Node2의 Pod에서는 연결이 안되고, 반대로 Node2의 Pod에서 먼저 마운트가 됐다면 Node1 위의 Pod에서는 연결이 안됩니다.

다음주중으로 해당 강의 내용을 수정할 예정이고요.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0

일프로님의 프로필 이미지
일프로
지식공유자

당연히 수정해야 될 일인걸요.

저야말로 감사합니다^^

KUAHN님의 프로필 이미지
KUAHN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