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ites]
Youtube 바로가기 (클릭!)
LinkedIn 바로가기 (클릭!)
[Career]
現) JSCODE - 대표 멘토, CEO
前) (주)트라이포드랩 - CTO
前) (주)온리원유니버스 - CTO
前) 달리(DALY) - CTO
前) 팀메이트(Teammate) - CEO
[Books]
『Do it! JSCODE의 AWS 입문』, 이지스퍼블리싱 (2025.05)
[ETC]
- 기업 대상 개발 컨설팅 및 코딩 교육 활동
講義
受講レビュー
- 非専門者でも理解できるKubernetes入門/実践
- 非専攻者でも理解できるDB設計入門/実戦
- 非専攻者も合格するエンジニアの履歴書・ポートフォリオ作成法
投稿
Q&A
깃액션은 성공하지만 계속 서버가 Killed 됩니다.
안녕하세요 냠냠님~ 질문 잘 해주셨습니다!말씀해 주신 내용들을 보니 메모리 증설과 t3.small을 사용하시는데도,실행 도중 Killed 메시지가 뜨면서 서버가 강제 종료되는 문제가 발생하셨네요 !Killed가 발생하는 대표적인 이유는 메모리 부족(Out of Memory, OOM) 상황이에요 ~로그상에서는 딱히 명확한 에러 메시지는 없고, 실행 도중 EC2에서 프로세스가 죽는 것 같네요 !조금 더 많은 로그와 메시지들을 확인해봐야 정확히 어떤 원인인지 파악할수 있을 것 같아요 !아래 명령어들을 사용해 보시며 더 자세하게 디버깅 해보시는걸 추천드려요 !sudo dmesg tail /var/log/syslog sudo journalctl -xe free -hhtop로그와 에러 메시지를 확인하신 뒤에도 어떤 게 문제이신지 모르겠다면댓글로 에러 메시지도 같이 공유해주세요 !리눅스 환경에서 에러 디버깅하는 데 도움되실 것 같아 아래 링크도 같이 남겨둘게요!추가로 궁금한 점 있으시면 편하게 알려주세요 😊https://it-ability.tistory.com/137https://j2doll.tistory.com/1171
- 0
- 1
- 25
Q&A
새롭게 생성하는 인스턴스가 기존 인스턴스에 영향을 끼치나요?
안녕하세요 minicic님! 질문 잘 해주셨습니다ㅎㅎㅎ질문 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기존 인스턴스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 건가요? 기존 인스턴스에 있는 파일들이나 설정들이 초기화 되나요"-> 현재 프리티어로 이미 실행 중인 "기존 인스턴스"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습니다~ 하지만 "강의와 같은 방식으로 새롭게 인스턴스를 생성" 하셨다고 말씀해 주셨는데 설정을 다르게 하신 것 같네요~ 인스턴스를 생성하실 때 사용한 Amazon Machine Image(AMI) 혹은 스토리지(볼륨) 설정이 달라진 것 같은데 확인해 보셔도 좋을 것 같네요 :)결론적으로, 이 화면은 새 인스턴스의 설정이 어떻게 되는지 보여주는 것일 뿐, 기존 인스턴스의 볼륨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기존 인스턴스는 계속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 추가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또 질문 남겨주세요~!
- 0
- 2
- 21
Q&A
리액트 배포하기..
안녕하세요! 혹시 리액트로 배포하는 방법 찾으셨을까요~?? (글이 삭제 된 것 같아 여쭤봅니다!)만약 해결하시지 못하셨다면 아래 카톡 링크로 연락 남겨주세요!https://open.kakao.com/o/srGtpusg
- 0
- 2
- 18
Q&A
Route 53 는 비용없이 깔끔하게 종료하기에 포함되지 않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계시다니 감사합니다 😊😊질문에 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드려 볼게요 ! "이번 Route 53 강의에서는 따로 관리해주지 않아도 되는걸까요?"-> Route 53 또한 리소스를 정리해 주시는게 좋습니다 ! Route 53에서는 호스팅 영역(Hosted Zone)을 생성한 채로 두면 매달 소액(월 약 $0.50)의 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합니다 ! 따라서 호스팅 영역(Hosted Zone) 내의 레코드 및 호스팅 영역을 삭제하시는게 좋습니다 ~~(제가 강의에서는 이 부분을 언급하지 않았었네요ㅠㅠ 다른 수강생 분들을 위해서 강의에 보충 자료 추가해두겠습니다!) "앞으로 실습을 진행하면서 EC2 인스턴스 종료,탄력적IP 릴리스는 실습이 종료될때마다 매번 해주면 되는걸까요?"-> EC2 인스턴스 종료랑 탄력적 IP는 매번 실습 끝나고 바로바로 정리해주시면 좋습니다~!! 참조하시면 도움이 될것 같아 관련 포스팅 및 공식문서도 추가로 첨부해 드려요 ~https://docs.aws.amazon.com/ko_kr/Route53/latest/DeveloperGuide/DeleteHostedZone.htmlhttps://lsdiary.tistory.com/130다시 궁금한 점 생기면 언제든 편하게 질문 주세요 :)
- 0
- 2
- 28
Q&A
경력 사항
안녕하세요 찹찹이님! 좋은 질문 해주셨네요:D경력자이신 경우 경력 사항과 프로젝트의 항목이 포트폴리오에 있으실거예요. 이 때, 개인 프로젝트와 경력 사항에 포함된 프로젝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프로젝트 항목에 쓰시고경력 사항의 항목에는 아래와 같이 프로젝트에서 경험한 내용을 요약해서 작성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사진)이 외로 궁금한 점 있으시면 질문 남겨주세요~~
- 0
- 2
- 31
Q&A
팀프로젝트시
안녕하세요 pray님! 질문 잘 해주셨어요~~~교육받는 곳에서 만약 시간적인 여유가 있으시다면 방법 5까지 구축하시는 게 포트폴리오로써 조금 더 차별성을 가지기 좋습니다! 시간적인 여유가 어느 정도 있는 지를 체크해보시고 결정을 내려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D이 외로 또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질문 남겨주세요!
