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42
0
안녕하세요 먼저 좋은 강의 정말 감사드립니다.
섹션2 인가코드(프론트에서 발급) 강의와 강의 자료에서 get 요청을 통해 인가코드 전달을 한다
고 설명하셨는데, 프론트엔드 코드에서는 post로 요청하고 있고, http body로 jwt 토큰을 받으려면 post로 요청해야하는게 맞는 것 같은데,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건지 잘못 설명하신건지 헷갈려서 질문글 남깁니다.
const response = await axios.post("http://localhost:8080/member/google/doLogin", {code});
답변 2
1
답변이 다소 늦었습니다.
여기서 말한 get요청은 http메서드중에 get, post를 지칭하려고 했던것은 아니었고, 프론트엔드에서 서버로부터 token을 달라고 요청한다는 상황자체를 get요청이라고 지칭했던것 같습니다. http의 get요청을 통해 요청을 보내든(사실 get요청을 통해 쿼리파라미터 방식으로 전달이 가능하기도 합니다.), post요청을 통해서 보내든 여기서 의도한것은 token을 받아오기위한 요청이이라는 것을 get요청이라 표현하게 되었네요.
이 요청 방식과 서버를 통한 인가코드를 받아 redirect하여 토큰을 받아오는 방식의 차이점을 강조하려다 보니, 토큰을 달라(get)한다 이 표현을 강조하면서 헤깔리게 만들었던것 같습니다. 혼선을 드린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항상 모든 개념의 정답은 코드입니다~! 꼼꼼하게 확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김태우님.
OAuth2.0 인증 과정에서 인가 코드를 프론트엔드에서 받는 방식과 백엔드에 전달하는 방법에 대한 혼란스러운 부분을 잘 이해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설명드리겠습니다.
인가 코드 전달 방법:
axios.post
방식으로 서버에 전달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입니다.GET vs. POST 요청의 차이:
프로세스의 흐름:
아래 이미지는 OAuth2.0 인증 과정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입니다. 각 단계가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해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POST 요청을 사용하여 인가 코드를 서버에 전달하는 것은 매우 적절한 방식입니다. 추가적으로 강의 자료나 강의에서 이를 명확히 하려는 의도였을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이해 했습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