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강의하는 대학원생 에폭입니다.
인공지능/대학원과 관련한 주제로 여러분과 소통하고 있습니다.
관련 이력
__________
Position
인공지능 대학원 석사과정
Paper
계층적 강화학습에서의 표준적 계층 추가 방안: Timely Hierarchical Elaborated FeUdal Networks
HierarchyDrop: Dynamic Hierarchical Reinforcement Learning for Long- and Short -Term Subgoals
Others
인공지능 동아리 운영(2022~2023)
다수의 인공지능 관련 멘토링 및 과외 수행(머신러닝, 딥러닝, 대학원 준비 등)
다수의 스터디 운영(딥러닝, 자연어처리, 데이터베이스, 컴퓨터비전, 강화학습 등)
講義
受講レビュー
- 学部生の時に論文2編を執筆した大学院生が教える人工知能入門勉強法
- 人工知能大学院準備 A to Z:スペック整理からコンタクト、書類、面接まで
投稿
Q&A
대학원 입시 전에 스펙에 대한 고민
프로그래밍 관련 경험이 많이 있으신 것으로 보입니다. 이것만으로도 좋게 보시는 교수님들이 많이 계실 것 같습니다. 프로그래밍 경험을 더 어필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프로그래밍 역량이 다른 인공지능 분야보다 중요하게 평가 받는 인공지능 분야가 많이 있습니다. 제 예시가 깡패 햄스터님의 상황과는 약간 안맞을 수 있지만 예를 들어보자면, “프로그램 분석”을 인공지능으로 하는 분야에서는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이런 여러 분야가 있으니 컨택 시에 참고해주시면 좋게 봐주시는 교수님들이 충분히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학점이 좋으신 것도 어필할 수 있는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특히 선형대수학, 확률과 통계 같은 중요한 과목을 수강해주셨고 좋은 성적을 받으셨기 때문에 이 부분도 보여드리기 좋은 부분입니다.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시다면 이에 대한 공부가 필요합니다. 머신러닝, 딥러닝에 대해 기본적인 지식 + 약간의 심화지식을 쌓아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또 어학 성적이 더 높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논문을 읽거나 수업을 듣고 발표를 하는 등 대학원에서의 영어 사용이 많기 때문에 더 채워주시면 어필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대학원마다 토익 최저 기준이 공시가 되어 있을 것입니다. 그 정도로 만들어주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졸업 논문의 경험도 어필해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인공지능 부분을 맡지는 않으셨다고는 하셨지만, 논문을 써본 경험이 있다는 것 자체가 조금이라도 더 좋게 보일 수 있을만한 부분입니다. 그리고 연구실 논문을 참고하여 무엇인가 글을 추가적으로 작성하기 보다는 해당 연구실의 논문을 읽고 해당 논문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이를 컨택 메일에 함께 작성하였으면 좋겠습니다. 제 생각엔 말씀해주신 대학원을 다 도전해볼 법하다고 생각합니다. 강의의 내용이 학부생을 기준으로 해서 걱정이 더 많으실 것 같습니다. 직장인분들은 직장인분들대로 교수님께서 좋아해 주실 부분이 있으니 앞서 말씀드린 내용을 잘 참고해주셔서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0
- 3
- 37
Q&A
ai 머글인데 조언을 얻고자 왔습니다
안녕하세요. 에폭입니다.1) 먼저 학점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학점의 경우에는 크게 신경쓰지 않으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3중반의 학점은 카이스트 등의 학점을 중요시하는 대학원을 제외하고 어디라도 넣어볼 법한 학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상위권 대학원들도 한번 넣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ai융합 혁신 대학원”과 같이 준비하시는 것은 큰 무리가 없으실 것 같습니다. 다만 출신 대학교에 따라 제약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저는 중상위권의 대학을 나왔습니다. 제 연구실에 있던 한분의 경우에는 3점 초중반의 학점을 가지고 SKY 대학원에 가신 분도 있으십니다. 다만 그 외에 어필 하실 수 있는 부분이 있으셔야 합니다. 그것을 어떻게 만들 수 있을지는 아래 부분(2)에서 더 자세히 말씀드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학점 얘기를 계속 해보겠습니다. 수학의 학점이 낮으신 것이 문제가 되실 수 있습니다. 되도록 여러 곳의 대학원에 지원을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여러 대학원에 지원해야 하는 이유는 서류 평가 과정 때문입니다. 교수님들께서 각각의 지원자 서류를 나눠서 평가하시는데 이때의 편차가 있습니다. 어떤 교수님의 경우에는 전체적 학점을, 어떤 교수님의 경우에는 수학과목의 성적, 프로그래밍 과목의 성적에 중점을 두고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에 대해 면접 때, 혹은 면담 때 질문이 들어올 수 있으니 대비하셔야 합니다. 저도 수학 성적 중에 B, C 인 과목이 존재했습니다. “인공지능에서 수학이 굉장히 중요한데, ~과목의 경우에는 성적이 좋지 않다. 왜 성적이 좋지 않은가”라는 질문을 하시면 어떻게 대비하실 지 생각해보시면 좋습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문제를 기계적으로 풀어내는 연습이 부족했다. 개념에 집중해 공부하였다. 나중에 수학 수업을 듣게 된다면 시험 준비를 위해 문제를 빠르게 푸는 연습도 할 것이다.”라는 식의 대답을 준비했습니다. 이렇게 말씀 드리니 바로 선형대수학, 확률과 통계 등에 대한 질문을 하셨습니다. 