- 0
- 1
- 23
Q&A
이력서에 적을 내용에 관하여
안녕하세요 찹찹이님! 답변을 강의에서 찾으신 것 같네요ㅎㅎ강의 보시다가 또 궁금한 점 있으시면 편하게 질문 남겨주세요~~
- 0
- 3
- 23
Q&A
언제 어떤 형식의 PK를 선택하는지에 대한 기준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JunYoung님! 좋은 질문이네요 :) 이 부분은 실무에서 정말 자주 고민하게 되는 부분이라 한 번 정리해볼게요~!먼저 Auto Increment의 경우 JunYoung님 말씀대로 사람이 보기에도 편하고URL 경로를 깔끔하게 쓸수 있다는 특징이있어요 ~그래서 게시글, 댓글, 주문과 같은 단순히 순서대로 생성되는 데이터에 주로 사용해요 !추가로 이런 데이터들은 양이 많아 검색 성능과 인덱싱 효율이 중요해서주로 Auto Increment를 사용해요 !! 반면에 UUID의 경우랜덤값이라서 예측이 어렵다는 특징이 있어요 ~그래서 보안상 예측을 어렵게 하고 싶은 경우 /users/:uuid 형태로 활용할 수 있죠 !하지만 예측이 어려운 만큼 인덱스 크기가 커져 성능은 다소 떨어질수 있어요 ! 또한 ID를 무조건 외부에 노출해야하는건 아니며, 실제 서비스에서는 ID 값을 노출하지 않고 ,Slug나 Hash 등을 만들어서 URL로 노출하기도 해요!!추가로 보안에 더 신경을 쓰기 위해 API 설계에서 적절한 권한 체크와인증 처리가 더 중요한 경우도 있어요 !! 그런데 /posts/:id로 구성해서 id가 예측된다고 하더라도 보안에 크게 치명적인 경우가 잘 없기 때문에주로 실무에서는 우선 'Auto Increment'를 많이쓰고,id가 노출됨으로써 보안이 걱정될만한 요소가 있을 때는 랜덤값(UUID, Hash, Slug 등)을 고려해보기도 해요 ~또 궁금한 점 생기시면 편하게 질문 주세요! 😊
- 0
- 2
- 24
Q&A
Elastic Cloud 에서 "Logs and metrics" 기능 관련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리나님! 질문 잘 해주셨습니다 :)말씀해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드려볼게요! 한정된 예산을 통해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상황에서는 리나님께서 찾아보신 것과 같이 “어떤 데이터가 더 중요한지”과 “주기 조정”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서 원하는 Period를 설정하면 되는 게 맞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말씀해 주신 순서와 방법이 맞습니다. 여기서 설정한 Period 값이 바로 ‘수집 주기’를 의미하며 단위 또한 설정하실 수 있어요. 값이 높을수록 주기가 길어져 저장 공간을 아낄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설정해야 하는 부분이 있을까요?”→ 우선 상용 환경이시니 “ILM(수명 주기 정책)”도 설정하시면 좋을 거 같네요! 추가로 현재는 메트릭만 조절하셨는데 “필수 로그만 수집 (drop_event processor)” 설정도 하시면 더 효율적일거 같네요~! 이와 관련한 내용 참고하실 수 있게 링크도 같이 첨부드릴게요!https://www.elastic.co/guide/en/fleet/8.18/agent-policy.htmlhttps://www.elastic.co/docs/reference/fleet/drop_event-processorhttps://www.elastic.co/docs/manage-data/lifecycle/index-lifecycle-management 이 외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또 질문 남겨주세요 ~~
- 0
- 2
- 52
Q&A
Elastic Cloud 에서 "Logs and metrics" 기능 관련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리나님! 질문 잘 해주셨습니다 :)말씀해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드려볼게요! 한정된 예산을 통해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상황에서는 리나님께서 찾아보신 것과 같이 “어떤 데이터가 더 중요한지”과 “주기 조정”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서 원하는 Period를 설정하면 되는 게 맞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말씀해 주신 순서와 방법이 맞습니다. 여기서 설정한 Period 값이 바로 ‘수집 주기’를 의미하며 단위 또한 설정하실 수 있어요. 값이 높을수록 주기가 길어져 저장 공간을 아낄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설정해야 하는 부분이 있을까요?”→ 우선 상용 환경이시니 “ILM(수명 주기 정책)”도 설정하시면 좋을 거 같네요! 추가로 현재는 메트릭만 조절하셨는데 “필수 로그만 수집 (drop_event processor)” 설정도 하시면 더 효율적일거 같네요~! 이와 관련한 내용 참고하실 수 있게 링크도 같이 첨부드릴게요!https://www.elastic.co/guide/en/fleet/8.18/agent-policy.htmlhttps://www.elastic.co/docs/reference/fleet/drop_event-processorhttps://www.elastic.co/docs/manage-data/lifecycle/index-lifecycle-management 이 외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또 질문 남겨주세요 ~~
- 0
- 2
-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