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82
0
저는 강의를 똑같이 따라해봤는데
쿼리를 연봉 5천만원 직장인의 소득세는? 이라고 했을 때, 강의에서처럼 해당 세율표 수식만 보고 624만원으로 단순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근로소득공제와 과세표준 등등을 계산해서 624만원과 다른 값을 냅니다.
거주자의 소득세로 바꿔도 마찬가지입니다.
(이전 강의에서 직장인이 근로소득과 관련이 있어서 잘못된 문서를 가져온다고 하신 내용도 압니다)
하지만 제가 gpt한테 물어보니 다음과 같이 애초에 세율표만을 보고 계산하는 것이 틀렸고, 근로소득을 계산하는 것이 맞다고 말합니다.
===============
이 세율표는 “과세표준”에 적용하는 것이고,
당신이 말한 “연봉 5천만 원”은 ‘총급여액’이기 때문입니다.
즉, 소득세율을 적용하려면 반드시 다음 절차를 따라야 해요:
총급여액: 연봉 5,000만 원
근로소득공제 적용 → 근로소득금액 산출
인적공제·연금보험료공제 등 → 과세표준 산출
과세표준에 소득세율표 적용
산출세액에서 세액공제 (근로소득세액공제 등) 적용 → 결정세액
===================
결론적으로 제가 소득세에 대해 잘 몰라서 gpt가 말한게 할루시네이션일 수 있지만,
만약 gpt처럼 실제로 근로소득금액을 산출해서 소득세를 계산하는게 맞을 경우, 강의에 있는 llm이 모두 틀린 답변을 내놓은 것 아닌가요?
만약 강의처럼 연봉 5천만원의 직장인 혹은 거주자의 소득세가 표만 보고 단순 계산하여 624만원인 것이 맞을 경우, 제가 어떤 과정을 더 해야할 지 모르겠습니다.. 계속해서 근로소득공제를 계산합니다. 거주자로 쿼리를 바꿔도요.
답변 2
0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질문하신 것과같이 "종합소득과세표준이 5000만원인 거주자의 근로소득세"가 624만원이 나오는 게 맞습니다.
제가 세무 전문가는 아니지만 실제로 연봉 5천만 원을 기준으로 근로소득세를 정확히 계산하려면 말씀하신 것처럼 근로소득공제, 인적공제, 세액공제 등을 모두 고려해야 하고, 훨씬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강의에서는 retrieval을 통해 에이전트를 구성하는 방법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세금을 정확히 계산하기 위한 모든 변수들을 고려하기보다는, 지정된 과세표준을 기준으로 단순화된 계산 예시를 보여드린 것입니다.
만약 정확한 소득세 계산 에이전트를 만들기를 희망하신다면, 총급여에서 공제를 통해 과세표준을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세액을 산출하는 방식을 추가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제가 아는 선에서만 예를 들어 설명해보자면:
총급여에서 근로소득공제 계산
근로소득 공제 계산을 위한 정보 입력
부양가족 중 성인 중 연봉 100만원 미만인 사람의 수
부양가족 20세미만의 자녀 수
식대(월 20만원)
기타 비급여 항목
과세표준에 세율 적용
세액공제(근로소득세액공제 등) 반영
추가로 질문이나 개선 방향이 더 궁금하시면 언제든 편하게 말씀해 주세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kkhs1kim님께서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질문에서 제기하신 이슈는 연봉 5천만 원을 기준으로 산출된 소득세가 계산 과정에서 다르게 나오는 부분 관련입니다. 소득세 계산 과정은 일반적으로 표준 절차와 세법에 기반하여 실행됩니다. 이는 단순히 세율표만으로 계산할 수 없고, 여러 공제 항목을 포함하여 최종 소득세를 계산해야 한다는 점을 포함합니다. 질문에서 언급한 대로, 소득세 계산 절차는 다음과 같은 일반적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총급여액 산출: 연봉이 5천만 원이라고 할 때, 이는 ‘총급여액’으로 시작됩니다.
근로소득공제 적용: 과세표준을 산출하기 위해 총급여액에서 근로소득공제를 적용합니다. 이는 소득세 계산의 초기 단계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과세표준 산출: 다양한 공제를 적용하여 과세표준을 산출합니다. 이는 세금을 실제로 계산하는 기초가 됩니다.
세율표 적용: 과세표준에 해당하는 세율을 적용하여 즉시 산출세액을 계산합니다.
세액 공제 적용: 산출세액에서 근로소득세액공제 등 관련 세액 공제를 적용하여 결정세액을 계산합니다.
LLM이 답변하지 못함: LLM이 특정한 세법 정보를 완전하게 담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제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2.2 강의에 income_tax.pdf 파일이 git 에서 누락된 것 같아요: 소득세 관련 문서의 중요성을 다룬 게시물입니다.
위 내용에 따라, 질문자님께서 겪으신 문제는 LLM이 단순히 세율표에만 의존하여 답변을 내놓음으로써 발생한 것일 수 있습니다. GPT와 같은 모델은 이런 맥락에서 더 나은 세부적 답변을 제공할 수 있지만, 항상 모든 상황에 완벽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결론적으로, 기본 세율표로만 계산한다면 오히려 부정확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실제 소득세 계산을 위해서는 차근차근 공제를 포함한 종합적인 계산이 필요합니다. 강의에서 이런 부분을 정확히 전달했는지 확인해 보시고, 필요시 보충 자료나 공식 절차 문서를 참고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