이때 잘 대답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다음으로 스펙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스펙은 어떻게든 만들어야 합니다. 사소한 스펙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을 통해 어떤 나의 장점을 보여줄 수 있는가에 집중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제가 상담자님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알지 못하기 때문에 주어진 정보를 통해 말씀 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2-1) 회사에서의 프로젝트회사에서 진행하셨던 일에 대해 알려주신다면 더 자세히 말씀 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라면 회사에서의 경험을 적극적으로 어필 할 것 같습니다.Ai+a로 지원을 하시는 경우이신 것 같습니다. 인공지능 대학원은 인공지능만 연구하는 연구실 외에도 AI+a를 연구하는 연구실이 많이 있습니다. 여기서 a는 바이오, 금융, 로봇, 보안 등 입니다. 만일 회사에서 진행하셨던 일이 a와 연계가 되어있다면 지원하시기에 큰 무리가 없으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보안 관련된 일을 하셨다면, 보안을 인공지능을 통해 수행하려고 하는 연구실에 컨택해 볼 수 있고, 대학원에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인공지능을 이용해서 보안을 한다고 해도 전통적인 보안 방법에 대한 이해는 있어야 합니다. 보안 관련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의 경험을 살릴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경우에는 “지원동기”, “도메인 지식” 두가지를 주로 어필 할 수 있습니다. 이 예시의 경우에서는 “도메인 지식”은 ”보안 지식”일 것입니다. “지원동기”의 경우에는 “실무에서 사용되는 기존 보안 방법의 ~라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방법을 시도했으나 어려움이 있었다. 이는 인공지능의 활용으로 해결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대학원에서 연구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익히고 싶다.”는 방향으로 갈 것 같습니다. 또 “도메인 지식”은 인공지능 연구에 있어 굉장히 중요합니다. 어떤 도메인이든 좋은 인공지능을 만들기 위해서는 해당 인공지능이 왜 좋은지를 알 수 있어야 합니다. 그를 판단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도메인 지식”입니다. 이를 어필하시는 방향으로 진행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제 첫 강의가 스펙을 정리하는 부분입니다. CV에 쓸 것이 없다고 하시지만 사소한 것이라도 좋으니 모든 내용을 써보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특히 회사에서의 프로젝트가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럼 위 제가 말씀드린 예시처럼 적용할만한 부분이 있으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2-2) 수업또 컴퓨터 공학과를 다니시면서 공부하신 내용을 어필하실 수 있습니다. 들으셨던 수업 중 어필할 만한 부분이 있는 수업을 찾아보시기를 추천해 드립니다. 대학에서 들었던 수업은 자기소개서 등에 주요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저도 3가지의 수업을 자기소개서에서 언급하였습니다. 2-3) 자기주도적 인공지능 학습스스로 찾아가며 공부하셨다는 것도 어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 또한 스터디를 만들어 공부한 부분을 언급하였습니다. 주도적인 모습으로 어필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제가 상담자님에 대한 정보가 적어 구체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잘 참고하셔서 좋은 결과가 있으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1
- 2
- 164
Q&A
반드시 컨택 후 대학원 지원을 해야하나요?
걱정이 되시는 부분을 제 나름 생각해보면 두가지 일 것 같습니다. 아래 각 걱정에 대한 제 생각을 적어두었습니다. 결론만 먼저 말씀을 드리면 컨택이 되지 않은 상태이더라도 지원을 해보시는게 좋습니다. 1) 컨택 없이 대학원에 합격할 수 있을지컨택 없이도 원하시는 대학원에 합격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려대학교의 경우에는 컨택 없이 합격이 힘들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대학원은 서류, 면접의 결과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카이스트는 사전 컨택이 영향을 주지 못합니다. 2) 좋은 연구실에 들어갈 수 있을지좋은 연구실이 어떻게 정의될 수 있는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제 생각에는 "많이 배울 수 있는가", "내가 흥미를 가지는 연구 주제를 다루는가" 이렇게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선제적으로 사전 컨택을 시도하셨지만 안되셨습니다. 하지만 해당 대학원에 많은 연구실이 있으니 다른 교수님들의 홈페이지를 상세히 보고 몇몇의 후보를 더 골라두시기 바랍니다. 또 하나의 대학원에만 지원을 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대학원에 지원을 하면 선택의 폭이 더 넓어지실 것이고 좋은 연구실을 골라들어가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도 컨택에 많이 실패하였지만, 결국에는 끊임없이 연구실을 찾고, 컨택을 시도하는 과정이었습니다. 건승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1
- 1
- 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