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자
전: 우아한형제들 기술이사, 카카오, SK플래닛
진짜 실무에 필요한 제대로 된 개발자가 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저의 목표입니다.
저의 개발 인생 이야기
EO 인터뷰 영상
개발바닥 - 시골 청년 개발왕 되다
취업과 이직에 대한 고민 해결
Courses
Reviews
- Kim Young-han's Java Tutorial - Your First Step into Java with Code
etd939114
·
Kim Younghan's Practical Database Introduction - SQL First Steps for All IT Professionals (Step by Step from SQL)Kim Younghan's Practical Database Introduction - SQL First Steps for All IT Professionals (Step by Step from SQL)dadbad0078619
·
Kim Younghan's Practical Database Introduction - SQL First Steps for All IT Professionals (Step by Step from SQL)Kim Younghan's Practical Database Introduction - SQL First Steps for All IT Professionals (Step by Step from SQL)- Spring DB Part 2 - Data Access Utilization Technology
- Kim Young-han's Java Tutorial - Your First Step into Java with Code
Posts
Q&A
CPU 캐시 때문에도 잔액이 200원이 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happyrichman님volatile, synchronized 같은 동기화 키워드가 없다면시간의 차가 있다고 해도 CPU 캐시를 통해서 값을 읽어들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 0
- 2
- 29
Q&A
synchronized 메서드와 join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혁진님다음과 같이 적용했다면 최종 잔액이 다르게 나올꺼에요. 아마도 최종 잔액이 1000원으로 출력될거에요.t1.join(50); t2.join(50):그렇지 않다면 코드의 다른 부분을 잘못 작성하셨을 가능성이 높습니다.제공되는 코드를 다운로드 받아서 다시 확인해주세요.감사합니다.
- 0
- 2
- 27
Q&A
간단한 오타 제보
김상형님 감사합니다 🙂다음 패치에 반영할게요^^!
- 0
- 2
- 43
Q&A
임베디드 타입 예시 코드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tyler0830님일대다15:02를 참고해주세요 🙂@OneToMany @JoinColumn(name = "TEAM_ID") private List members = new ArrayList();감사합니다.
- 0
- 3
- 29
Q&A
Distinct 사용 전 결과에 대한 의문
안녕하세요. JHL님이 부분이 일반적인 SQL과 JPQL의 큰 차이점입니다.JPA에서 엔티티로 조회하게 되면 FETCH JOIN을 사용하더라도 JPA는 엔티티를 대상으로 결과를 생성하게 됩니다.여기서는 Order를 중심으로 조회했기 때문에 Order가 2개라면 2개의 Order가 조회됩니다.그리고 연관된 OrderItem을 조회하면 연관된 모든 OrderItem의 값이 조회됩니다. 질문하신 내용처럼 마치 SQL처럼 조회하려면 DTO로 직접 조회하면 됩니다. 그러면 생각하시는 대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감ㅅ합니다.
- 0
- 2
- 26
Q&A
명시적 조인에서 별칭을 주면 왜 객체에 접근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ㅎㅅ님t.members는 Team 객체 t에서 members라는 상태 필드(state field)에 접근합니다.JPA에서 엔티티의 상태 필드가 다른 엔티티의 컬렉션(List)일 경우, 이 필드에 접근하는 것만으로도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간의 조인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합니다. 그래서 이를 묵시적 조인이라고 부릅니다. 명시적 조인join t.members m은 Team과 Member 사이에 명시적인 조인을 선언하는 구문입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별칭(alias) m 입니다. t.members라는 컬렉션 자체에 m이라는 별칭을 붙이는 순간, m은 더 이상 컬렉션(List)을 가리키지 않습니다. 대신 그 컬렉션 안에 있는 각각의 Member 객체를 의미하게 됩니다.따라서 select m은 "조인을 통해 얻어진 각각의 Member(m) 객체를 조회하라"는 명확한 명령이 됩니다.따라서 JPQL 문법에서 명시적 조인을 사용하면서 별칭을 주게 되면 역할 자체가 달라진다고 보시면 됩니다.감사합니다.
- 0
- 3
- 29
Q&A
단건 주문만 가능하게 한건 의도한 부분이신가요?
JHL님 괜찮습니다 🙂학습 단계에서는 핵심에 집중하려면 가지치기가 중요하더라구요^^
- 0
- 2
- 43
Q&A
RequestMapping을 이용한 핸들러, 어댑터
안녕하세요. rlgus4531님이 부분은 기술을 어떻게 구현할지 즉 구현 방식에 따라서 다른 부분입니다 우리가 학습한 방식에서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구현 단위로 핸들러를 사용했습니다. 쉽게 이야기하자면 클래스 단위로 하나의 핸들러가 되는 것이지요.스프링에서는 이 부분을 좀 더 쪼개서 하나의 클래스 안에서 각각의 메서드 단위로도 핸들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적용했습니다. 그래서 AI가 이렇게 답을 한 것입니다.(자바 고급2편에서 실제 이렇게 구현하는 것을 이해하고 실습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 0
- 2
- 25
Q&A
다대다 엔티티 질문
안녕하세요. ghuhan18님이 부분은 개념적 모델링 단계와 논리적 모델링 단계에 따라서 설명이 달리집니다.개념적 모델링의 경우 다대다 연결이고 중간에 속성이 없다면 연관 엔티티가 발견되지 않습니다.왜냐하면 개념적 모델링 단계에서는 다대다 연결을 선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반면에 속성이 있다면 해당 속성을 관리할 엔티티가 중간에 필요하게 됩니다. 이것을 중간에 연관 엔티티를 두고 관리하게 됩니다.이후에 논리적 모델링 단계에서 이 부분을 더 자세히 알려드리기 때문에 좀 더 공부해보시면 궁금한 문제들이 풀리실거에요 🙂추가 질문: 모든 테이블은 반드시 하나의 PK를 가져야 합니다. 여러 컬럼을 묶어서 하나의 PK를 만들 수는 있습니다. (이 부분은 뒤의 논리적 모델링의 복합키에서 설명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 0
- 2
- 52
Q&A
외부조인 실습 1번 img오타
ok2님 고맙습니다^^!다음 버전에 패치할게요!
- 0
- 1
- 31